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um indicum growt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3초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황련(Coptis chinensis)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olvent-extracts Extracted from Coptis chinensi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이승엽;권태오;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7-282
    • /
    • 2006
  • 천연 살초성분 해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발아 및 생장억제물질 동정을 위하여 몇 가지 유기용매에 따른 황련의 분획 추출물에 대한 다른 식물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검정식물의 발아율은 들깨, 배추, 피, 참깨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2,000ppm ethyl acetate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발아억제를 보였다. 초장 및 뿌리생육은 참깨, 들깨, 배추, 피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뿌리신장은 $H_2O$, butyl alcoh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물 순으로 억제정도가 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발아 및 유묘생육의 억제정도는 참해 및 배추에서 종특이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종자발아 및 뿌리 신장에 천연살초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금후 천연제초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Incidence of Alternaria Species Associated with Infected Sesamum indicum L. Seeds from Fields of the Punjab, Pakistan

  • Nayyar, Brian Gagosh;Woodward, Steve;Mur, Luis A.J.;Akram, Abida;Arshad, Muhammad;Naqvi, S.M. Saqlan;Akhund, Shai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543-553
    • /
    • 2017
  • Sesame (Sesamum indicum) is an important oil seed crop of Asia. Yields can be negatively impa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disease, particularly those caused by fungi which create problems in both production and storage. Foliar diseases of sesame such as Alternaria leaf blight may cause significant yield losses, with reductions in plant health and seed quality. The work reported here determined the incidence of Alternaria species infecting sesame seeds grown in the Punjab, Pakistan. A total of 428 Alternaria isolates were obtained from 105 seed samples and grouped into 36 distinct taxonomic groups based on growth patter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Isolation frequency and relative density of surface sterilized and non-surface sterilized seeds showed that three isolates (A13, A47 and A215) were the most common morphological groups present. These isolates were further identified using sequencing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ribosomal DNA (rDNA) and the Alternaria major allergen gene (Alt a 1). Whilst ITS of rDNA did not resolve the isolates into Alternaria species, the Alt a 1 sequences exhibited > 99% homology with Alternaria alternata (KP123850.1) in GenBank accessions. The pathogenicity and virulence of these isolates of Alternaria alternata was confirmed in inoculations of sesame plants resulting in typical symptoms of leaf blight disease. This work confirms the identity of a major source of sesame leaf blight in Pakistan which will aid in formulating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strategies.

참깨의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 선발 및 윤작효과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Rotational Cropping System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Sesamum indicum L.))

  • 남상영;김인재;김민자;강효중;윤태;노창우;민경범;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4-408
    • /
    • 2007
  • 참깨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9월 하순$\sim$10월 중순에 호밀, 헤어리벳치, 귀리 등을 파종 후 이듬해 5월 상순 환원하여 2004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윤작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여 단일연작 48.9kg/10a 대비 33% 증수되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하여 $10{\sim}15%$ 증수되었고,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윤작 시 연작에 비하여 병발생, 토양의 시들음병균 밀도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과 헤어리벳치재배에서 양호하였고, 공극률은 윤작과 연작의 호밀재배에서 가장 높았다. 연작기간이 경과할수록 시들음병 및 역병 발생이 많았으며, 연작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수량도 가장 많았다.

쇠뜨기(Equisetum arvense L.)의 수용추출액이 몇가지 식물의 캘러스 생장, 종자발아, 유묘생장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eous Extracts on the Callus Growth,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Some Plants and Antibacterial Activity by Equisetum arvense L.)

  • 이중호;이승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1999
  • 쇠뜨기에 다른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이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용추출액으로 몇가지 식물의 캘러스 생장, 종자발아, 유묘생장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용 추출액의 첨가농도가 높은 배지에서 벼와 배추의 캘러스 유기 및 발달을 억제하였으며, 8$0^{\circ}C$ 추출액이 $25^{\circ}C$ 추출액보다 유의하게 캘러스 유기 및 생장을 억제하였다. 20%추출액 첨가배지에서 공시식물의 캘러스 생장은 추출온도에 관계없이 도라지, 참깨, 배추, 벼 순으로 억제되었다. 냉동건조한 수용추출액 고형물은 저농도에서는 영향이 적었으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벼, 참깨, 배추의 종자발아를 억제하였고, 특히 배추는 2,000$\mu\textrm{g}$/mι농도에서 대조구의 28.3%로 급격한 발아억제를 보였다. 유식물 생장은 500$\mu\textrm{g}$/mι의 저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초장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근장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추출액 고형물의 항균활성은 500$\mu\textrm{g}$에서 E. carotovora에서만 약간의 억제대를 형성하였으며, X. oryzae pv. oryzae와 E. coli에 대해서 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곡물과 적하수오를 혼합한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Mixed with Grains and Fallopia multiflora on Melanogenesis)

  • 이은빈;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1-4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흑모 성장과 관련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흑미, 흑임자, 현미, 서목태 및 적하수오의 에탄올 추출혼합물의 melanin 합성에 대한 효능을 조사한 것이다. 흑모가 백모로 변화되는 원인으로 $H_2O_2$가 모낭 주위에 축적되어 melanin 합성이 저하되어 백모가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MIXEE는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력과 활성산소에 대한 환원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내 $H_2O_2$ 수준을 감소시켰는데, 이러한 결과는 MIXEE는 산화를 억제하여 $H_2O_2$에 의하여 감소된 melanin 합성을 촉진 시킬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 in vitro에서 MIXEE는 tyrosinase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L-dopa에서 melanin 합성을 촉진하였다. 더욱이, B16F1세포에서 MIXEE는 melanin 생성을 세포수준에서 촉진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 MIXEE는 SOD-2 및 SOD-3. 특히 DOPA에서 melanin 이 생성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TRP-2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MIXEE가 백발화과정을 가역화시키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melanin 생성을 촉진하는 하나의 약학 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참깨에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세포주 HL-60 생장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Sesamolin from Sesame Seeds on Human Leukemia HL-60 Cells)

  • 김관수;강삼식;류수노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37-241
    • /
    • 2003
  • 본 연구는 참깨 종자로부터 추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HL-60 세포의 생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사몰린은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HL-60 세포의 생합성을 억제하였다. $60{\sim}100\;{\mu}g/ml$ 농도의 세사몰린 범위에서 사포증식이 억제적이었다. $200\;{\mu}g/ml$ 이상의 세사몰린 농도에서 HL-60 세포에 세포파괴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0\;{\mu}g/ml$에서 HL-60 세포의 DNA, RNA, 단백질의 합성억제 정도는 35.1%, 6.1% 5.3%였다. 반면에 $200\;{\mu}g/ml$에서의 억제 정도는 각각 86.8%, 81.5%, 96.7%였다. DNA 합성에 대한 세사몰린의 억제효과는 비가역적이었다.

The growth and yield change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L.),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sorghum (Sorghum bicolor L.),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and sesame (Sesamum indicum L.) as affected by excessive soil-water

  • Chun, Hyen Chung;Jung, Ki Yuol;Choi, Young Dae;Lee, Sang Hun;Kang, Hang W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547-559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cessive soil-water on crop growth and to predict decrease of yields caused by excessive soil-water. The following five crop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adzuki bean, and sesame. These were planted in pots and a soil-water table was set to 10cm for 10 days. Crop susceptibility (CS) factors and stress-day indexes (SDI) were calculated for each crop to estimate effects of excessive soil-water. SDI models were calculated using CS and SDI data for each crop and predicted the yields of crops cultivated in paddy fields. All crops were cultivated in paddy fields with different soil water contents to evaluate the yield-SDI models. Results showed that yields decreased most when crops were affected by excessive soil-water at the early development stage. Decrease of yields was the greatest when the excessive soil-water treatment was applied at early growth stage. In the field experiment, crops from soils with the greatest soil-water content had the smallest yield, while ones from soils with the smallest soil water contents showed the greatest yields. Observed yields from the field and predicted yields from SDI models showed the least correlation for proso millet, foxtail millet, and adzuki bean and the greatest correlation for sesame. In conclusion, proso millet, foxtail millet, and adzuki bean were more susceptible to soil water than other crops, while sorghum and sesame were more suitable to cultivation in paddy fields.

참깨의 생육 및 함유율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Level on the Growth and Oil Qual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서관석;조재성;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29
    • /
    • 1986
  • 참깨의 N, P, K 시비수준별 생육과 함유량, 지방산조성분포를 검토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1. 질소배비(16k/10a)시용시 초장과, 주당삭수, 착삭부위장, 분지수등은 증가되나, 삭당입수와 종실중은 표준비(8k/10a)에서 가장 많았다. 2. 가리의 배비(18k/10a)시용시에는 지상부 생육과 등숙비율이 모두 높았으며, 인산 및 가리, 배비구(N 8, P$_2$O$_{5}$ 8, $K_2$O 18k/10a)에서는 표준비(N 8, P$_2$O$_{5}$ 4, $K_2$O 9k/10a)의 종실중 91kg보다 11% 증가되었다. 3. 엽의 무기성분중 N과 $K_2$O는 파종후 20일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되는 경향으로 N과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배비시 엽의 N, $K_2$O 함량은 증대되었다. 4. 시비수준별 함유량은 질소의 배비시용구(16k/10a)와의 P$_2$O$_{5}$ 표준시용구(4k /10a)에서 가장 많았으나, 가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지방산조성은 양질의 Oleic acid는 질소, 인산,가리의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Linoleic acid는 인산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전.후작물 도입에 의한 참깨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opping System of Sesame(Sesamum indicum L.)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방진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2
    • /
    • 2004
  • 참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농경지활용도를 높이고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참깨 단작 등 4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량은 보리+참깨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작부유형간에는 보리+참깨는 후작물에서 많았으나, 그 외에서는 전작물에서 많았다.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의 작부유형은 전ㆍ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소득도 참깨 단작에 비하여 각각 21%, 61% 높았다. 참깨+배추에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들깨가 후작물로 도입시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참깨와 참깨+배추에서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