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ow Educ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빛과 그림자 개념 이해를 돕는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3D Simulation Contents for Understanding of Light and Shadow)

  • 이지원;윤하영;김중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703-717
    • /
    • 2014
  • 물리에서 멘탈 시뮬레이션은 개념을 이해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중요한 매커니즘이다. 만약 학생들이 멘탈 시뮬레이션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물리 개념의 이해 또한 어려워진다.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공간적 조작의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물리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빛의 직진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개발하여 대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Hake gain이 0.93으로 수업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새로운 맥락에 대해서도 멘탈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상을 잘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 이해가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PDF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S

  • Jun, Young Bae;Song, Seok-Zu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6권3호
    • /
    • pp.555-568
    • /
    • 2014
  •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a falling shadow and fuzzy sets, the notion of a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 of a BCI-algebra is introduced. Relations between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s and falling fuzzy ideals are given. Relations between fuzzy BCI-commutative ideals and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s are provided. Characterizations of a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 are established, and conditions for a falling fuzzy (closed) ideal to be a falling fuzzy BCI-commutative ideal are considered.

Adaptive Thresholding Technique for Binarization of License Plate Images

  • Kim, Min-Ki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4호
    • /
    • pp.368-375
    • /
    • 2010
  • Unlike document images, license plate images are mostly captured under uneven lighting conditions. In particular, a shadowed region has sharp intensity variation and sometimes that region has very high intensity by reflected light.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ique for thresholding license plate images. This approach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t performs a rough thresholding and classifies the type of license plate to adjust some parameters optimally. Next, it identifies a shadow type and binarizes license plate images by adjusting the window size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shadow type. And finally, post-processing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is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five well-known methods.

그림자 원리에 대한 초등 과학 수업 지도안 분석 - 시각적 표상의 유형과 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Lesson Plans on Shadow Principle - Focusing on the Types and Cognitive Proces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26-39
    • /
    • 2020
  •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 was developed in previous study(Yoon, 2018) to provide a framework conducive to asses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and to devise appropriate educational activities for it.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study. It aimed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VRC-T and revise it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visual representation use in science lessons. The researcher collected lesson plans on shadow principle from 11 pre-service and 13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regarding what visual representations they considered and how they tried to use them in science lessons. VRC-T was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types and cognitive proces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As a result, new categories were added and the revised VRC-T was completed (VRC-TR). It was also found that both pre- and in-service teachers mainly focused on 'interpreting' the 'descriptive representation' while designing their lesson plans. Additionally, in-service teachers showed more limited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compared to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largely relied on the national science textbooks, while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s in their teacher-training program.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heavily relied on their prior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VRC-TR presented in this study and examples of class activities in each category can be helpful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use visual representations more effectively.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olicy for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Systems Thinking: Focusing on Roh and Lee Governments)

  • 백우정;최종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5-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olicies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Roh Mu Hyun and Lee Myeong Bak Government using Causal Loop analysi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educational achievers receive more private tutoring than lowers and children who have rich parents have better chance to take private tutoring than the others. It reflects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emphasize the academic ab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wo governments implemented educational policies to control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s balancing loops ;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providing after school programs and EBS KSAT teaching and improving the entrance exam of university. Third, they overlooked the unintended feedback loops coming from 1) incongruity between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shadow education 2) wrong perception of sub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shadow education 3) side effect of the policy increasing the weight of student record 4) problems of diversifying high schools 5) dilemma of easing the burden of testing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onclusion is that policies of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failed because two governments don't consider unintended Feedback Loops in the process of making education policies. So we have to make policies based on Systems Thinking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should not be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public education.

  • PDF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for Shadow Phenomenon)

  • 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5-305
    • /
    • 2019
  •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효과적인 시각적 표상 활용과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 차원으로 구성된 시각적 표상 능력의 교육목표 분류체계(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VRC-T에 기초하여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조사하고 그림자에 대한 과학 지식과 표상 능력 사이의 관계 및 VRC-T 인지 과정의 위계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해석하기', '통합하기', '구성하기'의 대범주로 나누어 보면 대체적으로 '해석하기'가 가장 점수가 높고, 다음이 '구성하기', '통합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그림자 관련 단원을 학습한 이후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표상 능력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텍스트 기반의 과학 지식은 시각적 표상 능력의 모든 범주와 상관이 높지 않았다. 이것은 텍스트 형식의 과학 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시각적 표상 능력은 갖추어져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과학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좀 더 강조하여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서열화 이론에 따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시각적 표상 능력의 인지 과정 위계 관계를 탐색한 결과, 인정비율을 다소 느슨하게 하는 경우 6개 인지 과정 사이에 일직선의 위계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평가 도구나 과제, 시각적 표상 능력을 지도하는 수업 활동을 계획할 때 VRC-T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석틀임을 시사한다.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한 긴급구조요청 알림서비스 (Emergency Rescue Request Notification Service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 김성진;조경우;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9-530
    • /
    • 2016
  • 산악사고 발생 시 사고자는 위치정보와 사고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야 한다. 하지만 산악사고 발생 시 해당 지역이 GPS, 3G/4G, 무선통신 등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에서 구조대에 신고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산악 사고 시 음영지역에서 사고자가 신고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긴급구조요청 알림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음영지역에서 사고 발생 시 긴급구조요청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이다.

  • PDF

Analysis of Experiments for 'Measuring the size of Earth in 8th Science Textbooks

  • Chae, Dong-Hy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901-90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thods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Earth, put forth in 6 different Korean 8th grade science textbook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 they adequately map out the experiments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earth by using the concept of the sun's altitude? 2) Do they reduce the size of the sun like as the Earth is similarly downsized to the globe? 3) Do they suggest the precis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selecting two equal longitudinal spots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earth? 4) Do they design adequate experiments for exact measurement? 5) Do they offer a proportional expression for seeking the size of globe which is easily understood by students? 6) Do they develop experiments to measure actual size of the earth? Four graduate students and one researcher took part in this study. All conditions were unanimously agreed upon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e publishing company must include the concept of the sun's altitude to accurately measure the size of the Earth. However, some textbooks fail to mention this. As such, the concept of the sun's altitude must be introduced to accurately measure the size of the Earth. Second, a reduced size globe is used as the actual earth so; the sun should be factored in with a reduced light value. Third, you have to lay a stress on two points at the same longitude. In other words, a shadow located at the same longitude from two randomly selected points. Most textbooks mention two points at the same longitude but two of them design the experiment with a shadow at the same longitude. Fourth, we need a method to precisely measure the angle between a stick and its shadow. The angle between the stick and the tip of its shadow is the sun's altitude difference. Fifth, we need to present more specific proportional expressions for calculating the size of the globe. Only 3 out of the 6 texts employed a proportional expression. Sixth, we need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earth by accurately presenting the scale of the globe to attain the goal of the experiment. Two of the texts analyzed, designed the experiment for the purpose of calculating the size of the globe. Three of the texts designed their experiments to calculate the radius of globe which is not even relevant to the purpose of experiment.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Convergence Program through 'Making a Shadow Book' Activity)

  • 전제응;이주섭;고상훈;고아라;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0-28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나의 창작 이야기를 이용한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이야기'를 창작하고, 그 이야기를 이용해 '그림자 북'을 만드는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52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Likert 척도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Likert 척도 문항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필요성, 재참여 의지 역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장점 및 개선점을 묻는 서술형 문항에 대해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 내용, 융합 교육, 수업 역량, 사고력, 심리, 경험에 대한 정서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은 서로 다른 전공의 교수들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융합 프로그램을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융합교육의 의미, 중요성,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관련 교과의 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교수 역량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 상황으로 인한 여러 가지 개선점도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