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wreck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 초기 조운선(마도4호선)에서 출수된 숫돌의 비파괴 재질 분석 연구 (Non-Destructive Material Analysis of Whetstones Discovered in Grain Transport Ship of the Early Joseon Period)

  • 공달용;김재환;박은영;조용철;양기홍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661-674
    • /
    • 2023
  • 충남 태안 해역에서는 2014년 국내 수중발굴 역사상 처음으로 조선시대 선박이 발견되어 마도4호선으로 명명되었다. 마도4호선은 발굴된 유물을 통해 1417~1425년(태종~세종) 사이 나주에서 공물을 싣고 한양으로 가다 침몰한 조운선임이 밝혀졌다. 마도4호선의 선체에서는 공물로 적재된 총 27점의 미사용 숫돌이 발견되었다. 27점 숫돌은 모두 폭이 좁고 긴 막대기 형태이며. 길이, 폭, 두께 및 무게의 평균값은 각각 161.5mm, 36.1mm, 22.7mm 및 253.2g 이다. X-선 회절 분석 결과, 구성광물은 석영, 알칼리장석, 사장석으로 고해상도 디지털 실체현미경 분석 결과와 유사하다. 마도-2672와 2673의 평균 공극률은 각각 2.69%와 1.78%, 평균 표면 경도는 각각 807.2HLD와 834.5HLD로 공극률이 일정 이상 증가하면 표면 경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은 모두 장석질 사암(Arkose)이며 SiO2의 함량은 평균 74.51%로 숫돌로서 적합함이 확인되었다. 27점의 숫돌은 SiO2의 함량을 기준으로 구분할 때, 중간 숫돌에 해당한다. 이들 숫돌은 크기와 무게가 작고 휴대하기 편리한 특징을 갖고 있어 비고정식 숫돌의 한 종류로 추정되며, 조선시대 무기 연마와 공예품 제작 등 특수분야에 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라만분광현미경을 이용한 흑유자 유약 내 철산화물의 변화 양상 연구 -신안선 출수 흑유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ing Properties of Iron Oxides in Black Glazes using Raman Microscope -Focused on Black Glazes Excavated in Shinan Shipwreck-)

  • 박진호;유혜선;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7-129
    • /
    • 2019
  • 신안선에서 발견된 흑유자 중 자주요계, 차양요, 홍당요 등 3곳으로 분류된 6점의 유약에 대해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홍당요는 유약 두께가 얇고 자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차양요와 자주요계 흑유자의 경우 단면상으로는 서로 공통점이 확인되었으나 라만 매핑 이미지를 통해 자철석의 분포 범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과 흑유자의 유약 형성 조건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소성 실험 결과, 발색제로 사용된 적철석($Fe_2O_3$)은 $1250^{\circ}C$ 보다 높게 소성될 때 자철석($Fe_3O_4$)으로 변하여 흑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당요 흑유자는 약 $1200^{\circ}C$, 자주요계와 차양요 흑유자는 $1250{\sim}1300^{\circ}C$에서 소성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만 고대 가마의 소성 특성을 고려할 때 자철석의 영역이 유약 표면까지 확장될 수 있을 정도로 오래 소성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흑유자 유약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 및 매핑 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더불어 추가적인 실험이 이루어진다면 흑유자의 제작 조건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헌에 보이는 미얀마 흑유대호(黑釉大壺, 일명 Martaban Jar)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arge Black Glazed Jar of Myanmar(Martavan Jar) in the Documents)

  • 김인규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2호
    • /
    • pp.329-358
    • /
    • 2011
  • The pottery and porcelain of Myanmar is very various such as Celadon, Black glazed large Jar and White galzed Jar painted Green Colour. In these Myanmarese Ceramics, Black glazed large Jar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 and Role of Myanmar Ceramics. The description on the Black glazed large Jar of Myanmar is seen in several Books such as a travel essay of Ibun Battuta, Duarte Barbosa, The book of Duarte Barbosa: A Account of the Contries Bordering on the Indian Ocean and their Inhabitants, Jan Huygen van Linschoten, Volker, T., Porcelain and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These descriptions on the Black glazed Jar in these Books are important evidence to discovery the existence of it and its Types and Price and Use. The appearance of Black glazed Jar of Myanmar is considered in the Middle of 14C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ook of Ibn Battuta. Furthermor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of China in the Sinan, Chellanamdo, it is certain that the Black glazed large Jar was already existed in the early of 14C.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Shipwreck of China in the Sinan, Chellanamdo was started from Ninbo(寧波) of China to the destination of Japan with the Inscrition made Bamboo. So we know that The route of $Ninbo{\rightarrow}Korea{\rightarrow}Japan$ is very important in the Trade Ceramics of East Asia in 14C. And The size of Black glazed Jar has 3 types, Large, Middle and Small. The large type is used as a Tools for Water and Oil. The small type is the personal bottle for drinking. The Price of Black glazed Jar of Myanmar was changed as times go by. The price of the late of 16C and the early of 17C is 30 prolin and the late of 17C is 8 Prolin. The price of the Black glazed Jar of Myanmar in the late of 16C and the early of 17C is estimated 3 times for the price of the late of 17C. and This change of the price of Myanmarese Black Glazed Jar is decided on the Demand and Supply. and the Black glazed Jar of Myanmar was mainly used for the tools for Morpin in the year of 1620 and for Salt and Sugar in the year of 1640 and for Water and Oil in the late of 17C.

동해에서 지구 물리 이종방법간의 결합시스템을 활용한 침선 수색의 효용성 연구 (Efficient Searching for Shipwreck Using an Integrated Geophysical Survey Techniques in the East Sea of Korea)

  • 유이선;장남도;정섬규;이승훈;이철구;김선효;조진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355-364
    • /
    • 2022
  • When the 60-ton-class patrol boat '72' of the Korea Coast Guard (KCG) was on duty and she accidentally collided with another patrol boat ('207', 200-ton-class) and sank. A month-long search found a small amount of lost items, but neither the crew nor the ship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39 years since the accident,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searched the boat 72 using the latest integrated geophysical techniques. A number of sonar images presumed to be of a sunken ship was acquired using a combined system of side scan sonar and marine magnetometer, operated at an altitude of approximately 30 m from the seabed. At the same time, a strong magnetic anomaly (100 nT) was detected in one place, indicating the presence of an iron ship. A video survey using a 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 (ROV) confirmed the presence of a shielding part of a personal firearm at the stern of the sunken vessel. Based on these comprehensive data, the sunken vessel discovered in this exploration was assumed to be '72'. This result is meaningful in terms of future ocean exploration and underwater archaeology, as the integrated system of various geophysical methods is an efficient means of identifying objects present in the water.

조난 수신 시, 인지력 향상을 위한 자동음성경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영습;최창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6-208
    • /
    • 2013
  • 1912년 타이타닉호 사고로 인해 1490명의 희생자 발생되어, 해상에서 인명안전을 국제적으로 검토, 이로 인해 GMDSS(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제도가 국내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현(現) 해상에서 조난 긴급 안전 및 일반적인 사항 관련 메시지 수신 시 전 세계 모든 장비가 아직까지 단일화된 비프(Beep)음으로 구성되어 운영자의 인지력 저하, 안전불감증 등 총체적인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는 바, 이에 조난과 같은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음성경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단 한 면의 소중한 인명을 구하고자 한다.

  • PDF

셰익스피어와 음식-『토마스 모어 경』, 『코리올레이너스』, 『페리클리즈』를 중심으로 (Shakespeare and Food: Examples of Sir Thomas More, Coriolanus, and Pericles)

  • 한영림
    • 영어영문학
    • /
    • 제57권4호
    • /
    • pp.651-674
    • /
    • 2011
  • This paper approaches Sir Thomas More, Coriolanus, Pericl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food to national identity. These three plays examine ways in which food is essential to what constitutes English national identity, and food shortages give rise to riots thereby throwing everyday life into disorder. In Sir Thomas More food shortages are caused by foreign foodstuff and foreign habits of consumption. Rioting Londoners fear that the European foreigners' strange dietary habits would do harm on English food, the English body and English economy. In Coriolanus starvation is the primary trigger for the enmity between the senators and citizens. Menenius employs the fable of the belly to quell the hungry citizens' anger and to emphasize the senators' role as a store of nutrition to feed the body, that is, the citizens. Coriolanus' contempt for the body's need comes to a devastating end. In Pericles the famine is brought about by the gluttonous consumption of specific foods. The problem of greedy consumption becomes that of living in the cannibalistic situation where mothers are willing to eat their children and married couples one another. Pericles feeds the hungry people with bread, and is also saved from starvation by the fishermen after shipwreck. In this way the three plays provide the examples of Shakespeare's notion on healthy food and feedin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함침처리한 완도선 목재의 표면 안정화를 위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처리효과 (Effect of Hydroxypropyl Cellulose Treatment for Surface Stabilization of Waterlogged Wood of Wan-do Shipwreck Impregn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 김응호;한규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5
    • /
    • 2016
  • 수침고목재인 목재유물의 보존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PEG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 방법의 단점인 표면 결함에 대한 안정화처리를 위해 HPC를 도포하였다. HPC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외관 및 실체현미경 관찰, 색차, 중량변화율, 치수변화율을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재시료의 표면에 HPC가 얇은 층을 형성하였고, 가도관의 관공과 균열의 틈 사이를 메우고 있었다. HPC 1,000,000을 처리한 시료의 부후되지 않은 표면에서 나타난 백화현상을 제외하고 다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열화시킨 시료는 수분 흡착에 의한 색변화가 나타났다. 시료 표면의 얇은 HPC 층은 열화 후에도 유지되고 있었으며, 수분 흡착에 의한 중량변화와 치수변화는 HPC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굴된 보물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regime relating to ownership of excavated treasure ship)

  • 이창우;강신영;이상집;김영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2
    • /
    • 2002
  • 여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도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지만 상당량의 보물선이 침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최근 우리나라 영해에서 보물선 탐사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몇 건의 문화재 관련 발굴 사례 이외에는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없지만 앞으로 계속적인 발굴작업으로 인하여 보물선 발굴 사례의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만약 침몰선을 인양했을 경우에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들과 그 절차들, 그리고 침몰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국내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과 국제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존재하는 법시스템의 몇가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태안 마도1·2호선 해양 유물로 본 고려시대의 음식 문화 (Food Culture of Koryo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Marine relics of Taean Mado shipwrecks No. 1 and No. 2)

  • 고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99-51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the Koryo Dynasty during the early 13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of wooden tablets and marine relics from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wrecked at sea off Taean while sailing for Gaegyeong containing various types of grain paid as taxes and tributes. The recipients of the cargo on the 1st ship of Mado were bureaucrats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place of embarkation was the inlet around Haenam (Juksan Prefecture) and Naju (Hoijin Prefecture) in Jolla-do.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37 items of rice, cereal, and fermented foods. The measures used in the records were seok [石-20 du (斗)] for cereal, seok [15 du, 20 du] for fermented soybean paste, and pot (缸) and volume (斗) for salted fish. The places of embarkation on the 2nd ship of Mado were Jeongeup (Gobu Prefecture), Gochang (Jangsa Prefecture, Musong Prefecture), etc. On wooden tablets were recorded 29 items of rice, cereal, fermented foods, seasame oil, and honey. The volume measure for yeast guk (麴), the fermentative organism for rice wine, was nang [囊-geun (斤)], and the measure for sesame oil and honey, which were materials of oil-and-honey pastries and confections, was joon (樽-seong, 盛). Honey and sesame oil were luxury foods for the upper-class people of the Koryo Dynasty, and they were carried in high-quality inlaid celadon vases in Meibyung style. Food names and measures written on wooden tablets and actual artifacts found in the 1st and 2nd ships of Mado are valuable materials for research into agriculture, cereal, and fermented foods of the Koryo Dynasty in the early 13th century. Besides, relics such as grains and bones of fish and animals from the Koryo Dynasty are expected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sable in studies on food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발굴된 보물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regime relating to ownership of excavated treasure ship)

  • 이창우;강신영;이상집;김영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1-516
    • /
    • 2002
  • 여러 자료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도 정확 수는 알 수 없지만 상당량의 보물선이 침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최근 우리나라 영해에서 보물선 탐사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몇 건의 문화재 관련 발굴 사례 이외에는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없지만 앞으로 계속적인 발굴작업으로 인하여 보물선 발굴 사례의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만약 침몰선을 인양했을 경우에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들과 그 절차들, 그리고 침몰선의 소유권과 관련한 국내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과 국제법적 문제 및 해결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존재하는 법시스템의 몇가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