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length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38초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ormancy Level and Carbon Concentration on Freezing Hardiness in Bourse Shoot of 'Fuji' Apple Tree)

  • 권헌중;박무용;송양익;사공동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1-161
    • /
    • 2016
  • 본 시험은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사과나무의 과대지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M.26과 M.9에 접목된 성목기 '후지' 사과나무의 과대지였다. 과대지의 휴면 정도는 자발휴면기(1월말), 자발휴면 타파 초기(2월초), 자발휴면 타파 후기(2월말), 발아기(3월말) 및 개화기(4월말)로 구분 하였다. 저온처리 범위는 $0^{\circ}C$부터 $-40^{\circ}C$ 사이였다. 탄소 함량의 차이에 따른 내동성은 갈색무늬병에 의해 낙엽이 심하게 발생한 '후지'/M.9 사과나무(낙엽구)와 과다결실에 의해 평균 신초장이 20cm 이하였던 '후지'/M.9 사과나무(수세가 약한 시험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과대지의 내동성은 자발휴면 타파 후에 약해졌다. M.9와 M.26에 접목된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탄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으며, M.9과 M.26 대목에 접목한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 차이는 없었다. 건전구에 비해 낙엽구의 과대지는 C/N율이 낮았고, 수세가 약한 시험구는 탄소 함량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낙엽구와 수세가 약한 시험구의 내동성은 건전구보다 약하였다.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적 생육특성 III. 가을철 생육의 품종간 차이 (Seasonal Growth Chrateristic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II. Varietal differences in autumn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8
    • /
    • 1992
  • 본 시험은 가을철 생육기에 perennial ryegrass 5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품종에 대한 생물학적 수량(지상부중+지하부중), 지상부중(엽중+경중), 근중, 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경수, 근장,근장/근중 및 1 경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는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악화되었다. 2. 가을철 수량구성요소의 비솔은 지상부 73%, 지하부 27%였다. 3. 생물학적 수량이 많았던 품종은 Tempo, Maprima 였으며 P-2, Caliente등이 적었다. 4. 수량구성요소는 Tempr 품종에서 경중, 근중, 근장/근중, 1 경중이 많았고 Caliente 품종은 엽중, 경중,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1 경중이 적었다. 5. 조사시기별 생물학적 수량은 4~5차(10월 4일 ~10월 8일 )에 가장 높았으며, 3~4차(9월 30일~10월 4일)에 가장 낮았다. 6. 품종별 생물학적수량은 Tempo는 5~6차(10월 8일 ~10월 12일), Marprima는 1~2차(9월 22일 ~9월 26일), Manhattan, P-2, Caliente는 4~5차(10월 4일 ~10월 8일)에서 많았다.

  • PDF

노지(露地) 및 P. E. film 피복하(被覆下)에서 제초시기(除草時期)와 기간(期間)이 땅콩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Growth and Yield of Peanuts Affected by Weeding Time and Periods in Bare Soil and Under the P. E. film Mulch)

  • 강광희;이석순;이계홍;황형백;이상백;예병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7
    • /
    • 1987
  • To know the effects of weeding periods (weeding from 12 days, 28 days and 42 days after seeding to harvest, and weeding from seeding to 14 days, 28 days and 42 days after seeding) and growing conditions such as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mulch (P.E. mulch) and bare soil on growth and yield of peanuts, "Yeongho-Tangkong" was planted on May 10, 1984. Under P.E. mulch, the number of weeds was higher, but the weed dry weight was lower than in bare soil by the middle of July. Sixty days after seedings, the length of main stems in weedy check plots was longer, but shoot dry weight was lower compared to weed free plot.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weed dry weight and the shoot dry weight of peanut on July 14, the growth retardation of peanuts due to weeds was showed earlier under P.E. mulch than in bare soil. Shoot dry weight, shelling ratio, number of seeds per pod, 100 pod weight, and seed yield were higher under P.E, mulch compared to bare soil. But weed dry weight, length of branches,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and pod yield were similar between P.E. mulch and bare soil. Shoot dry weight of peanuts, length of branches,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pod yield, 100 pod weight, 100 seed weight, and seed yield in weed free plots from 28 days after seeding to harvest (28 DAS-Harvest) were higher compared to weed free plots from 42 DAS-Harvest. However, in the weed free plot from seeding to 42 days after seeding seed yield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weeding plot due to lower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When weed was not controlled at the later growth stages of peanuts, reduction in seed yield due to weeds was greater in bare soil than that under P.E. mulch.

  • PDF

사과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M.9 대목 노출길이의 영향 (Effect of the Exposed Length of Dwarf Rootstock M.9 on Growth and Yield of 'Seohong', 'Summer Dream' and 'Honggeum' Apples)

  • 권영순;권순일;김정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8-172
    • /
    • 2016
  • 사과나무의 수세는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환경 조건, 재배 관리, 대목 종류 및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목 종류 및 적정 노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나무의 생육, 생산성 및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 된 '서홍', '썸머드림', '홍금'에 적합한 대목 노출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M.9 자근대목에 각각 접목한 후 접목부가 지면에서 10, 20, 30 cm로 노출되게 재식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은 대목 노출이 짧을수록 TCA 증가가 컸다. 재식 6년차의 TCA는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각각 '서홍' 70, 60, '썸머드림' 88, 66, '홍금' 55, 41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또한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수폭, 신초장, 정단신초장의 영양생장량이 더 우수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수량 역시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 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6년차 누적수량의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서홍' 77, 63, '썸머드림' 85, 76, '홍금' 73, 5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대목 노출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영양생장과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M.9 대목의 노출 길이는 10cm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뽕나무의 온실재배에서 신초 생육 특성과 기상 요인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and Climatic Factors in Greenhouse Cultivation of Mulberry)

  • 김호철;권태오;배종향;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78
    • /
    • 2012
  • 본 연구는 전북 부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뽕나무를 대상으로 온실 재배를 통하여 조기 수확 및 안정적 수확량 확보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신초 생육 특성과 이에 관계하는 기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발아 및 착색 시기는 온실의 뽕나무에서 노지에 비해 18~19일 정도 빨랐고, 발아시에서 착색시까지의 일수는 39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39일 동안 온실에서 뽕나무의 신초 길이, 신초당 착과수는 노지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마디수는 적었다. 생육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주별 광량은 노지에 비해 0.3~0.8배 범위 수준이었고, 총 누적량은 절반수준으로 아주 적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주별 누적온도는 노지와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후반기로 가며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총 누적량도 노지에 1.1배로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생육 기간 동안 상대습도는 온실에서 53~94.5%로 노지에 비해 대부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뽕나무는 광의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인 수량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어 온실 재배 작목으로 적합하다.

고구마 정단분열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casein의 영향 (Effect of Casein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Shoot Apical Meristem Explant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 신공식;노경희;이연희;박용환;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67-72
    • /
    • 2004
  • 고구마의 정단배양에 의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대량증식 체계가 개발되어져 왔다. 고구마 정단분열조직은 1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 4주 경에 최적의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2,4-D가 첨가된 배지에 casein을 첨가함으로써 고구마 신천미 품종의 배발생 효율을 최고 90%이상으로 2.4-D단독처리보다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의 유도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제거된 MS 기본배지에서 효과적으로 형성되었으며 300∼500mg/L casein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더 높은 형성 빈도와 녹색의 단단한 체세포배가 발달하였다. 한편, 2mm이하의 체세포배로부터 이차 배발생 캘러스 형성 및 체세포배의 발달이 100∼300mg/L casein의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배발생 캘러스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직접 MS기본배지에서 쉽게 각 기관이 형성되었으며, 발근과 shoot를 발달시켜 정상적인 식물체로 하여 토양에 성공적으로 옮겨 심을 수 있었다.

지렁이분립의 혼합상토가 고추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thworm Cast Mixtures on the Growth of Pepper(Capsicum annuum L.) Seedlings)

  • 전하준;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5-84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the mixtures of earthworm cast, peatmoss, and vermiculite as a vegetable plant growth medium on the growth pepper seedlings. The mixed ratios of earthworm cast-peatmoss-vermiculite were 40-20-40, 40-30-30, 40-40-40, 50-20-30, 50-30-20, 60-10-30, 60-20-20 and 60-30-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lant length, leaf area,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per plant for growth stages and mixed ratios(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both of them. 2. The nursery soil with earthworm cas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in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dn biological yield per plant. The sh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per plant were high in the treatment including 60% of the earthworm cast to the 3rd week and in the one including 50% from the 4th week. But in root dry weight, the treatment including 40% of it was higher than treatment of the others. 3. The shoot dry weight per plant in treatments consisting both of 40% of earthworm, 40% of peatmoss and 20% of vermiculite and of 60%, 10% and 30%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control treatment(p<0.05). 4. The average relative growth rates of shoot dry weight, root dry weight and biological yield for all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e ratio of control treatment except the ration of the treatment consisting of 60% of earthworm, 20% of peatmoss and 20% of vermiculite.

  • PDF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