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Assertivenes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 청소년의 성적 자기주장 유형: Q 방법론 적용 (Female Adolescents' Sexual Assertiveness Types: Q Methodology)

  • 김혜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2-28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adolescents. Methods: A Q methodology which provided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type was used. Thirty-thre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lassified 40 selected Q statements into 9 points standar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PC-QUNAL program. Results: Four types of sexual assertiveness manifested by female adolescents were identified: Type 1: Self-normative line-drawing type, Type 2: Pleasure-seeking negotiation type, Type 3: Passive relationship maintenance type, Type 4: future-oriented satisfaction-delay typ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empir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ories by verifying integrated attributes related to the female adolescents' sexual assertiveness. Results also induced the measuring tools and succeeding studies, and presented educational material for sex education that i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adolescents.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 이은숙;강희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6-27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Methods: With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560 college students who had reported sexual violence during a dat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ollege students while on date who reported sexual violence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dating sexual assault recognition, sexual assertiveness,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gender role stereotypes,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date sexual violence inflictions, and family violence. A combination of date sexual violence inflictions, self-esteem,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sexual assertiveness all accounted for 41% of the variance in date sexual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Conclus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must be progressively uplifted in order to prevent date sexual violence. A specific program established to reduce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would be useful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dating.

대학생의 자기주장과 성폭력 피해에서 폭음의 조절역할 (The Moderating Role of Binge Drinking on the Self-Assertiveness-Sexual Victimization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 홍현기;김희송;이정은;정수현;지형기;김기평;표주연;김종한;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93-97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고, 폭음 수준이 자기 주장성과 성폭력 피해 여부 간에 조절 역할을 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대학생 40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익명성 보장을 위해 모바일 기반 설문 응답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하지 않은 12명의 참여자를 제외한 393명(남: 161명, 여: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 주장성, 폭음 수준,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을 예측 변인으로, 성폭력 피해여부를 기준 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 주장성과 폭음 수준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 주장성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 수준이 높을수록 성폭력 피해 확률이 유의함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 주장성과 폭음의 상호작용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폭음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폭음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기 주장성이 성폭력 피해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시 자기 주장성 훈련만이 아니라 건전한 음주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Influence of Psycho-Social Maturity and Self-efficacy for Contraceptive on Sexual Assertivenes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 박정숙;김보미;권영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61-470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200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피임 자기효능감,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피임 자기효능감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였고, 전체 설명력은 33%이었다. 따라서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남자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der-Role Stereotype on Sexual Assertive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혜림;한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4-460
    • /
    • 2021
  •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성문화와 높아지고 있는 여성의 성적 권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대생들의 성적 권리 보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 사회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또한 함께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적자기주장과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8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대생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 성적자기주장,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r=-.24, p<.01), 성적자기주장(r=-.39, p<.01)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적자기주장(r=.20, p<.01)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여대생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β=.45, p<.001)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β=.42, p<.001)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Sobel test: Z.=9.16, p<.05). 따라서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능력 향상을 위해 성역할고정관념의 영향력에 대한 대처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성역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아존중감 관련 상담의 필요성을 시사 하는 바이다.

여대생의 성경험과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Influencing factors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experience and sexual assertiveness)

  • 이난희;정준식;송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4-422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의 한 대학교 여대생들의 성경험 수준, 성 태도, 성 지식 등 성행태를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여대생들의 성적인 자기주장을 높이고자 하는 데 있어 동기를 부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결혼 경험이 없는 여학생(학부, 대학원)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자기 기입식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SAS 9.3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특성별 독립변수들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특성별 성경험, 성지식, 성태도 차이 검정 결과, 성경험은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성경험 수준이 높았고, 성지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인문계열 또는 이공계열일수록,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높았다. 성 태도는 연령이 많을수록, 인문계열에서, 종교가 없을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자신의 성적자기주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자기주장이 연령이 낮을수록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성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 정체가 이미 확립된 대학생 시기가 아닌, 실제 성경험이 시작되기 전인 저학년부터 교육을 통하여 성지식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성희롱 인식 및 임상실습 시 성희롱 경험 실태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조혜은;이보람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03-1012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a safe practice environment and practic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who practice clinically. Methods: A total of 260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t dental hygien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was included in this study. From May 1, 2018 to June 30, 2018, subjects were surveyed about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related information, self-esteem, and self-assertivene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he sexual harassment survey revealed that 64.3% of offenders were patients and 50.0% of the offenders were in their 40s. A total of 78.6% of the offenders reported harassment in hospital type "dental clinics." Most respondents disclosed that "I did not do anything" (60.7%). Psychologically, 75.0% felt "shame and insult." Self-esteem was high in the fourth grade (3.68). Self-esteem and self-assertiveness were higher among those with no sexual harassment experiences (131.77 and 132.81, respectively; p<0.05).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esteem and self-assertiveness were correlated (r=0.509,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include: three to four months of clinical practice (${\beta}=0.361$),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beta}=-0.551$), and self-esteem (${\beta}=0.503$).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diverse information to address sexual harassment. A proper perception of what constitute sexual harassment in clinical practice is also relevant. Furthermore, practical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Sexual Assertiveness : Mediating Effect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 구상미;오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58-167
    • /
    • 2021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충북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정하윤(2013)의 데이트폭력 인식, 정진아(2016)의 성적 자기주장, 남현미(2003)의 폭력허용도의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데이트폭력 인식과 폭력 허용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3, p<.001), 폭력허용도와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 p<.05). 둘째,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𝛽=.43, p<.001),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F=36.10, p<.001). 셋째,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의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효과의 감소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Z=2.05, p<.05)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폭력허용도를 낮추고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성적 자기주장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Gender Role Stereotype, Sexual Assertiveness, Sexual Assault Recognition,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 in Dating)

  • 이은숙;강희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48-5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exual issue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 survey collected responses from 469 university students in three region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While male students' scores on sexual assertiveness and sexual assault recognition were lower than female students', their scores on gender role stereotype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were higher. Female students' sexual violence victim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ir scores on sexual violence perpetrations were lower than male students'. Sexual violence victims and perpetrations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ual assault recognition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violence perpetrations experience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in male student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violence victims and inflictions experiences and sexual assertiveness in female studen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programs for preventing or arbitrating sexual violenc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by gender becaus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exual issue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간호대학생의 성인지감수성과 성적자기주장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Gender Sensitivity and Sexual Assertiveness on Dating Violence of Nursing Students)

  • 권순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33-24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지감수성, 성적자기주장, 데이트폭력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366명이며 자가 보고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지감수성과 성적자기주장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2, p<.001), 성인지감수성과 데이트폭력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05, p<.005), 성적자기주장과 데이트폭력간에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024, p<.05). 간호대학생의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연령(𝛽=.184), 학년(𝛽=.145)이었고, 데이트폭력에 대한 설명력은 7.1%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이 성인지감수성과 성적자기주장을 높이고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