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eld

검색결과 1,461건 처리시간 0.027초

수상함 MIL-SATCOM과 ES간의 전자기 간섭 개선을 위한 EMI 차폐판 최적설계 연구 (A Study on EMI Shield Optimization for Improvement of EMI between MIL-SATCOM and ES on a Surface Ship)

  • 장호성;함영훈;조관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17
  • During the sea trial test, we discovered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MIL-SATCOM parabolic antenna and ES(Electronic Warfare Support) omni antenna. Emitted side lobe of CW(Continuous Wave) from MIL-SATCOM raises the threshold level of ES omni antenna. Therefore detection rate of ES is de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the path of side lobe of CW from MIL-SATCOM should be blocked using EMI shield.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how to calculate the size of EMI shield, material, and optimized deployment. The test of the EMI shield effect was performed on a surface ship. After installing EMI shield, EMI has been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paper will provide a method how to design EMI shield and a way to verify the result.

입-입 인공호흡(Mouth-to-mouth ventilation)을 위한 감염방지 도구의 병원성 세균 여과 효과 (Effect of a pathogenic bacteria filtration instru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during mouth-to-mouth ventilation)

  • 심규식;김은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9-5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athogenic bacteria filtration instru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during mouth-to-mouth ventilation. Methods: Two kinds of face shields were used for the study. One rescuer blew the filter through a bag valve mask and the filter was then cultured for bacteria. The mask was tested both on the front and back side. Results: Two kinds of face shields including the KF shield and CM shield were tested. The KF shield has received national certification and it prevented transmission of bacterial infection but the CM shield showed the opposite result and did not prevent bacterial transmission. Pathogenic bacteria were found on the back of the CM shield. Conclusion: A certified face shield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bacterial transmission. Face shields should be demonstrated and used by paramedic students.

수치해석과 현장 계측값 비교를 통한 Shield TBM 지표침하 영향요소 검토 (A Study on Key Factors of Ground Settlement Due to Shield TBM Excava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Field Measurement Comparison)

  • 전기찬;김동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2017
  • 본 연구는 Shield TBM공법을 이용한 터널 굴착시 지표침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영향정도를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막장압, Skinplate 주면압, 굴진장, 지반모델, 요소망 크기, 통과지반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제 시공된 Shield TBM을 변위제어방법과 응력제어방법으로 모델링하여 현장 계측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Skinplate 주면압과 지반모델이 가장 큰 영향요소이며, 통과지층에 따라 적절한 Skinplate 주면압을 입력시 현장 계측값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PI강재의 파이버레이저 용접시 유기하는 플라즈마의 방사특성 (III) - 보호가스가 플라즈마 방사 신호에 미치는 영향 - (Characteristics of Plasma Emission Signals in Fiber Laser Welding of API Steel (III) -The Effect on Plasma Emission Signals by Shield Gas-)

  • 이창제;김종도;김유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1권3호
    • /
    • pp.60-65
    • /
    • 2013
  • Ar, $N_2$, and He are the conventional kind of shield gas that are used for laser welding. Many researches on the impact of laser welding shield gas have been done, and it is on going until now.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analyze the changes and differences of the plasma emission sign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 in the penet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hield gas during fiber laser welding impacts to the plasma signal. As a result, if was checked that the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of Ar, $N_2$, and He affects to the amount of spatter, and also found that the measured plasma radiation signal changes similar to the order o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gases. Especially, clear change on the signal intensity per each shield gas was measured through RMS, and found that the shield gas was nothing to do with the FFT analyzed result.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base-isolated AP1000 nuclear shield building subjected to beyond-design basis earthquake shaking

  • Wang, Dayang;Zhuang, Chuli;Zhang, Yongsh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170-181
    • /
    • 2018
  • Because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requirements, the nuclear structures need to maintain the structural integrity under both design state and extreme earthquake shaking. The base-isolation technology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amages of structures under extreme earthquake events, and effectively protect the safeties of structures and internal equipment. This study proposes a base-isolation design for the AP1000 nuclear shield building on considering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the seismic isolation systems and devices of shield building. The seismic responses of isolated and nonisolated shield buildings subjected to design basis earthquake (DBE) shaking and beyond-design basis earthquake (BDBE) shaking are analyzed, and three different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 displacements subjected to BDBE shaking are performed. By comparing with nonisolated shield buildings, the floor acceleration spectra of isolated shield buildings, relative displacement, and base shear force are significantly reduced in high-frequency reg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base-isolation technology is an effective approach to maintain the structural integrity which subjected to both DBE and BDBE shaking. A displacement control design for isolation layers subjected to BDBE shaking, which adopts fluid dampers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isolation layer is developed. The effectiveness of this simple method is verifi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냉동기에 의해 냉각되는 복사열차폐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Thermal Radiation Shield Cooled by Cryocooler)

  • 최연석;;김동락;양형석;이병섭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171-2174
    • /
    • 2008
  • The design of thermal radiation shield cooled by a cryocooler is presented. This study is motivated mainly by our recent development of prototype superconducting magnet system for the Cyclotron K120. The superconducting magnet system is composed of the magnet cryostat, transfer line and supply cryostat. In order to minimize thermal radiation load, the superconducting coil form in the magnet cryostat is enclosed by the thermal radiation shield which is thermally connected to the first-stage cold head of a two-stage cryocooler in the supply cryostat. Since the supply cryostat is located far from the magnet cryostat large temperature gradient along the thermal shield is unavoidable. In this paper, the thermal radiation shield is optimized to minimize temperature gradient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ryogenic load, system structure and electrical load. The effect of heat source from thermal conduction through mechanical supports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rmal radiation shield is also discussed.

  • PDF

아두이노와 RFID 실드를 사용한 프로그램 개발 (Using Arduino and RFID shield program development)

  • 이경무;이성진;최철길;김진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1-964
    • /
    • 2013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서, 예술가, 디자이너, 취미 활동가 등 인터랙티브 객체 또는 환경 구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아두이노의 강점은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구성은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 168을 사용하며 아두이노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MATLAB, Processing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이며 하드웨어를 직접 제작할 수 있거나 실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아두이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아두이노는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계속해서 확장이 가능한데 이를 실드라고 통칭하고 있다. 실드는 기본 보드로 주어지는 아두이노 Uno 보드를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시켜 더 많은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도와준다. 실드의 종류로는 이더넷 실드, 모터 실드, RFID 실드 등이 있으며 이 실드는 다시 실드 위에 결합할 수 있어 단순한 확장성을 넘어선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하드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Uno 보드를 사용하였으며 추가적인 실드는 RFID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호환할 태그는 SM130 13.56Mhz 태그를 결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 PDF

TUNNELLING IN SOFT GROUND IN URBAN AREAS

  • Fujita, Keiich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THE FIRST KOREA-JAPAN JOINT GEOTECHNICAL SEMINAR ON EXCAVATION and TUNNELING IN URBAN AREAS
    • /
    • pp.9-24
    • /
    • 1990
  • Most tunnels in soft soils in urban areas are constructed by shield tunnelling method for environmental reasons. Ground surface settlements are caused by shield tunnelling so that auxiliary measures are often required. Simple methods to predict ground surface settlement are given. The use of the slurry or the earth pressure balance shield machine and the application of new methods of grouting with computer aided operation control systems decreases the ground surface settlement to 3 mm. The construction cost of tunnels is almost identical whichever type of shield machine is employ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investigation.

  • PDF

전뇌 방사선 치료 시 갑상선 차폐체의 주변선량 차폐효과에 대한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ability of the shielding effect for thyroid shield for peripheral dose during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 양명식;차석용;박주경;이승훈;김양수;이선영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5-272
    • /
    • 2014
  • 목 적 : 전뇌 방사선 치료 시 산란선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갑상선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폐체를 사용하여 갑상선의 차폐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갑상선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선형가속기(Clinac iX. VARIAN, USA)를 이용하여 6 MV X선, 300 cGy를 인체모형팬텀에 대향 2문 조사하였다. 갑상선의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인체모형팬텀의 10번째 슬라이스 표면에 유리선량계 다섯 개를 1.5 cm 간격으로 위치시킨 후 차폐체 미사용, bismuth 차폐체 사용, 0.5 mmPb 차폐체 사용, 자체 제작한 1.0 mmPb 차폐체를 사용하여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같은 위치에서 갑상선 심부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인체모형팬텀의 10번째 슬라이스 2.5 cm 깊이에서 유리선량계 다섯 개를 1.5 cm 간격으로 위치시킨 후 차폐체 미사용, bismuth 차폐체 사용, 0.5 mmPb 차폐체 사용, 자체 제작한 1.0 mmPb 차폐체를 사용하여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 과 : 갑상선의 입사표면선량은 차폐체 미사용 시 44.89 mGy로 측정되었고, bismuth 차폐체는 36.03 mGy, 0.5 mmPb 차폐체는 31.03 mGy, 자체 제작한 1.0 mmPb 차폐체는 23.21 mGy로 측정되었다. 또한, 갑상선의 심부선량은 차폐체 미사용 시 36.10 mGy로 측정되었고, bismuth 차폐체는 34.52 mGy, 0.5 mmPb 차폐체는 32.28 mGy, 자체 제작한 1.0 mmPb 차폐체는 25.50 mGy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전뇌 방사선 치료 시 방사선 조사면 밖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차 산란 및 누출 선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갑상선에 대하여 차폐체를 사용했을 때 갑상선 심부는 약 11~30%, 갑상선 표면은 약 20~48% 정도의 피폭선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전뇌 방사선 치료 시 갑상선 차폐체를 사용함으로써 갑상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hield TBM 챔버 내 mixing bar 교반 효율에 대한 기본연구 (A basic study on the mixing bar interaction efficiency in shield TBM chamber)

  • 황병현;김상환;이경헌;안준규;조성우;김연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91-105
    • /
    • 2020
  • 본 연구는 Shield TBM의 챔버 내 교반봉의 영향범위 및 배토효율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현재 국내Shield TBM의 연구에 있어 디스크 커터, 커터 비트, 세그먼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Shield TBM 굴착 시 막장면에서 유입되는 토사 및 암반들을 교반시켜 스크류 컨베이어로 배토시키는 연구는 해외에 비해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hield TBM 챔버를 축소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챔버 내부는 크기(4 mm, 6 mm, 8 mm, 10 mm)와 색(검은색, 흰색, 빨간색, 파란색)이 다른 시료를 사용해 층을 형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RPM과 교반봉의 형상 및 크기에 차이를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중력의 방향이 교반 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축소모형을 세웠을 때와 눕혔을 때의 교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이는 중력방향의 차이 외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챔버모형의 설치 방향, 내부의 교반봉 크기 및 형상, RPM에 따른 교반효과 및 Torque를 파악하였다. 교반효과 및 Torque를 비교 검토한 결과 교반봉의 형상 및 크기는 시료의 교반에 영향을 끼치며, 중력방향은 Torque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