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rity of disaster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초

시스템안전 관점에서의 건설안전 사고분석 정책의 효과성 및 타당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ccident Analysis Policy for Construction Safety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Safety)

  • 이선진;이훈기;신동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46-160
    • /
    • 2023
  • 연구목적: 건설업은 복합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사고 발생 빈도 와 강도가 다른 산업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고 사망만인율 또한 전 산업의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 이런 사고 감소를 위해 정부의 재해조사 방법에 대해 시스템 안전 관점에서 한계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정부의 중대 재해조사에 대한 주요 내용을 파악하고, 시스템 안전 관점에서 효과성/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법규 위반 및 준수에 맞춰진 재해조사 및 분석기법은 근원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에 한계가 있었으며, 안전 제약, 제어, 계층별 상호작용을 접목할 때 시스템 전체의 구성 요소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가 가능했다. 결론:현재의 사고분석 방법에서 시스템 안전 관점의 재해조사 및 분석 방법을 접목할 때 계층별 상호작용의 문제점과 의사소통 과정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어 통합적 관점에서 사고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가 가능하다.

Assessment of Water Quality Vulnerability to Extreme Drought in the Nakdong River Basin

  • Kim, Jong-Suk;Park, Seo-Yeon;Sur, Chanyang;Lee, Joo-Heo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50
    • /
    • 2018
  • As the frequency of drought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and the severity of drought becomes severe,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against extreme drought.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s of drought on the coupled human-environment system, we have not fully understood the consequences of extreme droughts affecting all parts of the environment and our communities, and there is no system to assess environmental droughts quantitatively. Even if a drought disaster occurs on the same scale, the severity of the drought depends on the vulnerability of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nvironment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water quality vulnerability to extreme drought for the resilient proactive response.

  • PDF

인천 화재사건 청소년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PTSD 하위유형간 증상, 기능 및 기질성격 특성 비교연구 (Symptom severity, Functional Impairment, and Personality Profiles between Partial and Ful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among the Adolescent Survivors from the Incheon Fire Disaster)

  • 황서현;이홍석;이상규;이흥표;전철은;이소영;김용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2-100
    • /
    • 2011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related symptom severity, level of functional impairment and personality profiles between full-blown PTSD, partial PTSD and non-PTSD groups among 59 adolescent survivals from the Incheon fire disaster. Method : Using Short Screening Scale for DSM-IV PTSD, victims of the disaster were assigned to a full-blown PTSD group (n=18), a partial PTSD (n=22), or a non-PTSD group (n=19). Assessments includ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the Impact of Event Scales (IES), the McBride's Degree of General Labor Loss, and the Korean Version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K-TCI). Results : Significantly severe PTSD symptoms (F=4.832, df=2, p<.05) and functional impairment (F=12.144, df=2, p<.01) were demonstrated by PTSD groups as compared to the non-PTSD group. Interestingly, full and partial PTSD did not differ in these comparisons. Similarly, the subtypes of PTSD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personality profiles using the K-TCI ; however, personality profiles were sharply differentiated between the PTSD and non-PTSD group. Conclusion : Although high subject homogeneity and small sample size may limi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sent results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the underestimation as well as the insufficient, treatment and compensation of partial vs full PTSD.

RapidEye 영상을 활용한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n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 of Large Forest Fire Area in 2013)

  • 원명수;김유승;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67
    • /
    • 2014
  • 본 연구는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2013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울주, 포항, 봉화)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200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추정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우도법을 기반으로 한 감독분류를 실시하여, 산불피해지역의 강도등급 및 피해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등급별 정확도 평가 결과는 평균적으로 전체정확도 73.93%과 Kappa 계수 0.67로 나타났다. 2013년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울주지역 $CO_2$ 63,260, CO 5.207, $CH_4$ 360, $N_2O$ 28.0, $NO_x$ $4.4g/kg^{-1}{\cdot}ha^{-1}$, 포항지역 $CO_2$ 28,675, CO 2.359, $CH_4$ 163, $N_2O$ 12.7, $NO_x$ $1.9g/kg^{-1}{\cdot}ha^{-1}$ 그리고 봉화지역 $CO_2$ 53,086, CO 1,655, $CH_4$ 114, $N_2O$ 23.5, $NO_x$ $3.6g/kg^{-1}{\cdot}ha^{-1}$로 나타났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어린이 사고심각도 분석 연구 (The Study on the Severity of Children Traffic Accid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윤병조;고은혁;양승룡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259-260
    • /
    • 2016
  • 어린이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완성되지 못하여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전국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이나 인천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 추세에 들어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순서척도인 반응변수에 대한 설명변수의 오즈(Odds)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안전운전불이행, 차대사람(횡단중), 차대차(측면직각충돌)사고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불이행으로 인한 사망사고와 기타사고의 오즈차이는 1.35배, 측면직각충돌로 인한 사망사고와 기타사고의 오즈차이는 1.7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횡단중인 경우에는 오히려 사망 위험도의 오즈값이 0.58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급출동지령서 개선을 통한 구급대원 현장 도착시간 단축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Arriving Time to the Scene by Enhancing EMTs' Recognition of Triage)

  • 오원신;정석환;윤명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nhanc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by transporting them to the hospital within the golden hour through the operational improvement of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To this e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urrent operating system were derived by carrying out a survey against paramedics of Incheon city in 2012 and analyzing the current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mergency activity daily reports for one year from January 1 through December 31, 2012 and researched the consciousn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on-site arrival times per triage. Therefore, the item of 'Emergency Classification' specified in the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needs to be integrated in the scheme of "triage". Also, the feedbacks of the emergency action log and the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are necessary for 'duty for operation' to review the adequacy to the severity after the end of emergency operation. Finally,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paramedics and the command staff is necessary. This improvements as stated abov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e survival rate of patients.

SPEI와 RDI를 이용한 한강유역 가뭄의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Basin drought using SPEI and RDI)

  • 원광재;정은성;이보람;성장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187-196
    • /
    • 2016
  •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는 보편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심도를 정량화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RDI (Reconnaissance Drought Index)는 가뭄의 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에 활용도가 높은 가뭄지수이지만 이를 이용한 국내 적용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hornthwatie, Hargreaves, Blaney-Criddle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과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EI와 RDI를 비교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한강 유역에 대한 가뭄 정량화 및 특징 비교를 위해 기상청 관할 16개 지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경우 최근 들어 급격히 극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들이 증가하였다. 두 가뭄지수 사이에 상관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가뭄의 심도 및 극한가뭄의 발생 연도 사이에는 일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 심도와 발생 시기의 정량화를 위해 RDI 또한 활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산불 피해강도의 공간 자기상관성 검증에 관한 연구 (Testing Spatial Autocorrelation of Burn Severity)

  • 이상우;원명수;이현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03-212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산불피해지인 울진과 영덕지역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산불 피해강도의 공간 자기상관성 검증에 목표를 두고 수행되었다. 자기상관성은 산불 피해지의 현장조사, 피해지 모니터링 등 샘플링의 적정 이격거리 설정과 자료의 독립성 검증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산불 피해강도 측정을 위해 SPOT영상을 이용하여 NDVI 값을 계산하였으며, 5000개의 지점들을 GIS상에서 랜덤으로 대상지에 분산 배치시키고 지점별 NDVI 값을 샘플링하였다. 공간 자기상관도는 Moran's I값과 Variogra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Moran's I 값이 울진의 경우 0.7745, 영덕의 경우 0.7968로 나타나 강한 공간 자기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ariogram 및 Lag class 별 Moran's I값 변화에 기초하여 도출된 적정한 샘플링 이격거리는 울진의 경우 566-2,151 m, 영덕의 경우 272-402 m 범위에서 상관도의 정도에 따라 다른 이격거리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격거리를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 보다 Anisotropic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크게, 반면 낮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작게 유동적으로 적용하여야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근로 환경 변화를 고려한 산업재해지표 수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if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 Indicator Considering Working Environment Change)

  • 엄태수;신은택;송창근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7
    • /
    • 2021
  • 주5일제 실시, 인구 고령화 등으로 근로 환경이 과거에 비해 크게 바뀌었지만 빈도율, 강도율, Safe T-score와 같은 산업재해지수에는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수명 증가, 근로 가능연령 상향, 근로시간 단축, 재해에 의한 사망자 평균 연령 변화 등의 시계열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자료의 시계열 추이 분석 결과 인구 고령화로 인해 기대수명이 83.3세로 늘어났고, 법정 근로연령 또한 65세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2001년부터 주5일제 근로시간제가 도입되면서 연간 평균 근로시간은 2008.1시간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현재의 산업재해지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준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산업재해지표를 활용해 재해의 발생빈도와 산업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등을 계산하고 그 추이를 파악하는데 큰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직장인의 건강신념이 COVID-19 예방접종 이행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 according to Employee's Health Beliefs)

  • 김유미;정세영;이근출;김병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07-21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which employee's health beliefs affect their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237 emlpoyees living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April 26th to May 6th, 2021.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version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t the average score for each area of health beliefs regarding COVID-19, self-efficacy was 4.45 points, perceived sensitivity 4.71 points, perceived severity 3.59 points, perceived benefit 4.46 points, and perceived disability 2.19 points. Monthly income,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enefit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accination intention of COVID-19, it is necessary for subjects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disease, increase their sensitivity to the disease, and actively promote and educate the community about the benefits of vacc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