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ince the forest succession is changing proces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forest for the long period of time, the objectivity of the proces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del or statistical methodolog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succession index based on climax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 parameters, thereupon to compare the succession index with life form and species diversity so as to grasp the information of quantitative successional process for the six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a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had the greatest succession index of 67.5, followed by Abies holophyll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with 67.4. Juglans mandshurica-Cornus controversa community was recorded the smallest value of 60.5. The succession index of overstory tended to increase considerably at the stage of steady state for all community types except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However, The index of midstory hardly varied as the forest succession would progress for all community types. The succession index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wind-water dispersion type of life form and positively to animal dispersion type at the 5% probabilit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index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pecies richness and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
산림천이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산림 구조와 기능의 변화 과정이므로 그 진행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개발 혹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진행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의 극성상지수와 구성 비율로 산출되는 천이지수를 추정하였고, 천이의 진행에 따른 군집의 생활형 구성 비율의 차이와 종다양성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의 천이지수가 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전나무-틀메나무군집이 67.4로 그 다음 순이었으며, 가래나무-층층나무군집이 60.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을 제외한 대부분 군집에서 미래의 안정상태의 상층 임관천이지수는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상층의 수종 구성은 현재 진행천이가 일어나고 있었고, 중층에서는 매체로 천이의 진행과 함께 천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폭이 미미하여 중층과 하층의 천이 진척은 거의 동일 단계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지수의 값은 생활형 중 풍수산포형과는 유의수준 5%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동물산포형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천이지수와 교목, 관목, 초본 및 전체 종의 종풍부성 그러고 Shannon의 종다양성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