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pheromon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배추좀나방 성 페로몬의 합성과 EAG 감응반응 연구 (Synthesis and Electroantennogram (EAG) Responses of the Sex Phermones of the Diamond Back Moth)

  • 강석구;설광열;전종갑;고현관;김중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183
    • /
    • 1990
  • 배추좀나방의 성 페로몬을 새로운 방법으로 합성하여 EAG감응반응을 수행하였다. 프로파길알코올의 이중음이온을 알킬화하여 2-도데신-1-올을 얻고 이를 아세틸렌-지퍼반응에 의해 11-도데신-1-올로 전환시킨 다음, 다시 이중음이온 알킬화반응에 의해 11-헤사데신-1올을 얻었다. 이를 수소환원시켜 (Z)-11-헥사데센-1-올 (3)을 얻었고 이 알코올을 산화시켜 (Z)-11-헥사데센-1-알(1)을, 아세틸화시켜 (Z)-11-헥사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각각 얻었다. 이렇게 합성하여 얻어진 화합물 각각 또는 혼합물에 대해 배추좀나방의 ESG감응반응을 측정하였다.

  • PDF

Pirimiphos-methyl 연무처리에 의한 원료창고내 궐련벌레 (Lasioderma serricorne F.) 방제에 관한 연구 (Control of the cigarette beetle, Losiodeyma senieorne F., in warehouse by pirimiphos - methyl fogging)

  • 오명희;박규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3
    • /
    • 1993
  • Pirimiphos - methyl was fogged in a tobacco warehouse to determine the proper dose rate, Small wire cages, containing adults and larvae of cigarette beetle (Lasiodema senicorne F.) were put at different altitude in the warehouse of which the holding capacity was about 250m3. At recommended dose rate, 0.4ml/m3(25% ai), it brought about 100% mortality of adults and 98.8% -100% mortality of larvae. When the dose rate was reduced to about half the recommended one, 97.6 and 96.4% mortality could still be obtained against adults and larvae, respectively. The number of the beetles monitored by sex - pheromone trap was greatly reduced after the fogging in the warehouses at 4 geographic places in Korea. When the warehouses were ventilated for one hour immediately after the fogging done for 48 hours, workers could not detected any opposing smell in the warehouses. And panel members responded positively that there was no negative effect on the taste of the cigarettes made of the fogged tobacco. Although the residue of the chemical was detected from the cigarettes in 4 of 5 cases, the residue was 1.1-1.3$\mu\textrm{g}$/20 cigarettes except for one case from which 3.3$\mu\textrm{g}$/20 cigarettes residue was detected. The relatively low residue is about l/450-1/150 of the WHO/FAO tolerant level.

  • PDF

The Stable Production of Organic Seed to Distribute Certified Seed of Waxy Corn Hybrid

  • Goh, Byeong-Dae;Park, Jong-Yeol;Jang, Eun-Ha;Park, Ki-Jin;Yoon, Byeong-Sung;Jang, Jin-Su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6-8
    • /
    • 2011
  •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foods in accord with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c seeds should be used in organic farm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table production of organic seed of waxy com by examining the growing characteristics, seed yield, and the economy for seed production by organic farming. The optimal sowing timing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m hybrid was within 10 days of the $1^{st}$ of May with yield of 88~90% of conventional seed production.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was 41,600 plants/ha ($80{\times}30$ cm)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m. The weight of 100 seeds and seed productivity increased at the planting ratio of 2:1 mother plant:male plant. Growth and seed production were improved by removing male plant at 7~10 days after silking. Organic fertilizer (mixed oil cake) was applied at a rate of 4~6 Mg/ha before sowing. Black plastic mulching was used for weed control. In addition, sex pheromone trap and bio-control agents were used for safe pest control and low labour cost.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지리적 분포와 성충 발생소장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easonal Catches of Three Adoxophyes Species in Korea)

  • 양창열;경태현;조영식;강택준;전흥용;김형환;김은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5-299
    • /
    • 2009
  •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Adoxophyes spp.)(나비목: 잎말이나방과)는 과수의 잎과 과실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국내 분포 상황을 종-특이적인 성페로몬 트랩으로 조사한 결과,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은 중서부 지역에 국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 honmai)은 남부 지역에 주로 발생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는데 중서부지역에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남부지역에서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었다. 중부지역에서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성충은 연 3회 발생하였으며, 각 세대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및 8월 하순이었다.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연 4회 발생하였으며, 5월 중순, 6월 하순, 8월 상순 및 9월 상순에 성충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지역적 분화 및 이동 (Genetic Differentiation of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Their Movement)

  • 박정아;손예림;배성우;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1-208
    • /
    • 2008
  •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재배지를 중심으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월동집단의 발생패턴을 조사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발생은 남부지역에서 더 일찍 시작되었지만, 발생밀도는 비슷한 지역이라도 사과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월동집단의 성충은 사과원 내부에서 모니터링한 자료와 이웃하는 사과원 사이 지점에서 포획된 밀도 변화가 서로 유사하여 이들의 사과원 사이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사과원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모니터링한 자료는 바람이 불어오는 가장자리 지점이나 이웃하는 사과원과 가까이 위치한 트랩에서 높은 포획 밀도를 보여, 이들의 이동이 사과원 안에서는 둔화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월동세대가 나타나는 비교적 초기(4월 20-25일)에 서로 다른 사과원에 발생하는 월동세대의 유전적 거리를 분석하였다. PCR-RAPD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집단들 사이에 유전적 분화가 있음을 나타냈다. 더욱이 동일한 지역에서 전년도 가을 집단과 초봄의 월동집단 사이에 유전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이러한 월동세대 집단간 차이는 겨울 기간동안의 지역간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도태압에 따른 유전적 병목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제시된다.

재배환경이 상이한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기주 피해 억제 효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to Damage Reduction of Host Plant by Applying a Mating Disruptor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 Two Different Cultivation Environments of Apple Orchard)

  • 정성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57
    • /
    • 2008
  • 본 연구는 재배환경이 상이한 두 사과원에서 사과 과실 및 신초에 피해를 주고 있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기술의 효과를 검토하는 연구로 재배환경이 다른 지역간에 교미교란효과에 변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효과 검토는 두 지역에서 각각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설치하고 각각 시간 경과에 따른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트랩에 유인되는 수컷의 밀도와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기주작물 피해도 조사되어 분석되었다. 교미교란 기술은 복숭아순나방의 수컷 포획밀도를 무처리구에 비해 현격하게 낮추어 두 처리지역 모두에서 교미교란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났다. 이때 수컷 유인밀도는 기주 식물의 피해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이루어, 월동세대의 높은 성충발생피크는 바로 다음 세대(6월)의 높은 기주피해를 유발시켰다. 청송 포장의 경우 월동세대(4-5월 성충피크)의 교미교란제 처리 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이어지는 복숭아순나방 발생 기간동안 기주 피해는 물론이고 차세대 성충 발생밀도를 낮추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생육 후기의 기주 피해분석에서 두 포장은 뚜렷한 교미교란 방제 효과 차이를 보였다. 교미교란 효과 차이는 이들 두 사과원의 인근 무방제지역의 분포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교미한 암컷의 유입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과 수확기 단감의 피해과율 (Seasonal Occurrence Pattern of Peach Pyralid Moth, Oichocrosis punctiferalis, in Fuyu Persimmon Orchards and Fruit Damage at Harvesting Time)

  • 박정규;강창헌;이규철;이동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7-112
    • /
    • 2002
  • 수은유아등과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2000년과 2001년에 남부지방의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수확시기의 과실에 대한 피해정도를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조사하였다. 복숭아명나방은 년 3회의 발생피크를 나타내었는데, 제1화기는 6월 중하순, 2화기는 8월 중하순, 3화기는 9월 하순이 발생최성기이었다. 집중방제 과원에서는 방제소흘 과원보다 복숭아명나방이 적게 발생하였다. 조사대상 과수원에서 수확시기의 과실에는 복숭아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들 두 검역해충이 수출용 단감에 존재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감원 주변의 식생과 수확기 과실의 피해율(0%)로 볼 때, 유아등이나 성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복숭아명나방은 주변의 밤나무로부터 이끌려온 것일 가능성이 크다.

잔디 재배지 발생 해충 종류 (Insect Pests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in Korea)

  • 이채민;권오경;이광수;이상명;최성환;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14-120
    • /
    • 2014
  • 우리나라 잔디재배지역에 발생하는 잔디 해충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6목 7과 12종의 해충과 한 종의 Eriophyidae 응애류인 잔디혹응애(Aceria zoysiae)가 잔디 재배지에서 채집되었다. 잔디혹응애는 한국잔디류(Zoysia spp.) 재배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피해율은 5월에서 9월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나비목 밤나방과 해충인 잔디밤나방(Spodoptera depravata)과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거세미나방(A. segetum), 포충나방과 해충인 포충나방류(Crambus sp.)가 검거세미나방 성페로몬트랩에 유인되었다. 검거세미나방 알과 유충은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잔디혹응애와 잔디밤나방이 우리나라 잔디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이었다.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Efficacy of Commercial Mating Disruptors on Field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s (Busck))

  • 정성채;박천우;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06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교미교란제인 SPLAT$^{(R)}$와 Isomate$^{(R)}$-ROSSO의 교미교란효과를 각각 영천과 경산 및 청송과 영주에서 조사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야외 집단의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네 지역에서 모두 월동세대 개체군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교미교란제는 분석시기 10일 전에 포장에 처리되었으며, 두 교미교란제 모두는 수컷의 성유인물 탐지능력을 억제시켰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교미교란제를 비교하면 SPLAT 형태가 Isomate 형태보다 교란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교미교란 효과는 조사기간 동안 복숭아순나방의 피해로 여겨지는 신초 피해를 억제하는 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배추좀나방의 계절적 발생과 월동집단의 유전적 분화 감소 (Decrease in Genetic Variation of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the Diamondback Moth during Seasonal Occurrence)

  • 김은성;박아름;박영진;김주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03-310
    • /
    • 2015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 자연 상태에서 월동한다. 안동지역에서 이른 봄부터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성충 발생 시기를 주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연중 4 회의 성충 발생 피크를 보였다. 월동 집단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지역 집단 간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내한성, 약제감수성 및 발육속도에서 뚜렷한 집단 특성을 나타냈다. 분자마커로 집단변이를 분석한 결과 월동세대의 높은 집단변이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 집단 사이의 생물적 특성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의 높은 유전적 분화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이들 집단 사이의 개체들의 이동에 따른 유전적 교환이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