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robots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4초

비디오 에스노그래피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 연구 (The Behavioral Patterns of Neutral Affective State for Service Robot Using Video Ethnography)

  • 송현수;김민중;정상훈;석현정;권동수;김명석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29-636
    • /
    • 2008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로봇 연구는 특정한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작업수행 상태가 아닌 외부로부터 입력 값이 없는 대기상태의 행동패턴을 제시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비디오 판독 방법을 선택하였고, 실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10명의 사람들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사람들과 상호작용이 없는 대기상태의 반복적인 행동패턴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총 21개의 반복적 행동을 기록하였고, 비슷한 항목들을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행동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패턴들 가운데 6개의 대표적인 행동들을 EEEX라는 로봇에 적합하도록 인코딩 작업을 하였고, 이것들이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들은 대부분의 로봇 행동패턴을 실험에서 의도한 바와 같이 인식하였으나 로봇의 하드웨어 특성상 몸과 팔의 움직임에서 약간의 혼동 요소가 있었다. 추후 실험을 통해 EEEX를 대형 마트의 입구에 실제로 배치하여 대기 중에 중립행동을 보일 때와 보이지 않을 때의 손님의 관심도 차이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 PDF

네트워크 기반 로봇을 조종하기 위한 공통 명령 프로그래밍 언어(CCSLR)와 번역 시스템 구조 (Common Command-Scripting Language for network-based Robots (CCSLR) and Translator System Architecture)

  • 이일구;토동;김도익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8-54
    • /
    • 2007
  • A network-based robot [1] is a robot that explores service servers in the network environment for analyzing sensor data and making decision. Since network-based robot architecture was proposed, it's possible to reduce costs of robots. We hope robots would be all around at home environment. Therefore, normal users who are not experts need to be able to control those robots by using easy commands. We developed a scripting language, named CCSLR, to help users and developers who control various robots in ubiquitous environment. We focused on how to design the common language for various robots and how to translate a CCSLR script into a sequence of low-level commands of the target robot. In this paper, we propose scripting methods, with three layers. The CCSLR system reads the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database. Users don't have to know all about kinematical and mechanical details of a robot. Then again, the CCSLR system will use the profile information to translate the script into separated executable library commands. The CCSLR system manages robot's changing state every time a robot executes a command.

  • PDF

가상공간과 실공간의 동기화를 고려한 4족 애완 로봇 시뮬레이터 개발 (Synchronous Robot Simulator both on Virtual and Real Space for Quadruped Pet Robots)

  • 김홍석;이수영;최병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5-8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SRDS 환경에서 가상 4족 애완 로봇과 실제 4족 애완 로봇을 동기화함으로써 애완용 로봇의 행동을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응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 로봇의 걸음새 및 동작 개발에 필요한 시간비용을 줄이고, 지능형 서비스 애완 로봇의 상업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가상공간과 실공간의 모델링의 차이를 극복하는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로서 가상 로봇과 실제 로봇의 연동 제어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두 대의 로봇간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므로, 두 대의 애완 로봇을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 로봇, 과학기술 혁명: 간호업무 지원을 위한 로봇 시스템 (Nursing, Robotics, Technological Revolution: Robotics to Support Nursing Work)

  • 송영애;김현정;이현경
    • 노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sup1호
    • /
    • pp.144-15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nfluence of robot systems on nursing and robotics technolog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review article. The literature was done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robotic technology in the healthcare field, both domestic and overseas. The keywords searched were 'Nursing', 'Robot', and 'Patient safety' in Pubmed, CINAHL etc, and 'Nursing Activity', 'Nursing Care Integration Service' in RISS and KISS. Results: In healthcare, robotics is used in five areas; personal care robots, mobility and transfer robots, cognitive and emotional robots, nursing assist robots and care robots in palliative home care settings. Nurses' demands for utilization of robotic systems are high. Especially, if robotics is used for indirect and non-value-added nursing activities, efficiency may increase. Therefore, robotics should be used to help nurses focus on bedside care and perform better nursing care. Conclusion: Future robots and technology can help nurse to provide optimal nursing to patients, and will improve the quality life of patients. It is suggested that nursing research should be actively pursued in the future. Especially, it is an urgent field to improve nursing quality and reduce the burden of nurses.

창작로봇(UCR) 기반 친환경 r-러닝 서비스 실천방안 (Action Plans of Green r-Learning Services based on UCR(User Created Robots))

  • 김진오;한정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0
    • /
    • 2011
  • Expect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has increased the creative robotics classes in the form of after-school activity in more than half of total elementary schools. Whil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promoted 'Green IT Guidelines' as a part of 'Eco-friendly Green School Development Project', the Green issues have not been considered enough in those creative robotics class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Green issues, especially in the r-Learning services based on UCR (User Created Robots). First, trend of green IT education, r-Learning services and UCR are reviewed. And the current status of eco-related opera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robotics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is investigated. Examples of Green UCR are also searched and green programs based on the three kinds of UCR, UC-TR, UC-AR, UC-CR, are explored. Finally, we propose action plans to promote the UCR-based r-Learning service reflecting green issues.

자율사물을 활용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Activation Plan Using Autonomous Objects)

  • 노영희;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사물 중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로봇과 드론,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관내의 경우 로봇과 드론을 활용하여 장서점검, 장서운반, 장서배열, 장서분류에서부터 도서위치안내, 도서추천, 대출/반납, 도서관 전반적인 안내, 참고정보서비스 등까지 적용할 수 있다. 관외의 경우 로봇, 드론,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해 도서배송서비스, 도서반납서비스, 무인이동도서관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자율사물 도입 및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향후 체계적인 도입을 위한 인식조사, 적용모델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통합기술수용모델 (UTAUT Model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한정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4권2호
    • /
    • pp.95-101
    • /
    • 2018
  • 언어교육이나 특수교육을 위하여 지능형 소셜 로봇이나 원격연결 로봇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로봇보조학습이 도입됨에 따라 기술수용모델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능형 소셜 로봇에 대한 통합기술수용모델까지 연구되어 있으나,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논문은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이 미래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로봇보조학습을 체험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된 통합모델은 자율 지능형 로봇보다 간결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외형의 하위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유희성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얼굴영상 원격연결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직접 만질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된 유희성을 높인 로봇에 대한 유의미한 수용도를 보였다.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로봇을 위한 영상처리 프로세서 설계 (Image Processing Processor Desig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ervice Robot)

  • 문지윤;김수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33-640
    • /
    • 2022
  •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 로봇이 적용됨에 따라 각 임무에 적합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 프로세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에 적용 가능한 영상처리 프로세서 설계방법을 소개한다. 제안한 프로세서는 CPU, GPU, FPGA가 융합된 형태로 AGX 보드, FPGA 보드, LiDAR-Vision 보드, Backplane 보드로 구성된다.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Windows NT상에서의 OPRoS 컴포넌트 스케줄러의 실시간성 분석 및 개선 (Real-Time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OPRoS Component Scheduler on Windows NT Operating System)

  • 이동수;안희준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8-46
    • /
    • 2011
  • The OPRoS (Open Platform for Robotic Service) framework provides uniform operating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As an OPRoS-based service robot has to support real-time as well as non-real-time applications, application of Windows NT kernel based operating system can be restrictive. On the other hand, various benefits such as rich library and device support and abundant developer pool can be enjoyed when service robots are built on Windows NT. The paper presents a user-mode component scheduler of OPRoS, which can provide near real-time scheduling service on Windows NT based on the restricted real-time features of Windows NT kernel. The component scheduler thread with the highest real-time priority in Windows NT system acquires CPU control. And then the component scheduler suspends and resumes each periodic component executors based on its priority and precedence dependency so that the component executors are scheduled in the preemptive manner. We show experiment analysis on the performance limitations of the proposed scheduling technique. The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duler guarantees highly reliable timing down to the resolution of 10ms.

LED 모니터 출력 영상과 실물 영상의 얼굴인식 성능 비교 (A Study on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Comparison of Real Images with Images from LED Monitor)

  • 조미영;정영숙;전병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144-149
    • /
    • 2013
  • 로봇 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를 탑재한 로봇 제품의 출시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서비스 로봇은 사람과 로봇간 상호작용에 의한 서비스 제공이 주목적으로 이를 위해 HRI 대표 기술인 얼굴 인식 기술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얼굴 인식 엔진이 탑재된 로봇의 성능이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로봇 제품에 대한 신뢰도마저 저하되고 있다. 대부분 로봇의 얼굴 인식 성능시험은 제품 관점에서 평가가 아닌 인식 엔진 관점에서 평가로 로봇의 직접적인 성능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로봇 제품 관점에서 얼굴 인식 성능평가를 위해 실물 영상을 대신하여 LED 모니터의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물 영상과 LED 모니터 영상의 인식룰 편차를 비교하고 타당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