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quiterpene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5초

인삼 Sesquiterpene의 새로운 분리방법 (New Methods for Isolation of Sesquiterpene from Panax ginseng)

  • 위재준;신지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14-218
    • /
    • 1997
  • New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esquiterpenes from Panax ginseng were developed. First, volatile compounds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with 30% methanol and $\alpha$-hexane instead of water and ethyl ether/pentane (1:1). Secondly, head space volatiles in U-shaped tube at 7$0^{\circ}C$ were passed through C18 Sep-Pak by nitrogen gas streaming and the adsorbed volatiles were fluted by $\alpha$-hexane. TLC analysis showed that the volatile concentrates consisted mainly of terpenes when colored by vanillin-sulfuric and. GC/MS data revealed that approximately 30 sesquiterpenes of molecular weight 204 occupied 81.1% or more of the volatile concentrates isolated by those two newly developed methods. Among these, alloaromadendrene, germacrene B, isocaryophyllene, $\alpha$-neoclovene, ${\gamma}$-muurolene, $\beta$-panaslnsene, and $\alpha$-humulene were identified as being major sesqulterpenes by authentic samples or literatme search Key words : Panax ginseng, volatile compound, sesquiterpene, isolation, new method, GC/MS.

  • PDF

Isolation of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Xanthium strumarium L.

  • Ahn, Jong-Woong;No, Zae-Sung;Ryu, Shi-Yong;Zee, Ok-Pyo;Kim, Seong-Ki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1-4
    • /
    • 1995
  • MeOH extract of the leaves of Xanthium strumarium L. were found to have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five human tumor cell lines. Cytotoxicity-guided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led to the isolation of the ${\alpha}-methylene$ containing sesquiterpenes, xanthatin, 8-epi-xanthatin and 8-epi-tomentosin. 8-epi-Xanthatin was found to be far more cytotoxic than 8-epi-tomentosin, which lacks the conjugated enone moiety present in 8-epi-xanthatin.

  • PDF

Cytotoxic Activities of Brominated Sesquiterpenes from the Red Alga Laurencia okamurae

  • Ryu, Geon-Seek;Park, Soo-Hee;Choi, Byoung-Wook;Lee, Nam-Ho;Hwang, Hye-Jung;Ryu, Shi-Yong;Lee, Bong-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103-107
    • /
    • 2002
  • Four known sesquiterpenes, laurinterol (1), isolaurinterol (2), aplysinal (3) and aplysin (4) were isolated from the Korean red alga Laurencia okamurae off Cheju Island, Korea.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data. Compounds 1-4 show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A549, SK-OV-3, SKMEL-2, XF498, and HTl5 cell lines with $EC_{50}$ values ranging from 1.2 to 17.6 ${\mu}g/ml$.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III) -백지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III) -Essential Oils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 김현수;지형준
    • 생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5
    • /
    • 1990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eleven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4.74%),\;campben, {\beta}-pinene,\;myrcene,\;{\alpha}-phellandrene,\;{\delta}-3-carene(39.4%),\;{\alpha}-terpinene,\;{\rho}-cymene,\;{\beta}-phellandrene,\;{\alpha}-terpinene,\;terpinolene\;and\;also\;found\;to\;contain\;4-vinylguaiacol,\;iso-elemicin,\;{\beta}-elemene$, caryophyllene, ligustilide, osthol and seven tentatively identified sesquiterpenes.

  • PDF

목재부후균에 의한 trans,trans-farnesol의 생물변환 (Biotransformation of trans,trans-farnesol by Wood Rot Fungi)

  • 김영훈;이수연;박미진;최인규;이재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7-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esquiterpene류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생촉매로서 목재부후균을 선발하고 생물변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squiterpene류 합성 전구체로 알려진 trans,trans-farnesol을 기질로 하여 총 19종의 목재부후균에 대해여 저항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저항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생물변환 가능성을 갖는 5종의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정된 균주를 이용하여 액체배지 조건에서 trans,trans-farnesol의 생물변환을 시도하였다.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Lae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jungh) Imaz, Coriolus versicolor (L. Fr). Prlar, Fomitopsis pinicola, Lampteromyces japonicas 등 4개의 균주에서 각각 nerolidol, eicosane, isoborneol, isocyclocitral 등의 대사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sesquiterpene류의 생물학적 변환을 위한 생촉매로서 목재부후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수종별 BVOCs 방출량 (1) (Emission Rate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from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 (I))

  • 장한나;손정아;제선미;오창영;조민석;김주완;김재현;최원실;이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43-553
    • /
    • 2021
  • 피톤치드는 식물체에서 방출되는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BVOCs)에 포함되어있는 isoprene, monoterpene, sesquiterpene과 같은 화합물들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중요한 산림치유 인자인 동시에 질소화합물과 광학반응을 하여 오존 및 이차 유기에어로졸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숲 주요 30 수종을 선정하여 표준환경조건(온도: 30℃, 광도: 1,000 μmol/m2/sec)에서 400 L Tedlar bag의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하여 열탈착-GC/MS로 분석하였고, 해당 수종의 잎을 건조시켜 건중량 당 수종별 isoprene 및 terpene류의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Isoprene 방출량은 전체 수종 중에서 왕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굴거리나무, 회양목이 주요 isoprnen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방출량은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로쇠, 일본잎갈나무, 백목련, 메타세쿼이아,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가 주요 monpterpene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rerpene 주요 물질은 α-pinene, myrcene, limonene, β-pinen, sabinene이였으며, sesquiterpene의 주요 물질은 caryophyllene, farnesene으로 나타났다. Oxygenated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pulegone, borneol, menthol, eucalyptol, nerol이였고 oxygenated sesquiterpene에서는 carypphyllene oxide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지만 30개 수종에서 sesquiterpene과 oxygenated sesquiterpene의 방출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국내 수종별 BVOCs 방출량(II): 도시 숲 주요 수종 (Emission Rate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 (II): Major Species in Urban Forests)

  • 장한나;손정아;김주완;김준혁;김영성;최원실;이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490-501
    • /
    • 2022
  • 식물체에서 isoprene, monoterpene, sesquiterpene과 같은 화합물들 형태로 방출되는 피톤치드를 포함한 VOCs를 총칭하여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 BVOCs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로 구분하고 있다. 피톤치드는 중요한 산림치유 인자인 동시에 질소화합물과 광학반응을 하여 오존 및 이차 유기에어로졸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숲 주요 32 수종을 선정하여 3년생 이하 묘목을 연구 대상으로 표준환경조건(온도: 30℃, 광도: 1,000 μmol/m2/sec)에서 400 L Tedlar bag을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도시숲 주요 수종에서 방출되는 기체시료를 포집하여 열탈착-GC/MS로 분석하였다. 해당 수종의 잎을 건조시켜 건중량 당 수종별 isoprene 및 terpene류 38종의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Isoprene 방출량은 전체 수종 중에서 신갈나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버드나무, 아까시나무, 왕버들이 주요 isoprene 방출 수종으로 분류되었다. Monoterpene 방출량은 스트로브잣나무가 가장 높았으며 참죽나무, 박태기나무가 주요 monoterpene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주요 물질은 α-pinene, myrcene, camphene, limonene이였으며, oxygenated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eucalyptol이였다. Oxygenated sesquiterpene에서는 caryophyllene oxide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지만 32개 수종에서 sesquiterpene과 oxygenated sesquiterpene의 방출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