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maturation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6초

Diagnosis and constitution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Korean girls referred for precocious puberty

  • Kim, Doosoo;Cho, Sung-Yoon;Maeng, Se-Hyun;Yi, Eun Sang;Jung, Yu Jin;Park, Sung Won;Sohn, Young Bae;Jin, Dong-Ky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12호
    • /
    • pp.481-486
    • /
    • 2012
  • Purpose: Precocious puberty is defined as breast development before the age of 8 years in girls.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veal the diagnosis of Korean girls referred for precocious puberty and to compare the constitutional and endocrinological features among diagnosis groups. Methods: The present study us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988 Korean girls who had visited a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 from 2006 to 2010 for the evaluation of precocious puberty. Study groups comprised fast puberty, true precocious puberty (PP), pseudo PP, premature thelarche, and control. We determined the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HSDS), w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WSDS), and body mass index standard deviation score (BMISDS) of each group using the published 2007 Korean growth charts. Hormone tests were performed at our outpatient clinic. Results: The PP groups comprised fast puberty (67%), premature thelarche (17%), true PP (15%), and pseudo PP (1%). Advanced bone age and levels of estradiol, basal luteinizing hormone (LH), and peak LH afte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ing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fast puberty and true PP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SDS, WSDS, and BMIS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ue 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he frequent causes of PP were found to be fast puberty, true PP, and premature thelarche. Furthermore, BMISD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true PP group. Therefore, we emphasize the need for regular follow-up of girls who are heavier or taller than others in the same age group.

동부(Vigna unguiculata)의 종자 생산 요소에 미치는 모식물과 부식물의 영향 (Maternal and Paternal Effects on Seed Yield Components in Cowpea (Vigna unguiculata))

  • 강혜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59-170
    • /
    • 199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age, and ovule position in a pod on seed development, weight, and progeny performance, using an annual crop commonly called cowpea (Vigna unguiculata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greenhouse. Nine maternal par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3 individuals were chosen as paternal parents based on the male fitness components. Five types of hand-pollination were attempted on each flower of the maternal plant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aternal identif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arentage and ovule position affected the pattern of seed development. Ovules in the middle position of the pod exhibited a much higher probability of seed maturation than those at the stylar and basal positions, confirming the position effect.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lso appeared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seed weight, although it was not possible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due t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arents. Mixed pollination tended to yield heavier seeds than other paternal parents. Ovules in the middle and basal end positions produced heavier seeds than those at the stylar end regardles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age. Seed weight was independent of all measurements of progeny performance. At week 2 after germination significant paternal effects were found to be mediated through the ovule position in a pod. In particular, the progeny derived from self-pollination performed worse than the progeny from other paternal parentage. The progeny performance at week 4 after germination was affected by maternal parents independently of seed weight. These results show that paternal and maternal effects were quite consistent from the seed development to early growth of the progeny. Consequently, maternal and paternal effects on seed development and weight, and progeny performance may reflect, at least to some extent, genetic contribution of both parents. If so, it is possible for sexual selection on maternal and paternal function to generate the evolution of reproductive traits related to seed production.

  • PDF

Association of the ubiquitin specific peptidase 9X -linked and Afadin expression patterns with sexual maturation in boar testis

  • Baek, Sun-Young;Lee, Seung-Hoon;Kim, Youngshin;Hong, Joon-Ki;Cho, Eunseok;Ha, Seungmin;Kim, Kyungwoon;Sa, Soojin;Chung, Hakja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977-983
    • /
    • 2021
  • Closely correlated expression patterns between ubiquitin specific peptidase 9X-linked (USP9X) and adherens junction formation factor (Afadin) in mouse testis development suggests that Usp9x regulates the deubiquitination of Af-6 (also known as Afadin, AFDN), and subsequently, the cell adhesion dynamics during gametogenesis. However, this relationship has not yet been tested in other domestic animals. The study was examined the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patterns of porcine USP9X and AFDN from the pre-pubertal to adult stages using real time-PCR and immunohistochemistry. Furthermore, we detected the transcripts of USP9X and AFDN in the testis of 1-, 6- and 12-months old boar, respectively. USP9X and AFDN were found to have similar expressions patterns, with basal expression after 1 month followed by a significant up-regulation from 6 months (puberty) onwards. In addition, neither the AFDN or USP9X proteins were detected in spermatogenic cells but they were expressed in the leydig cells and sertoli cells. USP9X was detected around the basal lamina during pre-puberty, and predominantly expressed in the leydig cells at puberty. Finally, in adult testis, USP9X was increased at the sertoli cell-cell interface and the sertoli cell-spermatid interface. In summary, closely correlated expression patterns between USP9X and AFDN in boar testis supports the previous findings in mice. Furthermore, the junction connections between the sertoli cells may be regulated by the ubiquitination process mediated via USP9X.

The effect of different colored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on egg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ies, blood hormone levels and behavior patterns in Brown Tsaiya duck

  • Su, Chin-Hui;Cheng, Chih-Hsiang;Lin, Jung-Hsin;Liu, Hsiu-Chou;Yu, Yen-Ting;Lin, Chai-Ching;Chen, Wei-Ju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870-1878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lors produced by light emitting diode (LED) on Brown Tsaiya ducks. Methods: A total of 144 female Brown Tsaiya duc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individual cage rearing chambers with different LED illumination colors as treatments. Three different treatments were: i) white color, ii) blue color, and iii) red color. The experiment periods were from ducks 21 to 49 weeks of age, determined traits included i) egg laying performance, ii) feed intake, iii) egg shell breaking strength, iv) egg shell thickness, v) egg Haugh unit, vi) egg weight, vii) serum Estradiol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viii) behavior patter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compared with white and blue color, red color could stimulate ducks sexual maturation and raised the egg laying performance. The red light group was also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feed intake among three treatments. The blue treatment had the lowest egg shell breaking strength and the highest egg weight among three treatments, nevertheles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ree treatments on egg shell thickness and egg Haugh unit. The red light group had higher serum estradiol concentration than the white and blue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on the serum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ound. The results of behavior pattern indicated that red light group showed more feeding and less resting behavior compared to the blue light group. Conclusion: We found a potential of applying red light illumination in the indoor laying duck raising system with positive results on egg laying performance and acceptable egg weight, equivalent egg qualities compared to white and blue light.

사육 수온이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와 교잡종(P. stellatus♀×Kareius bicoloratus♂) 3배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Growth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nd Hybrid Triploid (P. stellatus♀×Kareius bicoloratus♂))

  • 박중열;이효빈;윤지혜;조윤수;이일영;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03-909
    • /
    • 2022
  • Triploid fish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fish farmers owing to of their larger cell size compared to that of diploid fish and their ability to utilize the energy required for sexual maturation for growth instead. However, the effect of increased growth in triploid fish has shown varying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rowth between diploid and triploid starry flounders and diploid and triploid hybrid juveniles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 based on breeding water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ed growth in triploid fish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categorizing the water temperature as high temperature (EXP. 1, 14.5-23.5℃) and low temperature (EXP. 2, 6.4-13.3℃) based on the optimal water temperature for starry flounder breeding. In EXP. 1, the growth of starry flounder triploids and hybrid triploi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iploids. However, in EXP. 2 th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the starry flounder triploid were higher, and the growth of starry flound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ybrids.

한국 청소년의 성성숙 시기 및 장기간의 초경연령 추세분석 (The timing of sexual maturation and secular trends of menarchial age in Korean adolescents)

  • 박미정;이인숙;신은경;정효지;조성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10-616
    • /
    • 2006
  • 목 적 :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성숙 시기를 알아보고, 특히 성성숙의 객관적 지표인 초경연령의 장기간의 변화추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남녀 총 982명 및 여대생 119명을 대상으로 Tanner의 사춘기 단계를 확인하며 초경연령을 알아보았고, 중, 장년 여성 115만 6천 22명의 건강검진 설문지를 통하여 1900년에서 1980년까지 초경 연령을 확인하여 초경연령의 장기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사춘기가 시작되는 연령은 여자는 $11.3{\pm}1.3$세, 남자는 $12.1{\pm}1.5$세였으며 성성숙의 총 변화기간은 여자는 평균 3.6년, 남자는 3.3년이었다. 사춘기가 시작될 당시 평균키는 여자는 $146.1{\pm}7.9cm$, 남자는 $152.7{\pm}9.8cm$였고 체중은 여자는 $39.3{\pm}6.9cm$ 남자는 $47.7{\pm}14.4kg$였다. 여자의 평균 초경연령은 $12.0{\pm}1.0$세였고 남자에서 몽정을 처음 경험한 연령은 $12.3{\pm}1.8$세였다. 연령별 초경률은 10세에는 3%, 12세에는 41.1%, 15세 이상의 여학생에서는 98%에서 초경을 경험하였다. 성성숙도별 초경률은 유방발달 2단계에서 18.2%, 3단계에서 66.1%, 4단계에서 91.7%에서 초경을 경험하였으며, 음모발달 2단계에서 초경률은 52.0%이며 음모발달 3단계에서는 93.8% 초경을 경험하였다. 1900년대 출생자의 경우 15-16세까지 약 50%가 초경을 경험한 것에 비해 1980년대 출생자의 경우 13-14세까지 약 50%가 초경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1900-1980년 기간동안 초경연령은 약 2년 정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 출생인 대학생의 경우 평균 초경연령은 $12.4{\pm}1.1$세인데 반하여 1990년대 이후 출생인 초, 중, 고등학생의 경우 평균 초경연령은 $12.0{\pm}1.0$세로 나타나 초경의 조기화 경향이 있었다. 결 론 : 남녀 모두에서 성성숙 단계는 점차 빨라지며 특히 초경연령은 지난 80여년간 약 2세 가량 빨라졌으며, 현재의 여학생들에서는 더욱 앞당겨지는 경향이 있어 12세까지 41%가 초경을 경험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사춘기 시기에 관한 참고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시진이 포함된 대규모 전향연구가 추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성 성숙 및 산란 유도를 위한 염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on Spontaneous Maturation and Induced Spawning in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 한형균;강덕영;허성범;전창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3-2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농어과, 농어속 어류인 농어(L. japonicus)어미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성 성숙 및 자연 산란유도에 있어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여 인위적 성숙 및 산란 조절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평균수온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14.3$\pm$1.1$^{\circ}C$, 저염분구에서 14.2$\pm$1.1$^{\circ}C$였고, 2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15.8$\pm$1.2$^{\circ}C$, 저염분구에서 15.4$\pm$1.1$^{\circ}C$로 나타나 실험구에셔 15.8$\pm$1.2$^{\circ}C$, 저염분구에서 15.4$\pm$1.1$^{\circ}C$로 나타나 실험구간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성 성숙과 산란시기로 판단되는 11~2월 사이의 월별 평균수온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각각 10.6$\pm$0.8$^{\circ}C$~13.8$\pm$0.4$^{\circ}C$였고, 저염분구에서 각각 10.6$\pm$0.8$^{\circ}C$~14.6$\pm$1.4$^{\circ}C$로 나타났다. 2차 실험의 실험구 I은 각각 10.7$\pm$0.5$^{\circ}C$~15.8$\pm$1.$0^{\circ}C$였고, 실험구 II는 각각 10.3$\pm$0.9$^{\circ}C$~15.7$\pm$0.7$^{\circ}C$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의 평균염분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35.1$\pm$0.2$\textperthousand$, 저염분구에서 33.8$\pm$0.6$\textperthousand$였고, 2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34.5$\pm$0.4$\textperthousand$, 저염분구에서 월별 평균염분은 1차 실험에서 각각 31.0$\pm$3.7~35.2$\pm$0.7$\textperthousand$(최저염분은 26.5$\textperthousand$)였고, 2차 실험에서 각각 24.8$\pm$0.9~35.1$\pm$0.7$\textperthousand$(최저염분은 23.4$\textperthousand$)였다. 각 실험구별 개체당 일간 사료섭식량은 1차와 2차 실험에서 저염분구가 대조구보다 많은 사료를 섭식했고, 또한 성장률 및 생존율도 두 번의 실험 모두에서 저염분구가 해수만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동일한 데 비해, 2차 실험에서는 저염분구가 대조구에 비해 대략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산란에 가입한 암컷 어미의 개체수도 두 차례의 실험 모두 저염분구가 많았다. 또한 알의 크기 면에서도 저염분구가 대조구의 53.8$\pm$4.6%을 나타낸 반면 대조구는 19.3$\pm$2.3%로 낮았고, 2차 실험에서도 대조구에서 산란된 알의 대부분이 과숙상태여서 정상적인 부화가 이루어지지 못한데 비해 저염분구의 알들은 56.4$\pm$7.1%의 부화율을 나타내었다.

  • PDF

사춘기 전 수컷 흰쥐의 저정낭과 전립선의 성숙에 미치는 Di(2-ethylhexyl) phthalate(DEHP)의 영향 (Effect of Prepubertal Exposure to Di(2-ethylhexyl)phthalate on the Maturation of Rat Seminal Vesicles and Prostate Glands)

  • 허현진;이원용;윤용달;최돈찬;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51-259
    • /
    • 2008
  • 플라스틱 가소제인 di(2-ethylhexyl)phthalate (DEHP)는 매우 잘 알려진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중 하나로, 수컷 설취류와 인간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강력한 항안드로겐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이전에 수컷 흰쥐를 DEHP에 노출시킴으로써 부속 성기관의 성숙 과정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결과로, DEHP 투여에 의한 체중, 혈중 T 수준, 저정낭과 전립선을 제외한 조직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저정낭의 경우, 고농도(200 mg/kg)의 DEHP를 처리한 투여군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전립선의 경우, 저농도(20 mg/kg)와 고농도의 DEHP를 처리한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무게의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조직학적 연구 결과, DEHP 투여군의 저정낭은 대조군에 비해 점막층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분비상피세포들이 입방형인데 비해 DEHP 투여군에서는 위중층상피세포 형태가 관찰되었다. 정량적 RT-PCR 연구에서, 저정낭에서의 ER-$\alpha$ 발현은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증가가 나타났으며(p<0.05), ER-$\beta$의 경우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p<0.05). 전립선에서의 ER-$\beta$ 수준은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나(p<0.05),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한 발현증가가 나타났다(p<0.01). 그러나 AR 발현의 경우, 저정낭과 전립선 모두에서 DEHP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사춘기 이전 시기의 성적인 성숙을 교란할 수 있으며, (ii) 저정낭과 전립선이 사춘기 이전 시기 DEHP 노출에 대한 민감한 표적이 될 수 있고, (ii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ER과 연관된 기작을 통해 매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한국 서해산 큰구슬우렁이, Glossaulax didyma (복족강: 구슬우렁이과) 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Bladder Moon, Glossaulax didyma (Gastropoda: Naticidae) in Western Korea)

  • 김대기;정의영;신문섭;황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9-198
    • /
    • 2007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만 앞바다 조간대에서 채집된 큰구슬 우렁이, Glossaulax didyma를 대상으로 생식소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난괴 내의 난낭, 그리고 군성숙도와 성비 등을 조직학적 관찰과 형태측정 자료에 의해 조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 (GSI) 암, 수의 월별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이룬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였다. 수컷의 경우도 5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여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암, 수 개체의 산란기는 5월 하순-8월로 추정되었다. 비만도 지수(CI) 의 월별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부터 4월까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8월까지 감소하였다. 그리고 9월부터 12월까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의 경우도 암컷과 같이 2월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6-8월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만도 지수에 의해 산란기를 판정하여 볼 때, 5월 하순-8월로 추정되었다. 산란기는 암컷의 경우, 5월 하순-8월 말 사이이었고, 수컷은 5월 초-8월 말까지 이었으며, 주산란은 수온이 $19^{\circ}C$ 이상인 7-8월에 일어났다.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 활성기 (12-2월), 후기활성기 (2-3월), 완숙기 (4-7월), 산란기 (5월 하순-8월), 회복기 (8-11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고, 수컷의 경우는 활성기 (12-3월), 완숙기 (3-7월), 교미기 (5월 초-8월), 회복기 (8-1월) 의 연속적인 4단계로 구분되었다. 완숙난모세포의 크기는 직경이 250-270 ${\mu}m$이었다. 난괴는 모자 모양이었고, 한 개의 난괴 속에서 수많은 난낭(0.53-0.57 mm) 들이 발견되었다. 한 개의 난낭에서 한 개의 배 (veliger 유생) 가 부화되었다. 큰구슬우렁이의 군성숙도는 각경 40.1-45.0 mm인 암, 수 개체 모두 군성숙도(%) 50% 이상이었고, 각경 45.1 mm 이상의 개체는 군성숙도가 100%였다. 암, 수의 성비는 1:1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x^2\;=\;57.22,\;p\;<\;0.05)$.

  • PDF

흰쥐 감염 간흡충의 성장 및 발육에 대한 형태계측학적 관찰 (Image analytical observ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lonorchis sinensis in rats)

  • Jin KI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81-288
    • /
    • 1995
  • 화상분석장치(IBAS 2000 Kontron, Germany)출 이용하여 충체의 체면적과 불규칙한 내부장기에 대한 발육정도를 측정함으로서 간흡충의 성장과정을 보다 정확히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흡충의 피낭유충을 200 g 내외의 Sprague-Dawley계 백서에 50마리씩 경구투여하여 감염시키고, 1일, 6 일, 9일, 12일, 15일, 21일, 30일 및 90일에 희생시켜 담도내의 충체을 부위별로 치수하였고, 피낭유충은 탈낭시킨 후 형태가 좋은 54마리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충체는 총 474마리로 평균회수율은 31.6%이었나 간흡충의 체장과 체곡은 겸염 후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다음 감염 후 90일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나, 체면적은 감염 후 30일 부터 90일 사이에도 성장속도가 감소하지 않는 약간 다른 증가양상을 보였다 또한 고환, 난소, 저정낭 등의 발육정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었는데. 이들 내부 장기는 자궁내 충란이 충만하게 되는 감염 21일 까지는 비교적 빠른 발육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증가속도가 둔화되어 전형적인 S형 성장곡선을 보여 주었고 전고환과 후고환의 발육양상은 거의 유사하였다. 그러나 저정낭은 감염 15일 부터 21일 사이에 급격한 발육증가를 보였고, 이는 저정낭이 농축된 정액으로 충만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하였다. 따리서 저정낭의 성장곡선은 간흡충의 성적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화상분석장치를 이용함으로서 불규칙하여 측정하기 어려웠던 충제의 체면적 및 내부 장기의 성장정도를 알 수 있게 되어 간흡충의 발육 양상에 대하여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