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nnon index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reforestation approaches, agroforestry and woodlot, on plant community composition, diversity and soil properties in Madhupur Sal forest, Bangladesh

  • Hasan, Mohammad Kamrul;Islam, Md. Tariqul;Akter, Rojina;Roshni, Nasima Akther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204-217
    • /
    • 2022
  • Background: Increasing land demands for food production have led to biodiversity loss and land degradation in the Madhupur Sal forest. Reforestation activities such as agroforestry and woodlot plantation support the conservation of diversity, restoration of forest and prevention of soil erosion in degraded natural Sal forest. Knowing about these reforest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needed to compare the species composition, richness, and soil nutrients of these two plantation activities to the natural Sal forest in the degraded Madhupur Sal forest in Bangladesh.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in between the reforestation activities, the highest Shannon-Wiener index (1.79), evenness (0.60) and Simpson's index (0.79) were found in the agroforestry site compared to the woodlot plantation site. On the contrary,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n = 14), tree basal area (19.56 m2 ha-1), Margalef's index (1.96) were recorded in woodlot plantation than in the agroforestry site. We observed that at 0-15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2.39%), total nitrogen (0.14%), available phosphorous (62.67 ㎍ g-1) and exchangeable potassium (0.36 meq/100 g) in agroforestry plot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forest sites. At topsoil (15-30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1.67%) and available phosphorous (21.09 ㎍ g-1) were found to be higher in agroforestry site. Conclusions: Both reforestation approaches improved soil function, although woodlot plantation had the higher species richness. Therefore, plantation activities by th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these two practices are the best alternative to restore the biodiversity, richness and conserve soil fertility in the Madhupur Sal forest of Bangladesh.

오대산국립공원 중대사-비로봉 구간 식물군집구조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Jungdae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 한봉호;최진우;노태환;김동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64-776
    • /
    • 2015
  •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해발 1,000m 이상의 고지대인 중대사~비로봉 구간에 대한 산림식생현황 및 천이계열, 변화양상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대사~비로봉 구간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m{\times}20m(400m^2)$의 방형구 17개소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조사구별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표본목의 생장량 및 수령, 유사도지수, 종다양도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DCA분석 결과, 군집 I(신갈나무-피나무군집), 군집 II(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III(신갈나무-잣나무군집), 군집 IV(전나무-신갈나무군집), 군집 V(전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5개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조사구별 상대우점치 분석결과,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높을수록, 전나무는 해발고가 낮을수록 군집내 상대 우점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군집 I, 군집 II, 군집 III은 현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군집 IV, 군집V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이 약화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본목의 수령은 85~161년(평균 123년)이었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5개의 군집은 이질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해발고의 군집 I과 낮은 해발고의 군집 IV, V간의 이질성이 높았다. 단위면적 $400m^2$당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 III(1.1109) > 군집 II(1.0475) > 군집 I(1.0125) > 군집 IV(0.9918) > 군집 V(0.8686)의 순으로 높았다.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의 종다양도는 과거 연구 및 주변 지역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반면, 전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의 경우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 김정연;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5호
    • /
    • pp.309-316
    • /
    • 1990
  •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은 대체적으로 열량이나 단백질이 켰으며 비타민 A와 C는 다양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을 각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따라 Quartile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영양소의 섭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섭취한 식품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나이아신, 비타민 C는 예외를 가지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는 섭취 수준에 따라 다양성의 증가가 일관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소 섭취 수준을 측정하는데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가 유용하며 칼슘과 같은 영양소는 Nutrient-specific diet diversity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양소 섭취 수준에 따라 열량 섭취(예외 : 비타민 A, C)와 식이 영양 밀도도 높았다.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열량 섭취 증가가 그 영양소 섭취 수준의 증가를 더 중요하게 설명해 주며 비타민 A와 같은 영양소는 식이 영양 밀도가 이러한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제언하는 바 더 폭 넓은 대상을 중심으로 여러 계절에 걸친 조사의 뒷받침하에 균형식을 이루기 위한 일반적인 식품 섭취의 다양성 정도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와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를 사용하여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는데 모든 집단 및 모든 영양소에 대해 적용 가능한 신뢰성있는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합천군 덕진천의 동물상에 대한 다양성 (Fauna Diversity at the Deukjin River, Hapcheon-gu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09
    • /
    • 2018
  • 생물다양성은 생존하는 유기체들의 변이성으로 정의하며 지구상의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계를 구성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합천군 덕진천에 서식하는 동물의 종조성과 다양성을 공간적 시간적 양상으로 실시하였다. 2016년 시즌에 동정된 포유류, 연골어류, 경골어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종의 수는 55분류군이었다. 포유류의 Berger-Parker's index (BPI)는 0.233(지점 A)에서 0.333(지점 D)로 나타났다. 포유류와 조류에 대한 Shannon-Weaver index (H')와 두 다른 다양성 척도(N1과 N2)는 상류지역이 하류 지역보다 높았다. 동물 분류군에 대한 ${\beta}$-다양성은 어류 0.229에서 무척추동물 0.339까지 나타났다. 동물종에 대한 풍부도 지수는 지점과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 지점 A는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에서 높은 풍부도를 나타내었다. 비록 다섯 동물 강에 대한 풍부도 지수(R1, R2)가 시즌 별로 다르지만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균등도 지수(E1-E5) 역시 시즌 별로 다르지만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강원 중부지역 산림 내 나비류 분포에 관한 연구(I) (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Lepidoptera on forest stand in Central Gangwon Area(I))

  • 장석준;심상준;최종운;원대성;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66-74
    • /
    • 2005
  • 본 연구는 2004년 7월과 8월에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나비목 가운데 나방류의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채집종은 14과 162종 570개체이었으며, 한계리가 12과 69종 149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진부리가 6과 12종 58개체로 가장 적게 채집되었다. 채집종중 우점을 나타낸 종은 솔송나방 40개체, 머루박각시 32개체, 애물결박각시 27개체, 물결멧누에나방 26개체, 꽃술재주나방 23개체 순으로 조사되었다. Shannon(H') 지수 및 균등도지수(J')는 봉명리 1.34, 0.86, 감정리 1.48, 0.89, 한계리 1.77, 0.94, 용대리 1.53, 0.93, 귀둔리 1.56, 0.94, 진부리 1.15, 0.83로 조사되었으며, 유사도지수(QS)는 진부리와 귀둔리가 0.11로 낮았고, 용대리와 한계리가 0.38로 가장 높았다.

  • PDF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지수 추정 (The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by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 김광택;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23-728
    • /
    • 2006
  • 산림천이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산림 구조와 기능의 변화 과정이므로 그 진행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개발 혹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진행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의 극성상지수와 구성 비율로 산출되는 천이지수를 추정하였고, 천이의 진행에 따른 군집의 생활형 구성 비율의 차이와 종다양성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의 천이지수가 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전나무-틀메나무군집이 67.4로 그 다음 순이었으며, 가래나무-층층나무군집이 60.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을 제외한 대부분 군집에서 미래의 안정상태의 상층 임관천이지수는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상층의 수종 구성은 현재 진행천이가 일어나고 있었고, 중층에서는 매체로 천이의 진행과 함께 천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폭이 미미하여 중층과 하층의 천이 진척은 거의 동일 단계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지수의 값은 생활형 중 풍수산포형과는 유의수준 5%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동물산포형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천이지수와 교목, 관목, 초본 및 전체 종의 종풍부성 그러고 Shannon의 종다양성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독도의 토양 선충상 (Soil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of Korea)

  • 김동근;박병용;류영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6
    • /
    • 2012
  • 독도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2008-2009년 2개년간 독도의 토양을 채집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식이습성군, 생태지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도에서 총 31종의 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평균 밀도는 $m^2$당 239,500마리(26,000-836,000)였고 biomass는 $103.9mg/m^2$(3.0-388.6)였다. 중요도는 Acrobeloides 속이 Prominence value(PV) 11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Rhabditidae(PV = 81.9), Prismatolaimus(PV = 39.0), Aphelenchoides(PV = 31.4) 순이었다. Feeding Group별로는 세균성선충이 전체 선충 중에서 밀도로는 77%, biomass로는 62%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그룹이었고 다음으로는 식물기생성선충과 식균성선충류였다. 동도 참소리쟁이에서 발견된 뿌리썩이선충은 신종으로 추정된다. 독도 선충의 생태적 분석 결과 Shannon and Wiener 지수(2.46), Simpson's diversity 지수(0.86), 종 균일도(0.73), 종 풍부성(1.30)을 볼 때 독도의 선충상은 종이 풍부하고, 다양한 것이 특징이며, 독도만의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겠고 이것은 경작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된 원시적 환경의 특징이다. 이번의 조사 결과는 독도의 생태적 모니터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충청북도 영동군 민주지산지역 들메나무군집 식생구조 (The Vegetation Structure of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in Mt. Minjuji, Youngdong-gun, Chungcheongbuk-do)

  • 최송현;송근준;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6-176
    • /
    • 1997
  • 들메나무군집의 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민주지산지역의 해발 700~1,100m 사이 계곡부에 10m*10m 면적의 조사구 20개를 설정,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구에 대해 classification 기법중 TWINSPAN을 이용한 결과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종조성을 살펴본 결과 민주지산 지역의 들메나무군집은 신갈나무군집에서 천이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까칩가달,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등이 부수종을 이루고 있으나 경쟁수종이 형성되어 있니 장ㄴㅎ아 토지극상림으로 판단되었다. 흉고직경급별분석에서 들메나무는 전층위에서 고르게 출현하고 있고, 군집이 안정되어 있어 종다양도(Shannon's index 0.72~0.82)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조사구당 평군종수는 11.0종, 평균개체수는 111.5주였다.

  • PDF

우리나라 소나무 주요유형지별 식생구조와 환경요인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jor Type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Korea)

  • 윤정원;김용식;김기송;성정원;박기환;이창현;신현탁;이명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67-178
    • /
    • 2014
  • The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in South Korea were grouped into 4 types;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Fraxinus sieboldiana & Rhus javanica & Quercus mongolica and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Prunus sargentii & Rhododendron mucronulatum.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varied between 0.9171 and 1.5016, while the Similarity index was varied between 43.18 and 72.16. The species of Pinus densiflora are correlated positively significant with Carex humilis var. nana, Quercus serrata and Atractylodes ovata and negatively significant with Aster scaber and Sorbus alnifolia in order.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and the environment factor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haracter of forest soil. Thus types for Pinus densiflora are differed. pH, Ex. K and Ex. Ca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effect No. of species and H'(shannon index). Canopy open effects No. of Individual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구조다양성 표현인자 연구를 통한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 (자연림) 구조 조사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of Korean Fir Natural Forest in Naesorak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tand Structure Diversity Features)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45-352
    • /
    • 2011
  •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 임분구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종다양성 추정에 사용되는 Shannon-Weaver-Index를 응용한 Herles의 구조표현인자 다양성 계산 방법을 도입하여 12개의 임분을 조사하였다. 임분 구조 변화는 당연히 phase의 변화에 종속되지만 개개인자들 간의 연관에서 자연림의 특성이 재확인되었다. 우선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의 구조는 표현인자 다양성의 결과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자 간의 상관에서 종다양성은 구조 변화 관련 전체 인자 (다양성)와 미약한 관계만 보이며,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한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는 개체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임분구조 전체의 다양성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인다. 입목축적이나 고사목 축적은 대부분 조사구에서 천연갱신고도와 연관을 보이며 다른 인자와는 별다른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구조표현인자 서로서로의 연관은 천연갱신고도와 관련하여 울폐도나 수관면적, 형태 등과 연관을 보였으며 수고나 흉고직경은 타 인자들과 별다른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내설악 전나무림 구조변화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좀 더 많은 조사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