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eline reg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 동해안 해안선의 장기적 변화 2 -남부 동해안 (Long-term Changes of Shoreline at the East Coast in South Korea 2 - South East Coast)

  • 김대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9
    • /
    • 2013
  • 본 논문은 남부 동해안의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최근 약 30년 동안 해안선의 장기적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중부 및 남부 동해안 연구를 종합하여, 동해안 해안선의 장기적인 변화 경향과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DSAS를 이용하여 해안선 변화량을 계산한 결과, 망양정 지역은 평균 28.9m, 조사 지역은 평균 6.4m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고래불 지역은 평균 25.0m, 대진 지역은 평균 10.6m, 봉길 지역은 평균 18.8m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동해안의 해안선 변화 경향을 종합하면, 1) 모든 지역 내에서 해안선은 전진과 후퇴 구역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 최근에 건설되거나 증축된 방파제와 접한 남쪽 구역에서는 해안선이 전진하였는데, 이는 북류하는 연안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3)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구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해안선 후퇴 경향을 보인다. 4) 하천의 하구에서는 하천 상류 지역에서의 퇴적물 공급량 변화에 따라 해안선의 전진 및 후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디오를 이용한 하구 사주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I) - Hardware System 구축을 중심으로 - (Monitoring System of Sandbar Variation of Estuary using Video-based Technique)

  • 윤한삼;류승우;강태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630-636
    • /
    • 2008
  • 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shoreline and foreshore changes through the time and core tasks are carried out by coastal engineers for a wide range of research. With the adv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the shore-based video monitoring system provides many advantages than field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of video monitoring system to assist the study of coastal and shoreline dynamics and evolution, especially sandbar varia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high building near the Dadea-po beach (St. 2) and Jinudo(island) (St. 1) foreshore region, where coastline variation is highly active, 5 video cameras installed; the coastline movement has monitored since Aug. 2007 using the systems. From the image results of video camera, the 'Spit' type sandbar appears at the foreshore region of Doyodeung and Dadea-po beach and measured the deposition process of Jinudo(island) foreshore region. As a result, the monitoring system using video-based technique built in this study would be able to identify changes in the area and width of shoreline and beach of Nakdong river estuary.

3차원 오일러리안 확산모델을 이용한 경인산단권역의 대기거동 해석 (Atmospheric Studies Using a Three-Dimensional Eulerian Model in Kyongin Region)

  • 송동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87-396
    • /
    • 2006
  • The numerical modeling and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a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etailed structure of meteorology and the characteristic of related dispersion phenomena of the non-reactive air pollutant at Kyoungin region, South Korea, where several industrial complex including Siwha, Banwol and Namdong is located. MM5 (Fifth Generation NCAR/Penn State Mesoscale Model), 3-D Land/sea breeze model and 3-D diagnostic meteorological model have been utilized for the meteorological simulation for September, 2002 with each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while 3-D Eulerian air dispersion model for the air quality study. We can see the simulated wind field shows the very local circulation quitely well compared with in-site observations in shoreline area with complex terrains, at which the circulation of Land/sea breeze has developed and merged with the mountain and valley breeze eventually. Also it is shown in the result of the dispersion model that the diurnal variation and absolute value of daily mean $SO_2$ concentrations have good agreement with observations, even though the instant concentration of $SO_2$ simulated overestimates around 1.5 times rather than that of observation due to neglecting the deposition process and roughly estimated emission rate. This results may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air quality study at shoreline region with the complex terrain to implement the high resolution meteorological model which is able to handle with the complicate local circulation.

DGPS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조사 및 분석 - 강원도 강릉시 연안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horeline Change using DGPS - Focusing on the Gangnung City Shore in Gangwondo -)

  • 이형석;김인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0
    • /
    • 2007
  •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해안의 침식 및 퇴적의 경향이 발생되고 있어 해안선 변화에 따른 자연보존 및 개발의 대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시 연안 지역을 선정하여 약 2개월의 주기적인 간격으로 6회의 DGPS 측량을 실시하였고, 관측 자료는 강릉상시관측소를 기준으로 약 50cm 정확도로 후처리하여 1998년 수치지형도 및 2006년 수치해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DGPS 측량값들은 수치지형도 해안선과 비교하여 볼 때 국부적으로는 강문항 도류제 설치부근과 남항진의 남측에 침식이 발생하였고 남항진 지역의 방파제 부근에는 많은 해안 퇴적이 일어났으며, 다른 지역의 경우도 부분적으로 해안 퇴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IS 자료입력에 알맞은 데이터 취득 방법으로 DGPS를 이용하여 수평자료 획득이 용이하고, 해안 개발에 따른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측을 통한 시계열적 해안선 변화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3 영상을 이용한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 탐지 (Shoreline Changes Interpreted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 Case Study in Jinha Beach)

  • 황창수;최철웅;최지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07-6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967년부터 약 50년에 걸친 기간에 대하여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진하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였다. 해안선은 보정을 거친 영상으로부터 wet/dry 기법에 의해 추출하였고, DSAS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1992년까지 회야강의 하구폐색이 심각하였으며, 이로 인해 북측 해안선의 침식이 진행되어왔다. 이후 하구폐색은 도류제 완공과 함께 완화되는 듯하였으나 하구에서 외해로 벗어난 지역에 토사의 퇴적은 계속되고 있으며, 북측 해안선의 침식현상은 완화됨에 반해 남측 해안선의 침식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의 경우 도류제건설과 준설 및 양빈만으로는 변화하는 해안선의 적절한 관리대책이 되지 못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가능한 해안의 관리를 위해서는 해양환경뿐만 아니라 해안선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역하천의 유사유출 요인을 고려하여 근본적인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態川川流域의 河成段丘로부터 推定되는 舊汀線高度와 그 意義, 韓國 西海岸의 第四紀 環境變化 究明에 있어서 臨海山岳地域 小河川 河成段丘 硏究의 重要性 考察 (Quaternary Sea Levels Estimated from River Terraces of the Ungcheon River, Midwestern Coast of South Korea)

  • 최성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3-629
    • /
    • 1996
  • 수심이 낮고 대륙붕의 경사가 완만하여 빙기의 저해수면기에 하천의 길이가 크게 연장되었던 서해안지역에 있어서, 웅천천과 같은 소하천의 경우 후빙기의 유로는 빙기 유로의 최상류부와 중복된다. 이 경우 주로 상류부에 분포하는 빙기 형성의 기후단구와 하류부에 발달되는 간빙기 형성의 해면변동단구가, 동해안의 하천에서와는 달리, 현 하천의 상류부와 하류부의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동해안에서는 가능한, 교차단구의 개념을 이용한 제4기의 환경변화 및 지형발달과정 고찰이, 서해안의 소하천에서는 불가능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웅천천 유역의 제4기 단구지형 연구에 있어서는 단구 구성층의 퇴적상으로부터 유량의 대소를 판정하여 빙기와 간빙기의 지형면을 동정하고, 여기에 지형면의 하상비고, 퇴적물의 풍화도와 고토양 등을 이용하여 지형면의 신구관계를 대비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웅천천 유역에 발달되어 있는 하상비고 80m, 50${\sim}$60m, 40${\sim}$45m, 30m, 25m(?), 15${\sim}$20m, 10m의 원력으로 구성되는 하성단구는 동해안 하천의 간빙기 해면변동단구에 해당되는것 같다. 따라서 이 수치들은 바로 당시의 구정선 고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구정선의 수와 절대 고도만으로 볼때, 동. 서해안 간에 있어서 제 4기 구정선의 수와 고도는 대략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웅천천 유역의 저위의 두 단구(15~20m와 10m 지형면)는 퇴적물의 풍화도와 고화도, 적색토의 발달 상태 및 토색 등에 있어서 동해안 지역의 최종 간빙기 극상기와 후기의 지형면과 잘 대비된다. 이는 이 두지형면보다 상위에 분포하는 동. 서해안의 지형면들도 상호 대비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 서해안의 제4기 구정선 고도 분포가 상향 수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적어도 웅천천 유역에 분포하는 최고위 하성단구의 형성기 이후에는 한반도의 동. 서해안이 거의 같은 양의 지반융기를 받았을 가능성도 높아졌다.

  • PDF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내 지형변동에 따른 식생면적의 변화 (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 류성훈;이인철;박소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24
    • /
    • 2009
  • In order to analysis the variation in vegetation area caused by topographical change at Jinudo in the Nakdong estuary, we used aerial photographs of Jinudo from 1998 to 2006. To extract an accuracy shoreline from these aerial photographs, a tide calibration was performed. We also estimated the annual variation i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a corre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alibrated shoreline distance of Jinudo from 1998 to 2006 was estimated to have a range of (-)1,927 cm to (+)4,671 cm. 2) Annual changes in the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n Jinudo have been increasing gradually from 199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pographic area and vegetation area is 0.97. 3) The estimated topographic areas were with following order: southern (III), eastern (IV), northern (II) and western (I), while for the vegetation area, the order was southern (III), northern (II), eastern (IV) and western (I). 4) The vegetation area of the southern region (III) of Jinudo had the largest size among the regions, and was calculated to be $4.3{\sim}5.4$ times larger than the eastern region (IV).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현황 (Current Status of Alien Plants in the Reservoir Shoreline in Korea)

  • 조현석;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274-283
    • /
    • 2015
  • 저수지 호안은 생물 침입에 취약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침입식물의 종조성의 현황과 외래식물상과 환경요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양한 수위 관리를 하고 있는 35 개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과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은 56 종이 발견되어 출현식물 총종수의 15%를 차지하였다. 이들 외래식물을 도입시기별로 분류하면 1876 - 1921 년인 개항 직후에 도입된 것이 57%로서 많았다. 또한 이들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와 유럽이 80% 이상으로 많았다.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위 관리와 기타 인간 교란이 가해지는 저수지 호안은 외래식물의 침입에 취약하였다. 저수지 호안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하여 외래식물의 초기 도입을 탐지할 수 있는 주기적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Build-up of the Temperature Field due to a Point Heat Source in Shallow Coastal Water with Oscillatory Alongshore-flow

  • Jung, Kyung-Tae;Kim, Chong-Hak;Jang, Chan-Joo;Lee, Ho-Jin;Kang, Sok-Kuh;Yjm, Ki-Da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63-74
    • /
    • 2003
  • The build-up of the heat field in shallow coastal water due to a point source has been investigated using an analytical solution of a time-integral form derived by extending the solutions by Holley(1969) and also presented in Harleman (1971). The uniform water depth is assumed with non-isotropic turbulent dispersion. The alongshore-flow is assumed to be uni-directional, spatially uniform and oscillatory. Due to the presence of the oscillatory alongshore-flow, the heat build-up occurs in an oscillatory manner, and the excess temperature thereby fluctuates in that course and even in the quasi-steady state. A series of calculations reveal that proper choices of the decay coefficient as well as dispersion coefficients are critical to the reliable prediction of the excess temperature field. The dispersion coefficients determine the absolute values of the excess temperature and characterize the shoreline profile, particularly within the tidal excursion distance, while the decay coefficient determines the absolute value of the excess temperature and the convergence rate to that of the quasi-steady state. Within the e-folding time scale $1/k_d$ (where $k_d$ is the heat decay coefficient), heat build-up occurs more than 90% of the quasi-steady state values in a region within a tidal excursion distance (L), while occurs increasingly less the farther we go to the downstream direction (about 80% at 1.25L, and 70% at 1.5L). Calculations with onshore and offshore discharges indicate that thermal sprea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horeline is reduced as the shoreline constraint which controls the lateral mixing is reduced.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long-term records of in situ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is addressed. Interactive use of analytical and numerical modeling is recommended as a desirable way to obtain a reliable estimate of the far-field excess temperature along with extensive field measurements.

한강유역(漢江流域)의 현생퇴적물(現生堆積物)에 관한 연구(硏究) -입도(粒度), 중광물(重鑛物) 및 유용원소(有用元素)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Recent Sediments of Han River -Grain Size, Heavy Minerals and Trace Elements-)

  • 소칠섭;이기형
    • 자원환경지질
    • /
    • 제7권3호
    • /
    • pp.87-100
    • /
    • 1974
  • This paper deals with grain size analysis, heavy mineral analysis and trace element analysis of the recent sediments of Han River basin between Cheongpyong, Gyeonggi province and Seoul. For each location the samples are taken at river shoreline, river berm and river dune. The size analysis discloses that the mean values range from $-1.37{\phi}$ to $-1.60{\phi}$, sorting values range from 0.25 to 1.84, skewness values range from -0.44 to 0.51 and kurtosis values range from -0.1 to 1.75. Based on the textural parameters, the dune s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horeline-berm sand. The content of heavy minerals of each sample ranges from 0.04 to 4.7%. The principal heavy minerals are ilmenite, magnetite, leucoxene, garnet, amphibole, pyroxene, kyanite, zircon, monazite, tourmaline, epidote, limonite, and minor minerals are apatite, sillimanite, andalusite and olivine. In general, dune sand samples contain more heavy minerals than the samples of shoreline or berm sand. This suggests that the heavy mineral concentration is affected by wind action more than by any other causes. The content of ilmenite and leucoxene decreases, whereas the content of zircon and epidote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downstream region. The differences result from the variance of geological occurrences. The emission spectrochemical analysis and colorimetry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tent of Ni and V in the heavy minerals of the study area a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eam sediment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Cu, Ph, Zn, Mo, W, P, Mn, Cr, Ag and Sn are lower in the study area. It has been observed also that the contents of all the elements except for Bi are higher in this area than the samples of marine sediments of Yellow S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