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oil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참깨 연구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Study of Sesame Research in Korea)

  • 류시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36-541
    • /
    • 1996
  • 한국은 참깨의 주요 소비 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참깨에 대한 연구는 1973년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121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주요 주제는 참깨의 성분 분석, 참깨의 조성, 참깨의 육종 재배와 참기름의 진위 판별이었다. 식용시 매우 중요한 것은 향미성분 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참깨의 품종간의 차이, 배전 조건, 추출 여과의 조건 등이었다. 이것으로써 참깨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와 관능 검사에 대한 확실한 연구가 요구되며, 참기름의 압착수율의 향상, 참깨박의 이용 등이 부족함을 알았다.

  • PDF

The Study of Identification for Blended Sesame Oil by Metal Oxide type Electronic Nose

  • Shin, Jung-Ah;Lee, Ki-Tea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5.1-105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precise and rapid method to distinguish the blended sesame oil through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The sesame oil was blended with corn oil at the ratio of 95:5, 90:10, 80:20(w/w), respectively. Samples were then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SPME-GC/MS and the electronic nose composed of 12 metal oxide sensors. The sensetivities(delta Rgas/Rair) of sensors by electronic nose was carried out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e proportion of first principal component showed 98.76%. In this study,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could be used as a competent method to classify for genuine sesame oil.

  • PDF

정제공정이 참기름의 항산화 물질과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il Refining Processes on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tive Substances of Sesame Oil)

  • 한진숙;문수연;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0
    • /
    • 1997
  • 탈검, 탈산,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 과정이 참기름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과 금속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과 $70^{\circ}C$에서 저장 중 참기름의 산화 안정성과 항산화물질의 변화에 관하여 시험하였다. 철, 구리, 마그네슘 및 아연의 금속은 탈검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이 제거되었다. 조참기름과 탈검유는 저장 동안에 총 휘발성 화합물의 양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탈산유와 탈취유는 저장 초기에서부터 총 휘발성 화합물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동정된 휘발성 산화 생성물 중 hexanal과 pentanal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탈산,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 과정을 거친 시료들은 저장 초기에 이러한 산화 생성물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Sesamin은 정제와 저장동안에 비교적 안정하였고, sesamolin은 정제 과정과 저장 중에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Sesamol은 탈산 과정까지는 감소하다가 탈색 과정을 거치면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탈취 과정에서 거의 제거되었다. 저장 중 sesamolin이 계속 감소되면서 sesamol의 증가가 수반되었다.

  • PDF

여과 및 원심 분리가 참기름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ltration or Centrifugation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Sesame Oil)

  • 최은옥;문수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68-174
    • /
    • 1994
  • 여과 및 원심 분리가 $70^{\circ}C$ 저장 중 참기름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한 헥산알 생성과 기름의 과산화물가 및 공액 이중 결합 측정에 의해 살펴보았다. 볶은 참깨로부터 얻은 조참기름은 유리지방산, 공액 이중결합과 금속(철, 구리, 마그네슘 및 아연)을 더욱 많이 함유한 반면 수분과 ${\gamma}-tochopherol$은 여과 참기름 또는 원심분리 참기름에 더 많이 함유되었다. 여과 참기름은 세 종류의 기름 중 가장 큰 L과 b값의 우수한 색도에도 불구하고 조참기름보다 많은 과산화물을 함유하였다. 모든 참기름이 $70^{\circ}C$ 저장 중 색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과 참기름에서의 리놀렌산 감소 경향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정한 지방산 조성을 보였다. 산화 안정성에 있어서 원심분리 참기름과 조참기름은 a=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과 참기름은 이들보다 산화안정성이 떨어졌다. 원심분리 참기름이 산화안정성과 유지의 색도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rpretation of Agronomic Traits Variation of Sesame Cultiva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Shim, Kang-Bo;Hwang, Chung-Dong;Pae, Suk-Bok;Park, Jang-Whan;Byun, Jae-Cheon;Park, Keum-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4-2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of 18 collected sesame cultivars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variation for the sesame breed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ll characters except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and 1,000 seed weigh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eed weight per 10 are showed higher coefficient of variance. Capsule bearing stem length and liter w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 yield per 10 are.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grouped the estimated sesame cultivars into four main components which accounted for 83.7% of the total variation at the eigenvalue and its contribution to total variation obtained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Z_1$) was applicable to increase plant height, capsule bearing stem length and 1,000-seed weight.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Z_2$)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ys to flowering and maturity by which it was applicable to shorten flowering and maturity date of sesame. At the scatter diagram, Yangbaek, Ansan, M1, M2, M4, M7 and M9 were classified as same group, but M10, Yanghuk, Kanghuk, M5, M6, M12 and M13 were classified as different group. This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sesame breeder to understand genetic relationship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and select promising cross lin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esame variety.

마그네슘 및 칼슘이 혈청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II) (Influence of Magnesium and Calcium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II))

  • 남현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24
    • /
    • 1985
  • The effects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on th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rabbit was studied for a period of 21 days using isocalorids and isonitrogenous basal diet. It is investigated that the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by feeding with calcium, magnes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did not appeared but perilla oil and magnesium feeding group appeared a little bit lowering. There was no effect for the total protein, but there was some sort of effect for albumin and globulin. Particulary, alpa-globulin was increased by calcium, magnes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feeding groups. The esterified cholesterol was increased at the magnesium and perilla oil diet group. It is also, investigate that there is almost no effect for the electrolytes concentration and transport phenomena in the cell through magnesium, calc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diet groups.

참기름의 조리에 관한 연구(제 2보)-참기름의 가열에 의한 변화와 향신료의 영향- (Studies on the Cooking of Sesame Oil (Part 2)-Fravor and Cooking of Korean Home-Made Sesame Oil)

  • 김천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5-52
    • /
    • 1979
  • The study was an attempt to compare the Korean home-made sesame oil (sample A) with the market goods in Korean (sample B) and in Japan (sample C) for their flavor and cooking after an hour heating. And there were 5 spices used green onion , garlic, ginger, black pepper and red pepper in heating process of the sesame oi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On the chemical changes of AV, IV, SV, TBAV, and the appearence of color and viscosity , it was supposed that the changes were showed merely more by the heating than the heating of the spices addition. Among the spices garlic was noticed to change greatl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pices. And A was showed to change a little respectively at color , SV, which B, C changed more. 2) Through the sensory examination there was not of significant effect in the strength and acceptability after an hours heating between sample A, B and C. 3) Basic aroma component of the fresh sesame oil and the heating in the carbonyl fraction were analyzed and indentified by G L C. N-hexanal, n -heptanal , n-octanal etc were increased by means of the heating , sample b remarkably more than A.

  • PDF

전통조리법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지방질과 색소 특성 (Characteristics on lipid and pigments of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fried cuisine) made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 정이진;송영옥;정라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05-814
    • /
    • 2013
  •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텍스쳐, 지방질 산화, 색소를 평가하고 튀김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찹쌀풀과 생참기름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이 밀가루풀과 콩기름으로 제조한 부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기름 흡수량은 다소 높았으나 공액이중산값과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한 지방질 산화는 적었다. 부각 지방질의 산화 정도는 튀김유의 산화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부각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유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김 부각과 깻잎 부각은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였으며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 등 제조 방법은 부각의 색소 함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찹쌀풀과 밀가루풀 등의 튀김옷은 김과 깻잎 색소가 기름으로 용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 주었다.

해바라기박을 이용한 향미유의 변향특성 (Characteristics of Flavor Reversion in Seasoning Oil using Sunflowerseed Meal)

  • 구본순;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8-812
    • /
    • 2007
  • 해바라기박을 이용하여 직화법과 autoclaving법에 의하여 2종의 향미유를 제조하고 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직화법으로 얻은 원액의 색상, 향미 등이 상대적으로 autoclaving법으로 얻은 원액에 비하여 강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참기름에 비하며 향미유의 향미는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산가는 0.452, 0.463으로 참기름의 1.987보다 월등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Lovibond color는 3종의 시료유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들 향미유와 대조군으로 직접 제조한 참기름을 대상으로 정유성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조성 및 함량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 함량은 참기름이 1,300.6 ppm, 직화법으로 제조한 향미유(A type)가 697.8 ppm,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향미유(B type)는 648.2 ppm으로 참기름 의 약 53.65% 및 49.84% 수준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methyl pyrazine 등이었으며, 참기름은 pyrazine류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향미유에서는 이와 같은 특정성분에 의존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fluence of Drought Stress on Chemical Composition of Sesame Seed

  • Kim, Kwan-Su;Ryu, Su-Noh;Chung, Hae-G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3-80
    • /
    • 2006
  •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contain abundant oil and antioxidative lignans related to the seed quality. To evaluate the potential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same seeds, eighteen cultivars were imposed water-deficit condition by withholding irrigation during 15 days at podding and maturing stage, compared with well-watered plants as control in seed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Drought treatments showed great decrease of seed yield with not affecting seed weight. The contents of sesamin and sesamolin decreased while lignan glycosides inversely increased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 Oil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drought treatment in spite of its slight decrease. In case of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of oleic acid while inverse decrease of linoleic acid under drought stress con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same seed may be modified with drought stress. In particular, the increase of sesaminol glucosides with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was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