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tree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Hardwood Species According to Artificial Shade Treatment

  • Choi, Jeong-Ho;Kwon, Ki-Won;Chung, Jin-Chu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614-620
    • /
    • 2006
  • To study the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4 tree species of deciduous hardwood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Zelkova serrata, Acer mono and Prunus sargentii were treated in 3 stages of shading; the full sun treatment, the medium shade treatment with 30% of transmittance comparing to full sun, the intense shade treatment with 8% of transmittance and their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s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analyzed. Most hardwoods showed differences in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s in the order of May < September < July, however, that in Prunus sargentii increased progressively along with the lapse of time. Concerning the degree of shading, total chlorophyll conten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shading.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Prunus sargentii showed more than 2-3 times difference between the full sun treatment and the intense shade treatment. The changes i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the range of the light saturation point of the trees was $1,000{\sim}1,100{\mu}mol{\cdot}m^{-2}{\cdot}s^{-1}$ in May, before the shading was applied, and the intens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Zelkova serrata > Acer mono > Prunus sargentii. The photosynthetic rate was $6.4{\mu}mol{\cdot}m^{-2}{\cdot}s^{-1}{\sim}27.1{\mu}mol{\cdot}CO_2{\cdot}m^{-2}{\cdot}s^{-1}$ in the order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Prunus sargentii > Acer mono > Zelkova serrata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pecies. Concerning the changes in light saturation point in each growth period after shading treatment, the light saturation point in the full sun treatment was found in the range of $560{\sim}1,100{\mu}mol{\cdot}m^{-2}{\cdot}s^{-1}$ and the level of intens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May > July > September. The light saturation point decreased as the level of shading intensified and the level of changes in light compensation point in the full sun treatment for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Prunus sargentii was shown in the range of $2.9{\sim}27.1{\mu}mol{\cdot}m^{-2}{\cdot}s^{-1}$ in the order of May > July > September, however, for Zelkova serrata and Acer mono was shown in the range of $3.9{\sim}11.7{\mu}mol{\cdot}CO_2{\cdot}m^{-2}{\cdot}s^{-1}$ in the order of July > May > September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pecies.

광릉 자연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수목의 재생 (Disturbance regime and tree regeneration in kwangnung natural forest)

  • 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95-410
    • /
    • 1992
  • Disturbance regime and tree regeneration were studied in kwangnung natural forest, an old-growth deciduous hardwood forest located in central korea. This forest is dominated by carpinus laxiflora, c.erosa, and quercus species. The area occupied by canopy gaps was 4.6% of the total forested area, and the mean size of canopy gaps was 92 $m^2$ with the maximum being 524 $m^2$. More than half of the gaps were less than four years old, and 3/4 of the gaps were created by death of only or two canopy trees, indicating the dominance of small-sized gaps in kwangnung forest. about half of the gap-makers were c. laxiflora, and another one third were quercus species. In contrast, the most frequent relacers were c. laxiflora while quercus species filled only 5% of the gaps, suggesting a future shift in tree species composition under the current disturbance regime. tree regeration was more conspicuous even in small gaps than non-gaps regardless of shade-tolerance of tree specie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gaps in tree regeneration.

  • PDF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특성 연구 (Planting Characteristics of Pyeonghwa Park in World Cup Park, Seoul)

  • 한봉호;배정희;김지석;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2-5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수목식재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기능을 구분하고 기능별 식재특성을 연구하였다. 우선 식재기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공원내 적용 가능한 식재기능을 도출하였고, 대상지 설계의도와 환경요인 분석을 거쳐 이를 적용하였다. 식재특성 분석은 우점 식재종 분포와 층위 구성을 전체 도면화한 후 식재기능별 표본 조사구를 설정하여 배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지 식재기능은 경관식재의 정형식재, 자연경관식재와 완충식재의 방음식재, 차폐식재, 녹음식재의 녹음식재, 지피식재로 구분되었다. 우점식재종은 소나무, 느티나무가 넓게 식재되었고, 식재기능별로는 자연경관식재지내 소나무 이외 다양한 수종이 도입되어 있었다. 이는 공원조성이전 식재된 기념식수목으로 과도한 종의 다양성과 수종간 부조화로 의도한 자연경관 형성에 부적합하였다. 방음식재지는 지형 조정과 키 큰수목을 배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하층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Community Ecological Revaluation of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Kim, Ji Hong;Kang, Sung Kee;Lim, Seon 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74-81
    • /
    • 2016
  • Classified into sub-tree of the growth-form,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hardly reach the uppermost canopy with limited height growth potential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However, the two species usually dominate lower stories of the fores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overall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rest. Based on the vegetation data of 106 $20m{\times}20m$ sample plots in Mt. Jumbong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cological constitution by several quantitative analysis so 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were absent or few in overstory, but emerged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midstory and understory, providing adequate proof of the ecological importance. The comparison of indices of succession between presented and predicted values in midstory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ould not change much and come close to steady stat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pair combination of species association noted that A. pseudosieboldianum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C. cordata,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 pseudosieboldianum, A. pictum subsp. mono and Fraxinus mandshurica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F. rhynchophylla. Being compared with other major canopy tree species in the study forest, the target specie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had strong regeneration strategies, partially characterized by large number of saplings and pole sized trees and high ratio of live crown, which indicated high shade tolerance to survive in the limited amount of light under the canopy. Even though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do not reach and occupy the canopy layer mainly due to the inherent growth form, they would have highest competitive potentiality to prosper and dominate in the midstory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건물과 수목의 그림자에 의한 도시의 열 분포 산정 및 저감효과 연구 (Estimating the urban radiation heat flux distribution and the reduction effect of building and tree shade)

  • 박채연;이동근;윤준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3
    • /
    • 2018
  • Mapping radiation heat flux of urban area is essential for urban design and landscape planning. Because controlling urban geometry and generating green space are important urban design strategies for reducing urban heat, urban planner and designer need to recognize the micro urban heat distribution for adequate urban planning.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ology for mapping urban radiation heat flux in a micro scale considering buildings and trees' shade. For doing that, firstly, we calculate net radiation for each urban surfaces (building, road (not shaded, building shaded, tree shaded), ground (not shaded, building shaded, tree shaded), tree (not shaded, building shaded)). Then, by multiplying the area ratio of surfaces to the net radiation, we can obtain the radiation heat flux in micro-scale. The estimated net radiation results were found to be robust with a $R^2$ of 90%, which indicates a strong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he radiation heat flux map for 12h $17^{th}$ August explains that areas under the building and tree have lower net radiation heat flux, indicating that shading is a good strategy for reducing incident radiation. This method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rmal friendly urban plan.

양재천의 이용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e-friendly Management Regarding the User Pattern of Yangjae Stream)

  • 김선희;홍석환;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6-315
    • /
    • 2004
  • 경기도 과천시와 서울의 서초구, 강남구를 흐르는 양재천은 1995년부터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이 시작된 대표적인 도시하천이다. 연구대상지인 강남구 관내 구간은 하천과 접하여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인근 주민들의 이용압이 높은 지역으로 본 연구는 하천복원에 의해 이용이 증가한 양재천의 이용현황 및 특성 등을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용자 설문조사에서 총 유효설문 303부를 회수하여 분석한 결과, 양재천은 근린주구의 주민들이 여유시간에 운동(51.8%)과 산책(24.4%)을 중심으로 한 이용이 많으며,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비율아 높고, 혼자(30.4%) 내지는 가족중심(28.4%)의 이용이 일반적이었다. 시설물을 확충할 경우에는 그늘이 있는 쉼터(80.8%)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설물로 파악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시설물의 추가도입은 필요 없는 것(78.8%)으로 분석되었다. 공원이용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만족(59.6%)하는 이용자가 많았으나, 안전문제(22.0%), 편의시설부족(17.6%), 그늘쉼터의 부족(16.6%)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와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자가 함께 이용하고 있는 겸용노선에 사인표시와 이용매너 등을 홍보하고 기존 제방산책로는 녹음효과를 보완하여 보행전용화하며, 제방사면의 소단을 활용한 산책로의 신설을 통해 현재의 둔치산책로의 이용압력 분산을 유도하는 동선체계의 정비방안을 구상하였다. 하천 내부의 녹음공간 확보를 위한 녹음수 식재는 현재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수목식재기준에 의해 둔치 및 소단하부는 하천환경에 적합한 초본식물을 식재하며, 산책로 주변은 녹음제공이 가능한 습지성 자생 목본식물을 식 재하도록 하였다. 소단 내 수목식재에 있어서는 교목식재가 가능한 한 남측 사면은 20m 간격으로 교목 2열 교호식재를 하며, 소단상부는 각 구간별로 계절감을 연출할 수 있는 식물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본 조경식물 재배(종수법(種樹法))와 가꾸기(양화법(養花法)) (A Study on the Planting and Cultivate of Hong Man-Seon(1643~1715)'s 'Salimkyungjae (山林經濟, The Economy of Forest)')

  • 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8-43
    • /
    • 2011
  • 우리나라 최초의 농업과학기술 종합교본으로 평가되고 있는 홍만선(洪萬選 : 1643~1715년)의 편저, '산림경제'를 대상으로 추적한 조경 식물 관련 재배(종수(種樹))와 가꾸기(양화(養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은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즐기는 것이고, '산림경제'는 의향에 따라 꽃과 나무를 심고 새와 물고기를 기르는 것인데, 10년 계획으로 알맞은 나무를 심으면 봄에는 꽃을 볼 수 있고 여름에는 그늘을 즐길 수 있으며, 가을에는 열매를 먹을 수 있고 자산을 늘리는 방법임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꽃과 나무를 가꾸고 재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인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 등장하는 식물의 출현 종은 초기에 비해 중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산림경제'에서 그 증가 경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술된 52종의 성상은 교목 31종, 관목 8종, 기타 3종, 초본 10종으로 분석되어 교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28종에 이르는 유실수 등 이용후생의 경향이 표출된다. 셋째, 식목 길일은 음력으로 정월이 가장 좋고(상시(上時)) 2월이 차선이며 3월이 가장 나쁜 시기(하시(下時))임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식에는 숙토를 많이 붙여 분 뜨기 하고, 남쪽 가지를 원래 방향에 맞춰 심으며, 묻혔던 높이만큼 복토하여 버팀목을 세워야 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1치 정도 깊이로 씨를 심으면 새순이 잘 나고, 꺾꽂이는 3월 상순에 손가락 굵기 만한 것을 골라 5치 길이로 심는 것이 좋다 하였다. 접붙이기는 싹이 틀 때가 좋고, 과일나무를 접붙일 때 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면 열매가 많이 달리며, 정월에 곁가지들을 전정하면 힘이 갈리지 않고 열매가 탐스러우며 굵어진다 하였다. 특히, 식재 적기를 음력 정월로 기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오늘날 식재 적기 판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넷째, 꽃나무 가꾸기와 관련하여 분재는 정월이나 2월 거름흙을 주고 옮겨 심거나 씨를 뿌리는데, 꽃망울이 맺히면 거름 물을 주어 3~4월에 분을 올리는 것을 권장하였다. 말똥을 물에 섞어 꽃나무에 주면 일찍 꽃이 피고, 붉은 꽃을 희게 하려면 유황 연기를 이용하며, 화분은 반음지에 벽돌로 괴어 주는 것이 좋고, 석류 치자 동백 사계화 등은 꽃이 진 뒤 흙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하였다. 꽃나무는 담 밑에 심으면 가지가 집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자주 돌려놓아야 하고, 햇볕이 잘 드는 움 속에 씨앗을 갈무리하는데 출입구 겸 환기구를 남쪽으로 내서 화분 관리에 편하도록 해야 한다 하였다. 다섯째, 정월 초하룻날 닭이 울 때 횃불로 과수나무를 그을리면 잠복중인 벌레를 살충할 수 있고, 청명일 새벽에 볏짚을 매달아두면 모충(毛蟲)이 잠복소에 유인되며, 과수에 발생한 벌레는 유황가루로 구멍을 막아 질식시키거나 유황불로 훈연하는 방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토양조건과 관련하여 비옥토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V) -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에 있어서 Leaf Conductance와 Water Potential,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팽압(膨壓)과의 관계(關係)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 (IV) - Relation between Leaf Conductance and Water Potential, Relative Water Content, and Turgor Pressure in Several Conifers -)

  • 한상섭;전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28-34
    • /
    • 1984
  • 본연구(本硏究)는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의 지엽(枝葉)에 있어서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와 기공폐쇄작용(氣孔閉鎻作用)과의 관계(關係)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한 것으로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구(求)한 초기원형질리점(初期原形質離點)의 water potential 값과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鎻點)의 water potential 값은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2)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鎻)는 잣나무 -21 bar(음엽(陰葉) -17 bar), 리기다 -20 bar, 소나무 -22 bar, 일본잎갈나무 -24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85%(음엽(陰葉) 82%), 리기다 77%, 소나무 85%, 일본잎갈나무 70% 전후(前後)에서 완전기공폐쇄(完全氣孔閉鎻)가 일어났다. 3.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鎻)는 잣나무 -14 bar(음엽(陰葉) -12 bar), 리기다 -10 bar, 소나무 -15 bar, 일본잎갈나무 -6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90%, 리기다 93%, 소나무 90% 일본잎갈나무 93% 전후(前後)에서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鎻)가 일어났다. 4. leaf conductance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증가(增加)하며,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 PDF

일본목련의 분산 및 식물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네스코평화센터 주변을 대상으로- (The Dispersal and Plant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Magnolia obovata - Focused on Case of Korea UNESCO Peace Center area in Gyeonggi-do -)

  • 김용훈;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5-293
    • /
    • 2009
  • 본 연구는 초본에 한하여 진행되고 있는 귀화식물 연구 영역을 확대하여 목본 귀화식물인 일본목련을 대상으로 산림군집, 분산범위, 산포방법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산 27번지 일대 한국유네스코평화센터 주변 산림지역이다. 일본목련의 분산특성 조사결과 조경 식재된 일본목련이 모수를 중심으로 산림내부까지 확산되었으며, 거리별 분산은 모수로부터 $20{\sim}100m$ 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고 최대 420m 까지 분포하였다. 이러한 일본목련의 분산은 중력산포에 의한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이며, 그 밖에 어치, 까마귀, 까치, 청설모, 다람쥐 등의 야생동물에 의한 동물산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산림군집조사 결과 리기다소나무-일본목련-신갈나무 군집에서는 일본목련이 리기다소나무를 피압 가능한 상태에 있었으며, 신갈나무-일본목련 군집은 중 하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 중인 것으로 보인다. 생장량 및 울폐도 분석결과 일본목련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보다 생장이 빠르며, 내음성 수종으로서 신갈나무, 졸참나무와의 경쟁에서도 뒤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본목련은 출현한 군집내 층간우점도, 내음성, 속성수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차후에 산림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 대상지 산림 내부에서 관찰된 수고 10m, 흉고직경 10cm 이상인 일본목련이 교목층에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일본목련 성목을 대상으로 벌채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내연산 망개나무 임분의 군집구조와 생태적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Naeyon)

  • 홍용식;윤이슬;진동필;김찬범;김학구;이진우;강신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38-547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내연산 소재 희귀식물인 망개나무림을 대상으로 개체군과 군집 구조를 정량화하고, 다변량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망개나무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망개나무는 총 164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평균흉고직경 24.5 cm의 정규분포형의 분포를 보였지만 하층식생인 수고 3 m 이하에 거의 출현하지 않았으며, 맹아발생 개체비율은 37.1%이었다. 망개나무 임분은 망개나무졸참나무군집(그룹 I)과 망개나무-서어나무군집(그룹 II)의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수관틈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인 유기물함량(OM), 치환성 Ca 그리고 양이온치환능(CEC)이 임분들의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입지조건이었다. 현재 내연산의 망개나무 임분들은 망개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나 분포지의 입지조건에 따라 음수인 서어나무 또는 까치박달로의 미소천이가 일어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