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king flask cultur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형질전환된 황기 모상근으로부터 Astragalosides의 생산을 위한 연구 (High-Yield Production of Astragalosides from Transgenic Hairy Root Cultur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 황성진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23-128
    • /
    • 2006
  • 황기의 형질전환된 모상근으로부터 약리물질인 astragalosides I, II, 그리고 III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리화학적 조건들 즉, 배지, 초기 당농도, 교반속도, 초기 접종농도, 광조사, 그리고 chitosan 처리에 한 elicitation 효과를 조사 하였다. 선발된 AG-04 clone의 성장과 astragalosides의 함량은 4종의 배지들 중 SH배지에서 가장 좋았으며, 배지에 첨가하는 초기 당 농도는 3%와 6%에서 각기 건물중과 astragalosides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기 접종량은 50 ml 배지에 500 mg(FRW)씩을 주입하는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18시간 광조사가 되는 Shaking incubator에서 90 rpm과 120으로 교반시켰을 때 모상근의 성장과 astargalosides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배양 2주 후 chitosan의 처리는 모상근의 성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 mg/L 처리구에서 대조구의 약 2.1배의 astragalosides 함량 증가를 가져왔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황기의 대량배양을 통한 saponins 생산 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미생물(微生物) Inulase에 의(依)한 돼지감자 중의 Inulin분해(分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Inulin in Jerusalem Artichokes by Fungal Inulase)

  • 김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77-182
    • /
    • 1975
  • 돼지감자를 분석(分析)하여 탄수화합물(炭水化合物)로써 존재(存在)하고있는 Inulin성분량(量)이 12.09% 함유(含有)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pencillium sp 1을 돼지감자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여 과당생산조건(果糖生産條件)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돼지감자에 대(對)한 최적가수량(最適加水量)은 신선돼지감자 1kg에 대(對)하여 증류수(蒸溜水) 2.5$\ell$이다. 이때의 Inulin 농도(濃度)는 4%(W/V)이였다. 2. opt. temp는 $30^{\circ}C$, opt pH는 Initial pH로 5.0, opt cultcoral period 는 72 hrs 이였다. 3. 배양방법(培養方法)은 500ml shaking flask 에 배지량(培地量)을 50ml로 하고 120oseills/min 으로 shaking culture 가 가장 효과적(?果的)이었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써는 $NH_4H_2PO_40.1%$ 금속염(金屬鹽)으로써는 $FeSO_47H_2O$ 0.001%, $MgSO_47H_2O$ 0.001%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5. 최적배양조건하(最適培養條件下)에서 과당생성(果糖生成)은 72 hrs 까지 계속증가(增加)되었고 최고(最高)의 생산량(生産量)은 95.25%이었다.

  • PDF

오미자의 형질전환된 근으로부터 리그난 화합물의 검출 (Detection of Lignans from Transformed Root Culture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 황성진;표병식;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48-453
    • /
    • 2004
  • Transformed roots of Schisandra chinensis were obtained following co-cultivation of in vitro cultivated plantlet segments with Agrobaterium rhizogens ATCC15834. This root was examined for its growth and gomisin J contents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Among the six basal culture media tested, WPM (Lloyd & McCown, 1980) medium supplemented with 5% sucrose was the best roots growth 6.2 (g D.W/flask) and gomisin J accumulation 1.56 $(X10^{-3}\;ug/g\;D.W)$. Initial inoculum size correlated with the yield of biomass while gomisin J contents was not affect. Gomisin J production was influenced by the initial sucrose concentration and the highest production yield was achieved at the concentration of 7%. The optimal shaking speeds for roots growth and gomisin J production was 120 and 140 rpm, respectively.

Acinetobacter calcoaceticus에 의한 유지와 탄화수소의 분해 (Degradation of Fats, Oils and Hydrocarbons by Acinetobacter calcoaceticus)

  • 고정삼;고영환;김권수;양상호;강경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7-482
    • /
    • 1992
  • 유지와 탄화수소를 탄소원으로 하여 Acinetobacter calcoaceticus를 배양하여 탄소원의 분해와 균체의 생육정도를 측정하고 활성오니법을 이용한 폐수정화에 이 균주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유지와 탄화수소가 분해되었다. 삼각플라스크에 의한 진탕배양의 경우 분해율은 어유가 26로 식물성 유지의 40-54에 비하여 분해율이 낮게 나타났다. 포화지방산은 어유 중에서 약 55, 식물성유지 중에서는 6-12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Hexadecane의 분해율은 약 60로 식물성유지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탄소원의 분해에 따라 균체량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jar fermentor 배양에 의하면 모든 탄소원이 80 이상 분해되었고 균체수율도 1.00% 내외로 개선되었다.배양조건에 따라 탄소원의 분해율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초기 기질농도가 기질 분해율에 영향을 준 결과에서도 증명되었다. 유지 또는 탄화수소를 3% 함유한 인공폐수를 A. calcoaceticus로 우선 분해시키고, 그 분해산물을 활성오니법에 의하여 정화를 시도한 결과 탄소원의 농도는 0.06%이하로, 부유물질농도는 53mg/ml 이하로 각각 저하되어 이 균주를 폐수정화에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세균의 5-Fluorocytosine Deaminase의 분포와 기질 특이성 (Distribution and Substrate Specificity of 5-fluorocytosine Deamiase in Bacteria)

  • 전홍기;김동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1-366
    • /
    • 1985
  • 여러 가지 속의 세균을 대상으로 5-fluorocytosine deaminase의 생산균과 기질 특이성을 검토한 결과, 5-fluorocytosine deaminase의 생산성은 종, 속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기질로서는 cytosine, 5-fluorocytosine, 5-methylcytosine이 모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생산균 중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다고 인정되는 Xanthomonas campestris IAM 1671의 효소 생산을 위한 배지의 조성은 glycerin 0.5%, peptone 1%, yeast extract 0.5%. NaCl 0.5% (pH 7.0)로 설정하였다. 본 균의 효소 생산은 500$m\ell$용 진탕 flask에 효소생성 최적배지 90$m\ell$를 넣어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했을 때 최대로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fumigatus IFO 5840의 균체내 Cytosine Deaminase의 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Enzyme Production of Endocellular Cytosine Deaminase from Aspergillus fumigatus IFO 5840)

  • 김재근;하영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6
    • /
    • 1991
  • Aspergillus fumigatus IFO 5840을 공시균주로 하여 cytosine deaminase의 생성 최적조건을 밝히기 위하여 각종 탄소원, 질소원과 같은 영양소 및 배양 온도, 초기 pH, 배양시간, 통기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공시균의 cytosine deaminase의 생성을 위한 최적 배지의 조성은 2% 포도당, 1% 효모추출물로, 배지의 초기 pH는 8.5이었다. 배양 최적 조건은 $30^{\circ}C$에서 28시간 진탕 배양이 양호했다. 이러한 최적조건에서 500ml 용량의 진탕 flask에 배지 100ml를 넣었을때 효소생성이 최고에 달하였다. 공시균주의 세포내 효소의 생성이 무기질소원에 의해 억제 되었으나 유기질소원인 yeast extract에 의해서는 촉진되었다.

  • PDF

함박꽃나무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Eudesmin의 생산을 위한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Eudesmin Production in Magnolia Sieboldii Cells)

  • 황성진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34-39
    • /
    • 2005
  • 목련과 수종인 함박꽃나무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생리활성을 갖는 리그난화합물인 (+)-eudesmin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로써 플라스크배양 단계에서의 다양한 배양조건들 즉, 배지, 초기 당농도, 교반속도, 초기 접종농도, 그리고 elicitation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S배지를 포함한 4종의 배지에서는 물질의 생산성과 생중량 모두에서 MS배지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30 rpm으로 교반되는 항온배양기에서 $3\%$ sucrose와 0.5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 0.5 mg (DCW)의 농도로 세포를 접종한 실험구에서 8주 후 플라스크 당 3.71 g (DCW)의 생중량을 얻었으며, 지표물질인 (+)-eudesmin의 함량은 $5\%$ sucrose와 200 mg/L chitosan 처리구에서 $3.2{\mu}g/g$ (DCW)으로 대조구에 비해 1.7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목련과 수종에서의 유용물질 생산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이조직 배양세포에 의한 Ascorbate Oxidase 생성 및 생산 (Formation and Production of Ascorbate Oxidase by Cucumber Tissue Cultured Cells)

  • 이종화;정호권;;임번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9-335
    • /
    • 1993
  • Ascorbate oxidase activity in various cucumber tissue extracts was highest in young fruit peeling. Cucumber callus was induced from young fruit peeling and callus cell lines were selected for more than 7 months, which porduced high levels of ascorbate oxidase and had a high growth rate. Induction of callus was optimized with Linsmaier-Skoog(LS) medium at 25$^{\circ}C$ in dark phase. Ascorbate oxidase activity reached a maximum at 5 days after transfer to LS basal liquid-medium ant then declined. The enzyme activity in callus cells was stimulated by addition of 10${\mu}$M $CuSO_4$ in the early logarithmic phase of growth. And also, adding 10${\mu}$M $CuSO_4$ at 3rd day 7th day of culture period, ascorbate oxidase activity in callus cells was maintained to high level. Maximum yield of ascorbate oxidase was found at the 25th day by flask shaking culture, but three-fold of ascorbate oxidase activity was obtained at the 16th day by jar fermentation.

  • PDF

Pseudomonas sp. EL-G527에 의한 환경친화성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최적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Biosurfactant by Pseudomonas sp. EL-G527)

  • 차미선;임은경;이근희;조순자;손홍주;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7-182
    • /
    • 2002
  •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by enrichment culture when grown on a minimal salt medium containing n-hexadecane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and it was named Pseudomonas sp. EL-G527. It's optimal culture condition is 2% n-hexadecane, 0.2% NH$_4$NO$_3$, 0.3% KH$_2$PO$_4$, 0.3% $K_2$HPO$_4$, 0.02% MgSO$_4$ㆍ7$H_2O$, 0.0025% CaCk$_2$ㆍ6$H_2O$, 0.0015% FeSO$_4$ㆍ7$H_2O$ in 1$\ell$ distilled water and initial pH 7.0. Cultivation was initiated with a 2% inoculum obtained from starter cultures grown in 30 $m\ell$ of the same medium in 250 $m\ell$ flask. They were cultivated at 3$0^{\circ}C$ in reciprocal shaking incubator and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observed after 4 days.

인 축적균 Acinetobacter CW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us Accumulating Acinetobacter CW3)

  • 심성훈;류원률;이영호;김정목;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71-75
    • /
    • 1999
  • 인 축적능이 우수한 균주를 자연계로부터 위노그라드스키 칼럼을 이용해 분리하여 Acinetobacter 속으로 동정하였고, Aci-netobacter CW3로 망명하였다. 인 축적균주의 배양초기조건은 $20^{\circ}C$. pH 7, 200rpm, 18.5mg $FO_4-P/\ell$가 최적임을 보였다. Acinetobacter CW3은 회분배양에서는 최적조건에서 12시간만에 인의 제거가 완료되었다. 이 균주는 호기조건에서는 인을 균주 내부에 과량 축적하고 첨가조건에서 인을 다시 방출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