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ed think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보행자의 시계영역에 따른 가로의 환경색채 분석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olor in Urban Street by Pedestrian Visual Fields Area)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53-61
    • /
    • 2017
  • Cityschumers experience the urban with the visual perception while walking an average speed of 4km per hour. At this time, recognition of the color field accounts for more than 70%.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nvironmental color of urban street is examined by dividing the pedestrian visual field area. In the urban street, the area of the visual field area of the pedestrian is divided into Ground Plane, Roadside, Canopy and Building Wall. In addition, we observe and color survey the environmental color of Exhibition Road, which is the northern side space of South Kensington in London, which adopted the world's first shared space. The color of the visual filed area was dominated as YR, GY, Y, PB. The Ground Pland was dominated by the Y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olor of the floor has changed due to the shadows of surrounding architecture and facilities. Roadside was dominated in various ways such as GY, BG, PB, B and P. Canopy was mainly composed of PB, GY, etc.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color of the lower part of the architecture was reflected. The architecture wall was affected by the reflectance and absorption rat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image that comes to mind when thinking about the urban is the street where pedestrians walk, feel and enjoy themselv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licy frameworks for managing and managing urban planning professionals may be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s of pedestrians active in mega cities.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Ideals Re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omas Jefferson's Academical Village and Monticello -)

  • 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80
    • /
    • 2012
  • 대체로 정원은 인간의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둘 간의 영향관계로 설명되어 왔다(Francis and Hester, 1990). 이 글은 정원을 인간의 꿈과 이상이 구축된 표상으로 간주하고 그 구체적인 면모를 토마스 제퍼슨의 정원을 사례로 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 것이다. 정치가로서의 면모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토머스 제퍼슨은 직접 여러 정원을 설계하여 조성한 후 몸소 가꾼 정원가이기도 하였다. 그가 직접 설계하고 완성시킨 몬티첼로, 아카데미컬 빌리지, 포플러 포레스트 등에는 그의 국가적 이념으로서 자유와 민주주의, 중농주의 등의 이념적 가치와 함께, 전원에 대한 지향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이상이 숨김없이 표상되어 있다. 정치가이자 신생국의 선각자로서의 이상과 함께 그의 개인적인 꿈과 신념이 공간적으로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추구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거나 그것을 공간적 도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제퍼슨의 이상은 자신은 물론 그 곳을 찾는 이들에게 재음미되고 공유되어졌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퍼슨에게 있어서 정원은 이념과 이상을 공간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무대였다고 할 수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공학 분야의 진입 능력 함양을 위한 집중 이수제 공학 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Intensive Coursework Engineering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to Enter the Engineering Fie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43-249
    • /
    • 2021
  • 대학 자체로 선정한 대학 고유의 핵심 6개 역량들 중에서 측정된 부족한 사항들을 강화시켜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학생 융합적 사고 역량과 자기 계발 역량을 최대화하는 집중 이수형 과목 형태로 공학 관련 전공 콜라주 과목을 신설하였다. 학부/학과간 공유형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고, 2020학년 1,2학기 각각에서 2개 이수 집단(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자공학전공; 26명, 광공학과; 28명) 54명을 대상으로 공통된20개 문항들의 설문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75% 이상이 장소와 시간에 자유로운 온라인 학습에 긍정적이었고, 녹화된 동영상 학습 시간내 추가적인 상호작용 활동들과 팀티칭(team teaching) 방식을 보강한 집중 이수 형태는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神人調化或神人調和 - 以大巡真理會和召會的論述為比較 -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or the Blending of God and Man: A Comparison between Daesoon Jinrihoe and the Local Church)

  • 范俊銘;姚蘊慧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509-539
    • /
    • 2020
  • 大巡真理會以《典經》為主體, 闡述神與人的思維於教義之中, 含括神聖性, 宗教性與教義性等探討價值 ; 神與人的傳統意義, 經由《典經》的詮釋, 超越倫理性, 傳統性和社會性, 跨越世俗性的終極關懷。從《典經》的角度分析, 有助於了解大巡真理會的宗旨, 組織的推行方針與未來走向。召會以《聖經》為主體, 將神與人的關連, 作為經歷神聖生命與性情的植入, 而與人的生命與性情調和 ; 神聖的生命是一直不斷地與人的生命調和, 並使之成為神聖的人, 或可稱為屬人的神聖者。此即「神人」的原因, 使人的生命成為神人的生命, 生活是神性調著人性, 作為外顯的行事為人, 性格與生活 ; 因此, 「神人調和」的說法, 作為神與人的關係詮釋, 專注於神與人之間的神聖關連, 從而延伸至召會的範圍。大巡真理會與召會, 代表著歷史, 文化, 語言, 宗教等不同的分野, 卻在神與人的超然解釋上, 各自提出「神人調化」, 「神人調和」等見解 ; 二者可尋覓出論點上的類似點和相異觀, 作為探究的區分與貢獻。

约翰内斯堡空间转型的背景, 进程与效果研究 (Analyzing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Johannesburg: Background, Process and Effectiveness)

  • Tang, Wei
    • 분석과 대안
    • /
    • 제2권2호
    • /
    • pp.93-110
    • /
    • 2018
  • Due to its speciality, Johannesburg has drawn wide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academia, which the existing urban theory cannot easily explain. This paper focuses on the spatial pattern of Johannesburg, and finds that it is highly fragmented: first North-South Division due to apartheid and gold mining, secondly, the continuous sprawl due to population densification, and thirdly formation of city-region due to the fill-in spatial policy. The fragmented spatial pattern undermines the social integration and weakens the potential economic sustainability, which make the balanced multi-core spatial pattern inevitab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planning thought. The Johannesburg's spatial transformation comes not only from social integration, but also from the development vison of world-class status of an African city. In reality, since the collapse of apartheid,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released series of strategic planning in different executive phase. These different plannings unanimously focus on the world class status although since 2008, the social inclusiveness is more emphasized. Thus, Johannesburg implements some spatial policies, as promoting the corridor of freedom, identifying the key nodes in the city then developing with high density, implementing the in-filling policy, managing the urban growth boundary, effectively preserving the natural system. However, the industrial structure in Johannesburg is already quite high-ended which cannot produce many jobs and also require much investment in advanced infrastructure. Thus, the strategic goals of world-class status of an African city and social inclusiveness which really need widely shared public services to some extent are in tension. After evaluation, we can see that spatial transformation is quite limited. Obviously spatial transformation largely depends on the social-economy. The population is still in flow. In this sense Johannesburg must energetically support the employment-based industry, effectively control the spatial sprawl and carry out institutional innovation which further incentive investment, gradually build an integrated regional governance. In general, how Johannesburg combines globalization and its own condition is still worth thinking in both theory and practice.

  • PDF

기독 교사와 현대의 시민교육의 중요한 쟁점에 관한 연구 (Christian Teachers and Citizenship Education Today : Dealing with Tensions)

  • 한나 드 종-마르쿠스;잔 판 돌위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3권
    • /
    • pp.21-37
    • /
    • 2023
  • 본 논문은 최근 네덜란드 사회의 가시적 긴장 요인으로 이민자 문제, 성적 다양성, 사회 속에서 종교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들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사회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자는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기독교교육의 의미를 일반 교육에서 그리고 특히 보수적인 개신교 학교의 교사들 속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의 현장에서 이루지는 종교교육은 주로 기독교 시민교육과 기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 연구자는 교사를 지원하고 학교 내에서 공유된 가치와 비전을 증진하는데 있어서, 학교 이사회와 행정가들의 역할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기독교 시민 교육에서 도덕성을 대신하여 기독교적 태도의 고양은 중요하고 그것은 종교교육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

협업성 강화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Enhancing Collaboration)

  • 박병준;백영태;박승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1-10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기존의 증강현실 교육 시스템이 협업성보다는 시스템과 학습자 간의 상호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들 간의 협력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협업적 교육은 학습자들이 해답을 찾기 위해 비판적인 사고와 협동의 작업을 통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교육 방식으로 학습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적극적인 상호작용, 개인 및 그룹의 책임감, 팀워크 발달 등이 필요하다. 협업적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수자는 학습활동 초기에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학습자 그룹을 형성하며, 그룹의 프로젝트에 대한 활동 평가 기준을 제공하여야 한다. 시스템은 상호작용 측면을 지원하고, 학습 활동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활동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협업적 교육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적용된 증강 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교육정책관련 여론탐색을 위한 소셜미디어 감정분석 연구 (A Study on Social Media Sentiment Analysis for Exploring Public Opinions Related to Education Policies)

  • 정진명;유기영;구찬동
    • 정보화정책
    • /
    • 제24권4호
    • /
    • pp.3-16
    • /
    • 2017
  • 웹2.0시대와 더불어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발달로 전통적인 여론형성의 기능이 매스미디어에서 소셜미디어로 일부 이동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계속 확대되고 있어, 정부 정책에 대한 소셜미디어 기반의 여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교육정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고,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도 많은 의견의 충돌이 발생되기 때문에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대중의 여론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정책관련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작성된 문서들을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교육관련 정책에 대한 대중의 여론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생산하는 교육정책 관련 문서들을 키워드 기반으로 수집하고, 토큰화 시킨 후 감성자질을 추출하고 감성사전으로부터 해당 문서의 감정을 점수화 하여, 특정 교육정책 키워드에 대한 대중의 여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교과서, 이러닝 등을 키워드로 하는 스마트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딩교육, 컴퓨터적 사고 등을 키워드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여론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창의 인성교육 등을 키워드로 하는 일반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분석 대상 문서 중에서 감정 자질이 전혀 추출되지 않은 문서가 20%나 되어 블로그나 트위터의 내용에 저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내용이 아직 일정 비율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몸의 지각론에 의한 유휴시설의 건축도시 재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e and Urban Regeneration in Korea through the Perception of Body)

  • 형형칠;조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10-221
    • /
    • 2017
  • First, we can define how our body perceives the external world and embodies its senses through the philosopher Merleau - Ponty. These philosophical orientations of Merleau-Ponty also appear to urban theorists such as Jane Jacobs, Gordon Cullen, and Juhani Pallasmaa. In other words, after the Second World War,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to human emotions and perceptions while opposing human rational thinking. Especially, they reject the abstract space of modernism and explore the everyday city space where the local character of the area lives. This place is a space where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group is shared over several generations. So, in this space, people's active perceptual system works actively. In the sense of this continuity of time, their ideas intersect with the concept of urban. Specifically, Jacobs criticizes massive development and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small block-based city with a commonality of old and new. In addition, we argue that urban space can be a visually interesting object through the continuous visual concept of urban theorist Cullen. In particular, he rediscovers the value of traditional urban space through visual experience between architecture and urban facilities. Finally, the architectural city theorist, Pallasmaa., criticizes the visual centrality of modern cities and thinks about the value of multidisciplinary space that can be experienced in archite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of reproduction in detail on the perspective of the body philosophy and urban theorists. In other words, the play space inherits the natural city time, so when our body experiences this play space, we can actively sense and perceive the various senses. So we can invoke the active external actions of our bod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ze of the reconstruction space of the architectural city, various types of body senses and responses can be. Yoon Dongju Literary Museum, which renovated the old water tank of the city, can recognize the unfamiliar sense of body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traces and smells of water in the past and the restrained visuality. In addition, Seonyudo Park, which regenerates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plant, can experience a phenomenal phenomenon through water space, old concrete and traces of steel. Finally, with the most recently played Seoul Road 7017 can experience interesting urban spaces in terms of a variety of plants, a human scale space creating movement, and a continuous visual.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Perceiv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5호
    • /
    • pp.360-375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과정에 제시된 과학 핵심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탐구를 수행하면 '과학 핵심 개념 학습',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 '과학적 사고력 함양', '과학의 본성 이해' 등의 과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핵심 개념 설정', '과학 실천 기반 교수-학습 내용 재구성', '학생의 수준 고려', '발문 및 피드백 제공', '과학적 개념 설명', '학생들의 활발한 논의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