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design for experience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6초

인터넷 쇼핑몰 소비자의 의류제품 반품 경험에 따른 반품 요인, 정보 탐색, 위험 지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Factor, Information Search and Perceived Risks by Return Experience in Internet Clothing Purchase)

  • 지혜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9-161
    • /
    • 2008
  • Internet shopping provides convenience to consumers,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onsumer's return rate and return-related disputes continue to increase.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behavior through return experiences of internet clothing purchases. For an empirical study,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317 undergraduat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which the results had been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2.0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VA analysis, Duncan test, and $x^2-test$.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The analysis of consumers' return factor for clothes in Internet shopping showed there are five factors: product and quality, delivery, impulse buying, change of mind, and servi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 quality of return factors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return experience. Thus, consumers with return experience showed more return tendency owing to product quality factor than consumers without return experience. The availability of consumer's retur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formation search. Consumers with return experience showed more consistent information search than consumers without return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risks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and degree of consumer's return experience. In other words, consumers with return experience perceived more account related risk than consumers without return experience. Moreover, the more return experience the consumer has, the more risks consumers perceived in product performance.

  • PDF

정부 정보의 활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동북지방통계청의 국민디자인단 사례를 중심으로- (Service Design for Utilizing Government Inform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Gov3.0 Design Group for East North Statistics-)

  • 이윤주;백수현;김선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35-341
    • /
    • 2018
  • 본 연구는 정부 정보나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해 정책 서비스 개발을 혁신하고자 하였다. 2015년 대구지역 동북지방통계청이 운영한 국민디자인단의 사례는 통계청이 보유하고 있는 GIS공간정보에 대한 데이터마이닝과 카드사의 실시간 결제정보를 활용해 예비창업자들을 위한 '창업 의사결정 지원'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채택하였고,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국민디자인단 활동은 정부 정보 공개에 기반 한 공공서비스를 혁신하는데 유효함을 시사한다. 또한, 정부가 정보나 공공데이터를 국민에게 유용한 형태로 공개하거나 개방하고자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서 가치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Z세대의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 -카카오페이와 토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Fintech service in Z generation -Focused on KakaoPay and Toss-)

  • 정승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15-320
    • /
    • 2020
  • 본 연구는 Z세대의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이다. 과거 금융은 사용자가 어렵다고 느껴지는 산업 중 하나였다. 하지만,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 Z세대들은 모바일 결제를 편안하게 느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핀테크 서비스인 카카오페이와 토스로 국한하고 연구하여 향후 국내 핀테크 서비스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8명의 Z세대 피실험자들에게 FGI(표적집단면접법)을 하였고, 부가적으로 설문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Z세대들은 경제적인 측면 이외에도 기업 브랜드나 이미지, 캐릭터, 이벤트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신뢰성과 가치성 분야를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향후, 앞으로의 소비 주도를 이끌 Z세대들의 니즈를 반영한 핀테크 서비스의 발전을 기대한다.

개인 맞춤형 OTT 콘텐츠 미리보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Design of Personalized OTT Content Preview)

  • 김현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83-287
    • /
    • 2021
  • 본 연구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콘텐츠와 미리보기를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리보기 시청 경험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 운영 중인 OTT 서비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 사용자인 20-30대를 모집하여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 모형을 토대로 작성한 질문을 통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미리보기는 콘텐츠 선택에 도움이 되지만 취향에 맞지 않았으며, 원하는 대로 시청하기 어려워 불편해하였다. 따라서 개선 방향으로는 미리보기 시청의 효율성, 취향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OTT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이나 미리보기 시청 경험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사용자중심 의료공간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의 적용사례 (Case of Service Design Process for Medical Space Focused on Users)

  • 노미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27-36
    • /
    • 2015
  • Purpose: Of late, the focus of service design is moving toward emphasi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taking users' experience more seriously. In addition to the change in perspective in service design, scholars in this area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process, as well as its theory and real-world case studies. In the case of medical spac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attempting to apply service design methods useful for deriving user-focused results. The author of this paper believes, however, case study-oriented approaches are more needed in this area rather than ones focusing on theoretical aspects. The author hopes thereby to expand the horizon to practical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beyond service design methodology. Methods: In order to incorporate the strengths of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at can reflect a variety of user opinions, this study will introduce diverse tools in the framework of double diamond process. In addition, it will present field cases that successfully brought about best results in medical space design. It will end with summarizing the ideal process of medical space design which is reasonable and comprehensive. Results: Medical service encompasses preventive medicine as well as treatment of existing medical conditions. A study in establishing the platform of medical service design consists of a wide range of trend research, followed by the summary of two-matrix design classification based on results of the trend research. The draft of design process is divided into five stages composed of basic tools for establishing spatial flow lines created by matching service design tools with each stage of space design processes. In all this, most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are communication and empathy. When service design is actually applied to space design, one can see that output has reflected the users' needs very well. The service design process for user-oriented medical space can thus be established by interactions on the final outcome and feedback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ne can see that the service design with the hospital at its center produces the result that encompasses the user's needs best. If the user-focused service design process for medical space can be extended to other space designs, the author believes that it would enh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users and minimize trials and errors.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조사 도구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User Research Tool for Service Design)

  • 구도희;전우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94-507
    • /
    • 2021
  • As service design becomes more common, various user research methods and tools such as cultural probes and contextual inquiry are being used to grasp the user's experience and needs. These methodologi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rive various insights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but have disadvantages in that problems such as time and space constraints, cost occurrence, and delay in the service development process may occu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duct actual observations, face-to-face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due to COVID-19, which has recently spread rapidly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prior to the digitization of cultural probe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igital tools. First, after grasping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user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necessity of user research in service design was confirmed. After that, the necessity of digitalizing user research was confirmed by extracting functional elements that could be understood and digitalized about the cultural probes methodology, and analyzing previous studies using existing mobile-based survey techniques. Finally, we confirmed the direction of digital tools through user interviews through cultural probes.

장소 브랜딩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삼성, 애플의 체험 매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place branding -Focused on the experience store of Samsung and Apple-)

  • 정승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93-298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체험 매장에서 장소 브랜딩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들이 보급을 넘어 포화상태가 되면서 IT업계들은 사용자들에게 경험 측면을 통해 구매욕을 높이고 있으며, 체험 매장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임으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 애플로 국한하여 연구하였고, 체험 매장 간의 장소 브랜딩이 미치는 영향을 정성, 정량적 측정을 통해 분석하고 사용자들 장소 브랜딩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8명의 피실험자에게 태스크를 준 후 참여 관찰법을 통해 실험하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체험이 사용자들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내고 있었지만 각 브랜드 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험자 위주의 경험 요소를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용자 중심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치과예방서비스 개선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ntal Clinic Preventive Service Using User-Centered Service Design)

  • 신광섭;최현철;권상지;윤치호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42
    • /
    • 2021
  •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rvice design process of dental clinic preventive service by using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which is user-centered for improving dental clinic management efficiency. Methodology: We examine case study that dental clinic preventive service of local dental clinic. Following the double diamond design four steps(①discover, ②define, ③develop, ④deliver), we use suitable analytic tools in each steps. In discover step, we perform observation and desk research. Next, in define step, affinity diagram, user persona, and user journey map are performed. We then make service blueprint in develop step. Finally, in deliver step, virtual scenario and confirm some outputs which are based on results of former steps are suggested.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 waiting and consulting phases turn out that these phases are in the most trouble than others. Users(patients) have lots of complain and dissatisfaction in these phases. These touch-points will have to be modified Practical Implication: After checking this study result, it could suggest improvement schemes. To apply these, we try to make some scenarios, and finally realize some outputs. Service design has arise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by reflecting user's experience and needs. Especially, service design is not typical, it is so flexible that can apply to various situation and objects. We hope that result of this study is made good use for dental clinics in need.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Qualitative research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W education)

  • 이정민;김소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9-53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소프트웨어를 원활히 운용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갖추는 것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개정 2015 교육과정으로 공교육에 체계적인 SW교육을 도입하여 필수화하였고,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교과에서 SW교육이 내년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SW교육이 학교현장에 체계적으로 안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지도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정부는 '2018년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이 추진되더라도 현장에서 교수 학습방법 개선 등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뒤늦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의 변화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변화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경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학습사례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K-콘텐츠 발전 전략 연구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를 중심으로- (Study of Korean-Content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Netflix and Watcha Play-)

  • 문다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99-40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외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OTT,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그 중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현황에 관해 연구하여 K-콘텐츠 동영상 서비스를 통한 한국 엔터테인먼트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1차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와 국외의 OTT서비스의 특징 및 한국 콘텐츠 제공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차로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 이용자 8명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 경험과 한국엔터테인먼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수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략에 관한 두 가지 포인트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첫째, 단독화 채널 전략. 둘째, 콘텐츠의 다양화와 개인화 전략. 이 연구는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를 통해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방향성에 관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개선 방안을 보완하고, 한국 엔터테인먼트 발전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