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Usability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 대상 원격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Children)

  • 정태원;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21-130
    • /
    • 2021
  • 다양한 산업 분야의 서비스 개발 경쟁 심화로 인해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완성도 높은 서비스 제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서비스 완성도와 효용에 대한 검증 방법으로 사용성 평가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일반적 사용성 평가 방법은 획일적인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가 평가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새로운 평가 방법의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참여하는 사용성 평가에서 고려해야 하는 특성을 정의하고, 평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격 사용성 평가 구성 및 진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설계한 사용성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라인의 효용을 검증하고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아동 대상 원격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이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한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설계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s Search Service through Its Usability Evaluation)

  • 이효진;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7-215
    • /
    • 2021
  • 기록관에서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된 사용성이 높은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전문가 평가와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인터페이스 사용성 전문가 평가 중 하나인 휴리스틱 평가 및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정확성 영역에서 심각도가 가장 높았으며 에러대처 영역의 심각도가 가장 낮았다.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에서는 이용자의 배경요인과 도움말 제공여부가 사용성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기록관리학 전공자, 웹/앱 개발자 및 그러한 배경요인이 없는 일반인 등 총 22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사전 설문조사, 5초테스트, 검색과업 수행 순으로 진행하였다. ISO 9241-11:2018의 사용성 구성요소인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웹/앱 개발자의 검색 효과성이 가장 높았고 기록관리학 전공자의 경우 기록정보콘텐츠 검색에서만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에 있어 배경요인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색도구에 익숙해질수록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도움말 제공은 효과성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 이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검색기능의 제공, 도움말 지원의 확대, 일관성 있는 웹 인터페이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교육용 웹사이트의 교사 사용성 분석 사례 연구 - 에듀넷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Teachers' Usability Test on the Using Educational Website)

  • 허균;이규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61-17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web service by using of usability test.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performed with three teachers. They solved three problems, which were linked to the usability of educational web site, with think-aloud. All their actions in the screen and their verbalizations were recorded as computer files. Recod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task-performance time analysis, behavior code analysis, and problem behavior graph analysi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five improv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EDUNET which is an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a national teaching & learning center.

SOA기반 시스템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a of a systems based on SOA)

  • 승지초;권영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9-70
    • /
    • 2012
  • 본 논문은 SOA기반 시스템에 대해 품질 평가를 하기 위한 품질평가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ISO/IEC 9126을 참조해서 품질 평가 대상이 되는 5개의 품질 속성 즉,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에 대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는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및 "유지보수성"에 대해서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이들 5개의 품질속성을 종합한 SOA기반 시스템에 대해서도 61.45%로 만족하였다.

전자정부의 Self Service Technology(SST)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E-government Self Service Technology (SST))

  • 유원상;김성호;조성빈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9-560
    • /
    • 2010
  • The role and use of self-service technology (SST) becomes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the e-government service area. Users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of SST in their everyday life and this evaluation works as a guideline of how SST should evolve for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SST according to its purpose and interface, and then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process, we introduced the thre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 usability, information, and empath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three service quality dimensions have positi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empathy is significant, that between usability and empathy i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스틱형 OTT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Streaming Stick Usability Comparison Test)

  • 이혜진;정동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29-141
    • /
    • 2015
  • This study evaluates user experience of streaming stick service through usability testing. Streaming stick services such as Roku, Chromecast, and Everoncast were tested in ten levels belonging to five usability variables that are composed of efficiency of use, accuracy, meaningfulness, flexibility, and consistency. Each variable has two levels respectively that are responsiveness, minimal action, error prevention, error detection, error recovery, understandability, learnability, substitutivity, predictability, and familiarity in order. Twenty five participants volunteerly joined this research, and the results showed that Roku is superior to another two OTTs in most levels and variables. It implies that participants prefer to remote control, many channels, and personalized service during experiencing the service.

노인 대상 맞춤형 운동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of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nd Evaluation of Usability)

  • 송요한;박일현;곽선영;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1-160
    • /
    • 2022
  • PURPOS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kiosk-based healthcare service that provides a fitness evaluation and customized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or chronic musculoskeletal system patients. METHOD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healthy adults (n=20) from Welfare B,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nd studied. Subjective safety, oper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 users were obtained as data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ubjects who experienced this program and having them fill out the questionnai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at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ratio of the variable values of the measurement ite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was 4.166, and the average score of each item was 4.025 for safety, 4.272 for operability, and 4.143 for satisfaction. Most users obtained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impressions. CONCLUSION: The HARUFIT service, a user-customized exercis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into a device that can improve self-management ability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by providing customized exercise based on the results of physical fitness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diversify health management methods and maximize the effect of exercise by making exercise a habit of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or the elderly using these smart devices.

박물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평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museum smart phone applications in pre-visit setting)

  • 이보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9-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관람 전 사용자 평가를 통해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고,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빌바오 구겐하임과 미국자연사박물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정보서비스와 기능적 특성에 대한 만족도, 관람 동기와 관람시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해 반응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될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직관적으로 설계 및 디자인되고, 감성적 인터페이스를 지향할 때 사용성이 상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성과 기능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간섭적 특성과 개인화적 특성이 다른 기능적 특성에 비해 좀 더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은 모바일 해석 매체의 사용성은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나 기술적 적용보다는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과 사용자의 관심과 욕구가 반영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좌우 된다는 것이다.

스마트TV의 사용성 측정방법 (Method for Measuring Usability of Smart Television)

  • 변대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1-39
    • /
    • 2013
  • 스마트TV는 컴퓨팅 능력, 방송 및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상호작용을 높인 텔레비전이다. 사용성은 스마트TV의 평가요소로 그 중요성이 있다. 사용성 관점에서 스마트TV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한 측정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TV의 사용성 측정을 위한 AHP(계층적분석과정) 모델과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선행연구로부터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한 후 사용성 점수를 계산하는 수치적 예제를 보인다.

모바일 외식 플랫폼서비스특성이 사용용이성과 유용성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bile Foodservice Platform Service Characteristics on Ease of Use, Usefulness and Reuse Intention)

  • 전장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31-37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외식플랫폼서비스 특성에 대한 하위차원을 파악하고 사용용이성, 유용성 및 재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11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이며, 연구자가 외식업체를 방문하여 직접 면담을 통하여 설문내용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외식플랫폼서비스의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은 사용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황인식성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재접속성, 상황인식성, 상호작용성은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재접속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인식성, 상호작용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용용이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용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