• 제목/요약/키워드: Short chain fatty acid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3초

폭염 브로일러 닭의 혈액지질 및 짧은 사슬지방산에 대한 폭염사료와 역전점등 효과 (Effects of inverse lighting and extreme heat diet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in extreme heat stress-exposed broilers)

  • 박상오;황보종;박병성;최희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0-41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the broilers that are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by control of inverse lighting times with night restricted feeding of extreme heat diet(EHD1, 2: extreme heat diet)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soy oil, molasses, amino acids and vitamin C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profile. 300 broiler chickens(Abaica strain) were randomiz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a randomized block design on the day they were hatched. The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were: T1(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2(EHD 2,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T3(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4(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roilers was highest in T2, and high in order T1, T4, T3(p<0.05). Weights of the lymphoid organ,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were high in T1, T2 as compared to T3, T4 but spleen was lower in T4 than T1, T2, T3(p<0.05).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higher in T1, T2 than T3, T4(p<0.05). LDL-C was high in orderT4, T3, T2, T1 but HDL-C showed the opposite trend(p<0.05). Blood concentrations of IgG, IgG and IgM were higher in T1, T2 than inT3, T4, but the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m. In T1 and T2, Lactobacillus in the feces increased, but total aerobic bacteria, E.coli, coliform bacteria was decreased rath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3 and T4(p<0.05).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CFA in cecum were high in order T2, T1, T3, T4,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isovaleric acid were lower in T1, T2 than in T3, T4 (p<0.05).

Effect of Prebiotics on Intestinal Microflora and Fermentation Products in Pig In Vitro Model

  • Kim, Dong-Woon;Chae, Su-Jin;Cho, Sung-Back;Hwang, Ok-Hwa;Lee, Hyun-Jeong;Chung, Wan-Tae;Park, Jun-Cheal;Kim, In-Cheul;Kim, 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199-20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prebiotics on intestinal microflora and fermentation products in the in vitro fermentation model. The prebiotcs used in this study were IMO (iso-malto oligosaccharide), CI (partially digested chicory-inulin), RA (raffinose) and CD (cyclodextrin). Experimental diet for growing pigs was predigested by digestive enzymes and this hydrolyzed diet was mixed with buffer solution containing 5% fresh swine feces. Then, the mixture was fermented with or without prebiotics at the concentrations of 0.5 and 1.0% for 24 h. Samples were taken at 24 h, and viable count of micoflora, gas, pH,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hort-chain fatty acids were determined. The viable count of Enterobacteriacea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all treatments added with prebiotics in comparison to control without prebiotics. However, the increas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observed in the prebiotics treatment. Gas production increased as the level of prebiotics increased. The pH values in the fermentation fluid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rebiotics. The fermentation with prebiotic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mal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hydrogen sulfide, indole and skatole. The increase in short-chain fatty acid (SCFA)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s with prebiotic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ermentation with prebiotics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formation of malodorous compounds and increa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SCFA. These effect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prebiotics. Moreo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 vitro efficacy on the reduction of malodorous compounds and increase of SCFA would also be observed in animals.

체다 치즈의 맛의 개발 (Flavor development in cheddar cheese)

  • 정청송;유상훈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77
    • /
    • 2003
  • 본 연구는 $\beta$-CD처리된 체다 치즈에서의 콜레스테롤 제거 율과 맛의 개발 그리고 쓴 아미노산 물질을 발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 제어판 (균질화 및 $\beta$-CD처리를 안 함) 2) 우유가공(1000 psi의 우유 균질화 처리, 1% $\beta$-CD처리). 치즈의 콜레스테롤 제거 율은 79.3% 이었다. 짧은 고리의 무지방산(FFA)은 제어된 치즈와 차리 우유를 사용한 치즈 양쪽에서 숙성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5-7개월 숙성시킨 치즈의 짧은 고리 무지방 산의 분해 량은 가공된 묽은 우유로 만든 치즈가 제어된 것보다 더 컸다. 중성의 휘발성 혼합물(neutal volatile compounds)의 생산은 샘플들간에 그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쓴맛의 아미노산은 우유 가공된 쪽에서 더 많이 생성되었다. 감각 분석에 의하면 제어된 체다 치즈의 텍스쳐 점수는 상당히 증가하였지만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치즈에서는 숙성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온도에서 균질화 시킨 후 $\beta$-CD 처리된 우유로 만들어진 치즈는 효과적인 콜레스테롤 감소와 치즈 숙성이 빠른 반면에. $\beta$-CD 처리에 의한 맛의 저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혹서기 무창계사에서 육계의 혈액지질 및 짧은 사슬지방산에 관한 역전점등과 냉각수 효과 (Effect of cooling water and inverse lighting on short chain fatty acid and blood lipid of broiler chickens in closed poultry house during hot weather)

  • 박상오;박병성;황보종;최희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43
    • /
    • 2014
  • 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extreme heat diet(EHD), inverse lighting, and cool wate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under extreme heat stress. There were 4 experimental groups (T1: 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cold water $9^{\circ}C$; T2: EHD 2,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cold water $9^{\circ}C$; T3: 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cold water $14^{\circ}C$; T4: 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cold water $14^{\circ}C$), each group composed of 25 broilers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EHD 1 contained soybean oil, molasses, methionine and lysine. EHD 2 contained all nutrients of EHD 1 and vitamin C additionally. As a result, T1 and T2 displayed higher body weight increase and diet intake compared to T3 and T4 (p<0.05). The weights of their liver and gizzard were similar but the weights of the thymus and bursa F were higher for T1 and T2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p<0.05). It was observed that T1 and T2 displayed higher concentrations of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 and blood sugar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but LDL-C level was higher for T3 and T4 compared to that of T1 and T2 (p<0.05). T1 and T2 displayed higher levels of immunity substances such as IgG, IgA and IgM compared to T3 and T4 but the blood level of corticosterone displayed to be lower for T1 and T2 compared to T3 and T4 (p<0.05). The T1 and T2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fecal lactobacillus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but the T3 and T4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fecal E. coli,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compared to that of T1 and T2 (p<0.05). T1 and T2 displayed higher concentrations of cecal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total short chain fatty acids compared to T3 and T4 but T3 and T4 displayed higher concentrations of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compared to T1 and T2 (p<0.05). These results have been observed that broiler chickens exposed to extreme heat stress with feeding EHD, inverse lighting and cold water would improve blood lipid, and elevate the production of immunity substance,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short chain fatty acids. This provision would also reduce the blood sugar consumption rate as energy sources and these effects will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broilers exposed to extreme heat.

대장암에 대한 butyrate의 효과 (Effects of Butyrate on Colorectal Cancer)

  • 진지영;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3-156
    • /
    • 2013
  • 현재 우리나라는 높은 암 발생률과 사망률로 인해 암에 대한 관심과 심리적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고, 따라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 발생률 빈도는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발병률이 높은 대장암은 발견 또한 늦어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대장암의 예방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원인은 아주 다양하면서도 정확하게 규명되진 않았지만, 가장 크게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결과로 여겨진다. 육류 위주의 서구식 식이습관 개선을 위해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섭취하게 되면 항암제 역할을 하는 단쇄지방산인 butyrate가 위장관 내에서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다. 암의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들은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것이 알려졌고, 종양세포의 apoptosis 기전과 암의 치유기전 사이에는 서로 깊은 연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butyrate가 직접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일으킴으로써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를 연구결과들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이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효소 첨가가 U.F. 치즈베이스 slurries의 숙성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ercial Food Grade Enzyme on Acceleration of Ripening in U.F. Cheese Base Slurries)

  • 윤경;곽해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10-516
    • /
    • 1993
  • 이 실험에서 U.F.를 이용하여 제조한 치즈베이스의 숙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시판되는 단백질 및 지방가수분해효소를 치즈베이스 slurries에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치즈베이스 slurries에서 TCA 가용성 질소화합물의 생성은 숙성 첫날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그 후에는 완만했으며 체다치즈 slurries에서 보다 낮았다. PTA 가용성 아미노태 질소화합물의 생성도 TCA 가용성 질소화합물의 경향과 유사했지만 소량 생성되었다. 전기영동에서 치즈베이스 slurries와 체다치즈 slurries의 카제인이 모두 분해되었으나, 치즈베이스 slurries에서는 유청단백질이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아미노산 생성에서 치즈베이스 slurries는 체다치즈 slurries에서 보다 매우 적은 함량을 보였다. 단쇄 유리지방산의 생성에서 치즈베이스 slurries는 체다치즈 slurries에서와 유사한 증가를 보였으며, 체다치즈의 자연숙성에서와 유사한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 치즈베이스의 숙성 촉진을 위하여 효소첨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호르몬과 단쇄지방산이 HepG2 Cell 내에서 CYP7A1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ormones and Short Chain Fatty Acids on CYP7A1 Gene Expression in HepG2 Cell)

  • 양정례;이현정;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3-580
    • /
    • 2005
  • 수용성 식이섬유의 섭취는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있으며 , 그 작용기 작으로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점성으로 인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 흡수저해, 대장내 미생물 발효로 생성 된 단쇄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률 변경 및 담즙산 합성증가 등으로 설명되어진다. 그러나 명확한 작용기전은 규명 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 핵내의 CYP7A1의 발현에 호르몬과 식이섬유의 발효로 생성된 단쇄지방산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의 간세포(HepG2 세포)의 배양배지에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을 각각 $1\;{\mu}M$ 투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Semi-quantitative RT-PCR기법에 의해 CYP7A1 mRNA발현을 측정한 결과, dexamethasone에서 가장 높아 $173\%$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insulin에서 $150\%$, triiodothyronine 에서 $141\%$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transient transfection을 하지 않은 HepG2 세포에서 생리적 조절자로 알려진 insulin, dexamethasone 및 triiodothyronine이 CYP7A1의 발현을 모두 증가시킨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규명하며, rat gene and/or human gene 발현이 다르게 조절됨을 제안한다. 단쇄지방산에 의한 HepG2 세포에서의 CYP7A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를 각각 1 M농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모든 단쇄지방산이 CYP7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Acetate와 propionate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군에 비하여 1.8배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 butyrate는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수용성 식이섬유 섭취시 나타나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장 발효가 대장을 자극함으로써 내인성 호르몬의 변화를 통해서 나타나거나 대장내 발효산물인 actetate, propionate 및 butyrate 등이 흡수되어 간에서의 CYP7A1의 up-regulation에 의한 담즙산 배설증가에 따른 결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단쇄지방산의 CYP7A1 발현에 미치는 작용은 acetate와 propionate가 butyrate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총지방질 조성, 총지방산 조성 및 비타민E 함량의 비교 (Total Lipid and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and Vitamin E Content of Human Mature Milk, Infant Formulas and Market Milk)

  • 윤태헌;임경자;장유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5
    • /
    • 1984
  • 총지방질의 함량은 인유(성숙유), 조제 분유 및 시유 다같이 비슷한 수준치를 보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인 지방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터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유와 인유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서는 비슷하였지만 기타 지방질 성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제 분유의 인 지방질/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총토코페롤 그리고 총토코페롤 / 총지방질의 비 모두 인유는 물론 시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총토코페롤 / 18 : 2 ${\omega}6$의 비는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인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사유의 비타민 E 함량은 미국 유아 식이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조제 분유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탄소수 8개 이하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10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고 있는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시유에서도 역시 탄소수 10개 이하의 것들과 18 : 0 등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 그리고 직쇄 및 측쇄의 기수 지방산들이 높은 경향이었고 12 : 0 은 낮았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인유의 18 : $2{\omega}6$은 조제 분유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반면 시유의 그것에 비하여 4.5 배 높은 수준이었고 탄소수 20개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낮은 수준치를 갖고 있었다.

In Vitro Effects of Dietary Inulin on Human Fecal Microbiota and Butyrate Production

  • Jung, Tae-Hwan;Jeon, Woo-Min;Han, Kyo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55-1558
    • /
    • 2015
  • Administration of dietary fibers has various health benefits, mainly by increasing numbers of beneficial bacteria and enhancing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in the colon.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to human diet, due to its prebiotic effec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biotic activity of inulin using an in vitro batch fermentation system with human fecal microbiota. Fermentation of inulin resulted in a significantly greater ratio of Lactobacillus or Bifidobacteria to Enterobacteria strains as an index of healthy human intestine and elevated butyrate concentration, which are related to improvement of gut health.

Radiation Induced Cystitis and Proctitis - Predic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 Mallick, Supriya;Madan, Renu;Julka, Pramod K;Rath, Goura 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589-5594
    • /
    • 2015
  • Cystitis and proctitis are defined as inflammation of bladder and rectum respectively. Haemorrhagic cystitis is the most severe clinical manifestation of radiation and chemical cystitis. Radiation proctitis and cystitis are major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Prevention of radiation-induced haemorrhagic cystitis has been investigated using various oral agents with minimal benefit. Bladder irrigation remain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modality followed by intra-vesical instillation of alum or formalin. In intractable cases, surgical intervention is required in the form of diversion ureterostomy or cystectomy. Proctitis is more common in even low dose ranges but is self-limiting and improves on treatment interruption. However, treatment of radiation proctitis is broadly non-invasive or invasive. Non-invasive treatment consists of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nti-oxidants, sucralfate, short chain fatty acids and hyperbaric oxygen. Invasive treatment consists of ablative procedures like formalin application, endoscopic YAG laser coagulation or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surgery as a last re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