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preference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9초

음도 차이에 따른 아동의 선호 음성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oice Preference from Different Pitch)

  • 함은선;임경숙;이소희;김하경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175-18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rvey 'voice preference' of children from among three voice pitches, which are high-pitch, mid-pitch and low pitch, and underst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best voice chosen. To record distinctive pitches, Dr. Speech(ver. 4.0 Tiger Electronics) was used and we analyzed their choices. Also, we measured subglottal air pressure in aerodynamic analyze and phonatory aerodynamic system(Model 6600, KAY) was used. As a result children preferred to the low-pitch ye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by sex. We fined them to prefer higher HNR voice to lower jitter and shimmer voice rate.

  • PDF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General Adult on the Forest and Forest Roa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 김윤희;김동준;연평식;최병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7-606
    • /
    • 2014
  •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다.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대한 수요자 선호를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수요자인 일반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숲과 숲길의 선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613부의 유효표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른 숲과 숲길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계절의 숲은 봄, 가을, 계절 상관없음, 여름, 겨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태의 숲은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로서 선호하는 숲은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도시숲, 공원, 학교숲 순으로 응답하였다. 거주지로부터 프로그램 장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선호하는 숲을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숲길의 형태에 관해서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목적으로 1회 걸을 때 선호하는 숲길의 길이는 1.5~3km, 1.5km이하, 3km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 교육, 월평균 가계 소득, 교육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성인의 숲과 숲길조사를 통하여,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숲과 숲길에서의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부산지역의 외식실태조사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음식점과 음식의 선호도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Dining-out in Pusan 2. The Preference of Restaurant and Food According to Age Groups and Sex Distinction)

  • 김두진;임효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0-210
    • /
    • 1998
  • 부산지역의 외식실태 중 음식점과 음식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교 식품영양과 재학생의 친지 중에서 부산시내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남녀 5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성별과 연령별로 구분하였으며, 연령은 의식수준과 시대적 동질성 등을 감안하여 대학생 이하의 응답자는 학교별로 구분하고 성인들은 10살 단위로 구분하여 조사한 다음 생활환경과 소득수준에 따라 초등생, 중학생 및 고교생을 묶어서 학생층으로, 대학생과 20대를 묶어서 청년층으로, 30대 이상의 장년층을 묶어서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층과 청년층을 묶어서 젊은이로 하였다. 설문내용은 음식점을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이유와 일반인이 자주 먹는 메뉴 중 69종을 선택하여 먹어보지 않은 음식, 좋아하는 음식 및 싫어하는 음식의 종류와 그에 대한 이유 등을 알아봤으며, 각 설문에 대한 선택은 문항에 따라 2~3개씩 선택하게 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1. 음식점을 좋아하는 주요한 요인은 "맛이 있어서", "분위기가 좋아서", "가격이 싸서" 순이였고 싫어하는 이유는 "맛이 없어서", "비위생적이어서", "종업원이 불친절해서" 순이었다. 2. 응답자의 30%가 먹어보지 않은 메뉴의 종류는 남자가 6종인데 비해 여자는 9종이었으며, 초등학생 15종, 중학생과 고교생이 13종(이상 학생층), 대학생이 6종, 20대가 4종(이상 청년층), 30대가 2종, 그리고 40대와 50대 이상(이상 장년층)이 3종으로 여자와 나이가 어릴수록 그 종류가 많았다. 3. 부산시민이 좋아하는 메뉴는 전체적으로 "생선회", "피자", "불고기"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전통음식을 여자와 젊은이(학생층과 청년층)는 패스트푸드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적으로 싫어하는 메뉴는 "보신탕", "곱창전골", "꼬리곰탕"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패스트푸드를 여자와 젊은이들은 보신식품을 더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식을 선호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있어서", "그냥 좋아서", "영양이 풍부해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영양이 풍부해서", 여자와 젊은이들에게서는 "외래음식이어서" 비율이 높았다. 6. 음식을 싫어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없어서", "혐오식품이어서", "체질상 거부하여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외래음식이어서", 여자와 젊은층은 "혐오식품이어서" 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음식점과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율이 높았다. 6. 음식을 싫어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없어서", "혐오식품이어서", "체질상 거부하여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외래음식이어서", 여자와 젊은층은 "혐오식품이어서" 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음식점과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같은 음식점과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외식산업에서의 프랜차이즈 시스템 가맹점에 대한 소비자 의식 조사 (A Survey on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s for Franchise System Restaurants in Food Service Industry)

  • 김두진;이성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6-44
    • /
    • 1994
  •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actual utilization condition of chain stores of franchise systems and the customers' consciousness on chain shops and non-chain restaura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59 people either living or working in Pusan area and aged more than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ithout sex distinction. The data analyses were made by way of frequency, percentage, Spearman rank correlation and Chi-square using dBastat 1.0 package of PC.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survey indicates that respondents have the most experience of visiting chicken, hamburger, and pizza chain shops. Although the survey on the degree of preference between chain shops and non-chain restaurants indicates that men prefer non-chain restaurants and women prefer chain shops, the results are not so significant to conclude that there is a preference regardless of sex (N. S.): By ages, students and young group prefer chain shops and the aged group prefer non-chain restaurants (p< 0.05). The survey indicates that chain shops are proffered because of sanitary, quality, taste of foods and are not proffered because of simple menu and expensiveness. The survey indicates that non-chain restaurants are preferred because of distinctive taste of each restaurant and comfotableness, and are not proffered because of unsanitary and unkindness.

  • PDF

의복소재의 선호도에 대한 태와 감성 이미지의 영향 -셔츠용 소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Hand and Sens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Clothing Material -Focused on Shirts-)

  • 김희숙;나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0-219
    • /
    • 2005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nd and sendibility image on the preference to textiles for shirts. 85 subjects majored in fashion design were surveyed and 10 kinds of fabrics used as specimen at each season. Factor analysis, t-test,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WIN 11.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f follows : 1. In Spring ${\cdot}$Fall season, 5 factors were extracted as hand factor and 3 factors as sensibility factor of textiles for shirts. 2. 6 factors were extracted as hand factor and 3 factors as sensibility image in Summer. 3. 5 factors were extracted as hand factor and 3 factors as sensibility image in Winter season.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between hand factor and sensibility image at each season. 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and and sensibility image in Spring${\cdot}$Fall and Summer. 6. Hand and sensibility image were related to the preferene to texitiles for shirts in Spring and Winter.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정형도수 물리치료 분야의 취업 및 진로 선호도 조사 (A Study on the Employment and Career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for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박세진;김성환;최규성;김완기;박재명;박현식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3-72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mployment and career preferences for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Methods: The subjects were 26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and a surve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o analyze employment and care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Interest, temporal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he need for special lectures on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grade, and age with regard to whether they go to graduate school related to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and whether to study more about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Conclusions: The educational curriculum must be reinforced for students through systematic curriculum reorganization reflecting their preference for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계절별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Viewers' Visual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

  • 정윤희;신지훈;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27
    • /
    • 2002
  • When we research a landscape or make a Landscape Impact Assessment, we use the image of a specific season like summer or fall. Since there are four distinct seasons, each with a different landscape, researchers need to understand viewers′visual preferences for individual seasonal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iewers′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and the respondent′s age, gender and profession. In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eason: suing, summer, fall, winter and snowy winter. Three landscape types used in the experiment: forest, street and agriculture. Each landscape type has two sites for reliability. The assessment media for this research are pictures featuring landscapes taken in each of the four seasons. The study used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for taking the score of visual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mmer landscape has the highest visual preference score. However, spring and fall landscap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visual landscape evaluation. 2. The visual preference of winter landscape covered with snow is very high, but since snow is temporal and irregula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is factor for visual landscape evaluation. 3. The visual preference score of winter is the lowest of four seasons. The attractive factors of spring are flowers, summer is greenery and fall is autumnal tints. But these are not present in winter. 4. The result of 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s, gender and profession have no serious differences. 5. Visual preference to scenery of 4 seasons by age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general preference and thus was concluded to have no connection with age. 6. As a result from the research of visual preference to scenery of 4 seasons by sex, women were shown to like snow-scene more than men. This study presents an indication of general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s. It is expected that more advanced study will proceed after this one.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대학생의 지역별 식품의 맛과 기호도에 관한 연구 I. 주식 및 부식 (Regional Differences in Taste and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Nutritional Education via Internet I. Main and Side Dishes)

  • 정선희;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45-85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food pre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via internet. The subjects were 1672 college students (male: 762, female: 910) and divided into 4 regional groups. A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taste and food preferences. Data was collected via internet or by mail. Prevalence of the food preferences among regional groups was examin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od prefer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x and region. Female students in Chungcheong and Kyungsang area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f the hot taste compared to Seoul and Kyunggi areas. Female students in Seoul, Kyunggi and Chungcheong area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f the boiled bean rice compared to the Kyungsang area. The preference for Kimchi stew of female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hungcheong and Kyngsang areas. Male students in the Chungcheong are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s of the Young radish kimchi, while female students in this are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f the Radish kimchi compared to other areas. The preference for roasted laver of female students in Seoul, Kyunggi and Kyungsang area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Chungcheong area. The preference for fried chicken of male students in Seou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other areas. The preference for bean sprouts and season bonnet bellflower of male students in Seoul, Chungcheong and Kyungsang area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Kyunggi area.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nation-wide information on food Prefer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845\∼859$ 2005)

청년 한국인의 초역치 미각강도에 대한 성, 미각기호 및 흡연의 영향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 김선희;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149-162
    • /
    • 2005
  • 본 연구는 20대의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설탕, 소금, 구연산, 염산키니네에 대한 초역치 미각강도를 측정하고 그것이 성, 미각기호, 흡연 등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 중에서 남자 61명, 여자 6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25.2$\pm$2.1세이었다. 초역치 미각강도의 측정을 위해서 소리자극의 감지강도에 대한 미각자극의 감지강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규모짝짓기법(magnitude matching)을 이용하였다. 미각기호는 9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에 대한 선호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역치 미각강도의 크기와 변화정도가 미각자극의 종류에 따라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과 형태를 보였으며 피검자 개인별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또한 미각기호나 성에 따른 초역치 미각강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흡연에 의한 영향도 인정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