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Parameter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dietary octacosanol concentration extracted from triticale sprout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laying hens

  • Chun Ik, Lim;Kyeong Seon, Ry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863-87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OCT) extracted from triticale sprout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laying hens. A total of 192, Hyline brown laying hens aged 43 weeks were divided into 4 dietary groups of 48 birds each and they were randomly subject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OCT at the levels of none, 10, 20, and 30 mg/kg of diet. All birds were fed with isoenergetic and isonitrogenous mash diets for 6 weeks. The result showed that hens supplemented with 20 and 30 mg/kg OCT in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egg production than those fed with the basal diet. OCT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of hens fed with 20 and 30 mg/kg O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ose fed the control diet. Hens fed 20 and 30 mg/kg OCT exhibited greater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interleukin (IL) concentrations and reduced serum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ared to those fed with 0 and 10 mg/kg OCT. This study indicates that supplementing the diet of laying hens with 20 and 30 mg/kg of OC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health status of laying hens.

Mice를 이용한 혈액 및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Nitrogen Dioxide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Nitrogen Dioxide for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 in Mice)

  • 정성욱;한용수;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5-6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NO_2$의 반복적으로 폭로($0.025mg/m^3$, 8h/day /4 weeks)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서의 혈액학 및 생화학적 요인들의 변화와 상관성을 평가하였 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NO_2$의 흡입 폭로로 인한 혈액학적 요인의 변화는 백혈구의 경우 동물실험에서의 폭로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ematocrit의 경우 폭로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hemoglobin과 hematocrit는 전혈 중에서 적혈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3가지 종류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methemoglobin의 경우 동물실험에서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생화학적 요인에 대한 $NO_2$의 영향은 동물실험에서 total protein과 triglyceride이 동물 실험에서의 폭로군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albumin이 폭로군에서 감소하였고, blood urea nitrogen과 creatinine의 경우 폭로군에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uric acid 및 혈청 중 lactate dehydrogenase의 경우 폭로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어 $NO_2$의 폭로에 의해 호흡기 조직세포 내 이상을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내오염물질 중 산화가스의 하나인 $NO_2$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저농도에서의 폭로연구가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에 경구투여된 nalidixic acid 및 piromidic acid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pharmacokinetics of nalidixic acid and piromidic acid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서정수;지보영;김진우;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11
  • Nalidixic acid(NA), piromidic acid(PA)를 사육수온 ($13{\pm}1.5^{\circ}C$, $23{\pm}1.5^{\circ}C$)에 따라서 조피볼락(평균체중 $500{\pm}30\;g$)에 60 mg/kg의 농도로 1회 경구투여한 다음, 시간경과에 따라 혈청 내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24시간째($5.87\;{\mu}g/ml$), PA도 24시간째($0.43\;{\mu}g/m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1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10시간 째($6.22\;{\mu}g/ml$), PA도 10시간째($1.57\;{\mu}g/m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PA의 조피볼락 혈중 내 흡수정도는 $23{\pm}1.5^{\circ}C$보다 $13{\pm}1.5^{\circ}C$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NA는 수온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NA 및 PA의 조피볼락 혈중 내 소실정도는 $13{\pm}1.5^{\circ}C$ 보다 $23{\pm}1.5^{\circ}C$에서 두드러지게 빨랐다. NA 및 PA는 one-compartment model로 해석(WinNonlin program)하여 약물동태학적 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3{\pm}1.5^{\circ}C$의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NA, PA가 각각 161.25 및 $41.57\;{\mu}g{\cdot}h/ml$, 반감기($T_{1/2}$)는 0.15 h 및 0.58 h, 혈중최고농도의 도달 시간($T_{max}$)은 12.29 및 8.24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3.85 및 $0.21\;{\mu}g/ml$로 계산되었다. $13{\pm}1.5^{\circ}C$의 경우, AUC는 NA, PA가 각각 134.42 및 $40.36\;{\mu}g{\cdot}h/ml$, $T_{1/2}$은 0.18 h 및 0.59 h, $T_{max}$는 10.67 및 21.15 h, $C_{max}$는 8.91 및 $3.09\;{\mu}g/ml$로 계산되었다.

Pyrazinamide의 신배설기전에 관한 약동학적 연구 (Pharmacokinetic Study of Pyrazinamide Related to the Mechanism of the Renal Excretion)

  • 최응상;신상구;이선희;최철희;김용식;임정규;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87
  • 가토에서 체중 kg당 40mg 용량을 15분간 단기 주입 또는 일정 혈중농도 유지를 위한 지속 주입 방법으로 pyrazinamide를 투여 후 혈청농도 및 뇨중 배설량을 축정하여 이의 신장 배설 기전을 약동학적으로 분석하고 분포기 이후의 조직농도 측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토에서 pyrazinamide의 약동학적 분석을 compartmental model에 적용시 분포기의 반감기는 $2.38{\pm}0.57$시간이었으며 Vc(central compartment의 용적)는 체중 kg당 $349.96{\pm}70.99m{\ell}$이었고 총 분포 용적 $(V_{dss})$$907.00{\pm}255.61m{\ell}$이었다. 2. Non-compartmental model parameter는 총 분포 용적$(V_{dss})$은 체중kg당 $953.34{\pm}362.02m{\ell}$이었으며 평균 체내 잔류 시간$(MRT_{iv})$$3.30{\pm}0.84$시간이었고 신 청소율은 112.26ml/kg 로 총 청소율의 39.5%에 해당하였다. 3. pyrazinamide의 혈청 단백 결합율은 $5{\sim}100{\mu}g/m{\ell}$의 범위에서 12.50-1.80%의 결합율을 보였다. 4. pyrazinamide의 분포기 이후 조직/혈청 농도비는 약물 투여 방법에 따라 지속 정맥주입에 따른 steady-state 유지시 15분 정주 방법시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steady-state 상태의 조직 분포율은 신장에서 가장 높았고$(1.68{\pm}0.53)$, 근육에서 가장 낮은 값$(1.10{\pm}0.46)$을 보였다. 5. 가토에서의 pyrazinamide의 신장 청소율은 혈청 농도 변화에 비직선적인(non-linear) 관계를 보였다. 6. pyrazinamide의 신장 현성 운반량(apparent transport)은 혈청 Pyrazinamide농도 $10{\mu}g/m{\ell}$까지는 양성 균형을 보였으나 이후 혈청 농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음성균형을 보였다. 7. pyrazinamide의 신장을 통한 분비율(excretion ratio, ER)은 혈청농도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60{\mu}g/m{\ell}$의 농도에서 약 0.3의 ER치를 보여 70% 이상의 재흡수율을 나타냈다. 8. 혈청 pyrazinamide농도를 일정히 유지하고 뇨량 변화시 pyrazinamide의 신장 청소율은 뇨량 증가에 의존적인 상승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pyrazinamide의 신장 배설은 사구체 여과와 더불어 세뇨관 분비 기전이 존재하고 비교적 빠른 확산속도를 보이는 세뇨관 재흡수 기전에 의해 신장 배설이 조절됨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폐결핵의 진행정도 및 치료에 따른 혈청내 Tumor Necrosis Factor-Alpha, Gamma-Interferon 및 Soluble-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의 변화 (The Changes of Serum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Gamma-Interferon and Soluble-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Relating to the Progression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김명훈;안중현;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167-1177
    • /
    • 1998
  • 연구배경 : 결핵은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포면역반응에 의해 육아종이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Th1 세포가 생성하는 gamma-Interferon (INF-$\gamma$), 내피 세포가 표현하는 intercelluar adhesion molecule-1 (ICAM-1)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방 법 : 저자들은 결핵의 경중(輕重)과 이러한 물질들이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TNF-$\alpha$, INF-$\gamma$를 radioimmuno assay(RIA)로, ICAM-1이 혈액으로 유리된 형태인 sICAM-1을 enzyme linked immunosolvent assay(ELISA)로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화학 요법에 따른 변화를 알기 위해 치료 시작후 6개월 시점에서 다시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TNF-$\alpha$, INF-$\gamma$, sICAM-1은 중등증과 중증의 결핵에서는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 경증에서는 의의가 없었다. 6개월간의 항결핵 치료후, sICAM-1은 임상경과에 동반하여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지만. TNF-$\alpha$, INF-$\gamma$에서는 감소는 있었지만 의의는 없었다. 결 론 : 본 실험 결과 결핵의 세포 면역 매개과정에는 TNF-$\alpha$와 INF-$\gamma$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반응 정도가 질병의 병기에 따라 심할수록 많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ICAM-1은 TNF-$\alpha$와 INF-$\gamma$ 농도와 비례하여 sICAM-1이 증가하였고, 질병의 병기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있을뿐 아니라, 치료경과에 비례하여 농도변화를 보여, 질병의 할동성을 나타내는 것 외에 치료 경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로서의 가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중년여성에 대한 영양교육 및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혈청지질 농도 및 휴식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d Resting Metabolic Rate by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Middle Aged Women)

  • 이정숙;박지선;이가희;고영숙;김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1호
    • /
    • pp.64-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biochemical index level, resting metabolic rate and daily activities by the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ed program in overweight middle aged women. The workout program of 12 subjects constituted by exercise(aerobic exercise & resistance train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for 10 weeks. As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the weight(59.0$\pm$8.9 vs 57.2$\pm$8.3kg, p<0.05), body fat percentage(33.4$\pm$4.3 vs 30.5$\pm$4.5%, p<0.05) and body fat mass(19.8$\pm$5.4 vs 17.7$\pm$4.9kg, p<0.05) after program. Fat free mass and RMR which tend to be higher after than before program were found not to be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serum HDL-cholesterol(54.3$\pm$8.1 vs 59.7$\pm$13.9mg/dl, p<0.05) and TG level(65.2$\pm$418 vs 89.4$\pm$65.6mg/dl, p<0.05) of the subjects increased at the end of the study significantl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total-cholesterol and TG before program. When the other laboratory parameter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program, hematocrit(35.1$\pm$3.3 vs 39.7$\pm$3.3%, p<0.001), platelet(225.9$\pm$49.6 vs 244.3$\pm$49.7cell/ul, p<0.05) and fasting glucose(88.0$\pm$6.5 vs 76.6$\pm$9.7mg/dl, p<0.001) increased significantly but hemoglobin(13.3$\pm$1.3 vs 12.9$\pm$1.3mg/dl, p<0.01) decreased. And in activities analysis, 'moderate activity(18.8 vs 5.8minutes, p<0.05)' clearl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ut 'severe activity(17.7 vs 11.4minutes, p<0.05)' showed a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health-promoted program involved exercise and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public health center are effective to reduce body fat and to improve resting metabolic rate(RM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more effective public health program for the middle aged women in community.

  • PDF

Inhibitory effects of Cortex Mori on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ctic Shock and Cutaneous Reaction

  • Jun, Byoung-Deuk;Chai, Ok-Hee;Park, Myoung-Hee-;Lee, Hern-Ku-;Lee, Moo-Sam-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43-243
    • /
    • 1994
  • Although active systemic anaphylaxi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have been empolyed to study anaphylactic hypersensitivity, it is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induce these reactions in experimental animals. In recent, Jun et al have found a simple method to induced anaphylactic hypersensitivity such as anaphylactic shock(AS) and cutaneous reaction(CR) using compound48/80. Cortex mori (Morus alba L.), the root bark of mulberry tree has been used as an antiphlogist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herb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methanol extract of Cortex mori could inhibit the compound 48/80-induced AS and CR. To induce AS, various doses of compound 48/80 (5, 7.5, 10, 15$\mu\textrm{g}$/gm B.W.)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into ICR mice. The animals were pretreated by three injection(i.p.) of Cortex mori before compound 48/80 administration. Periphera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right ventricle to estimate the level of serum histamine at 15 minutes after the injctin(i.p.) of various concentration of compound48/80. Mortility rate, mean death time an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were evaluated over a 72 hour period. To estimate the effect of Cortex mori on compound 48/80-induced cutaneous reaction, various doses of compound 48/80 with or without Cortex mori were injected intradermally(i.d.) into the shaved flank of Sprague-Dawley rats, and the blue cutaneous patchs induced by Evans'blue injection at the compound 48/80 alone and Cortex mori plus compound 48/80 injection sites were observed. As a Parameter of these reactions, the levels of histamine in the supernatant, calcium uptake and intracellular CAMP of RPMC were measured. supernatant, 1)compound 48/80-induced mortility rate, mean death time,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and serum histamine level in ICR mic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Cortex mori, 2) cutaneous reaction inducd by compound48/80 was well developed in Sprague-Dawley rat, but Cortex mori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blue patch formation remarkably, 3) the compound 48/80-induced degranulation, histamine release and calcium uptake of RPMC pretreated with Cortex mori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ithout Cortex mori pretreatment, and 4)the level of cAMP of RPMC was reduced by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compound 48/80, pretreatment of Cortex mori not only inhibited the compound 48/80-induced reduction of CAMP bu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cAMP natural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ortex mori has an some substances with an ability to inhibits the compound 48/80-induced AS,CR, and mast cell activation.

  • PDF

난소절제 흰쥐의 임상화학지수매 미치는 홍삼조사포닌의 영향 (Effect of Crude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of Ovariectomized Rat)

  • 곽이성;위재준;황석연;경종수;남기열;김시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46-50
    • /
    • 2000
  • 본 연구는 갱년기 장애에 대한 홍삼의 효과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홍삼의 효과는 자성 흰쥐의 난소를 인위적으로 절제하여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후 홍삼조사포닌을 3 개월동안 복강으로 투여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혈소판수는 난소절제 유무에 관계없이 사포닌 투여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난소절제군의 혈중중성지질함량은 99.9 mg/㎗로서 정상대조군의 152.1 mg/㎗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나 (34%) 홍삼조사포닌을 투여하면 그 함량이 138.0 mg/㎗으로 그 함량감소를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무게는 난소절제군/비절제군, 사포닌투여군/비투여군 간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장(spleen)의경우 사포닌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무게증가가 관찰되었다. 흰쥐에 있어 대퇴골의 무게는 건조 전·후 각각 1.57 및 1.l0g이었고 난소절제군의 경우 1.40및 1.02g으로 난소절제에 의해 약 8∼1l%의 무게감소가 관찰되었다. 난소를 절제하고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OS)의 대퇴골 무게는 건조 전·후 각각 1.63및 1.11g으로 모두 정상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회복되어 홍삼조사포닌 투여는 난소절제로 야기되는 대퇴골의 무게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p<0.05, p<0.01).

  • PDF

동충하초 (Cordyceps sinensis)추출물을 첨가한 발효김치의 급여가 생쥐의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mchi containing Cordyceps sinensis extract on the Immine Function of Balb/c mice)

  • 안택원;임석인;왕수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6-167
    • /
    • 2002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f Cordyceps sinensis extract (CDSE) supplementation on cytokine-induction and immune response in mice. To study in experiments using male Balb/c mice fed Kimchi and Kimchi of CDSE supplementation (addition of 2% of total Kimchi weight) containing fed experimental diet during 2 weeks. Experimental mice were fed control diet or diet containing freeze-dried Kimchi at the level of 5%(w/w) or 5% freeze-dried Kimchi with 2% CDSE supplementation. The main ingredient of Kimchi was Korean cabbage and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4^{\circ}C$ for three weeks. Freeze-dried 2% CDSE supplementation was added to Kimchi at the beginning of fennen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f CDSE supplementation (5%Kimchi-2%CDSE), the following was performed; body weight, food intake, hematological parameter, serum level of mouse interleukin-4 (mIL-4) and mouse $interferon-{\gamma}$ $(mIFN-{\gamma})$, and, the percentage of CD3+/CD4+, CD3+/CD8+, B220+ in splenic cells. The results of final body weight, and food diet intake of two Kimchi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not supplemented experimental diet). The hematology change obtained from the level of WBC (white blood cell) and platelet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different dietary regiments, but the level of RBC (red blood cells) HB (hemoglobin), and spleen weight of two Kimchi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erum level of IL-4 and $IFN-{\gamma}$ of two Kimchi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enhanced the percentages of the CD3+/CD4+ and CD3+/CD8+ by 5% freeze-dried Kimchi, and 5%Kimchi-2%CDSE group were 43.9 and 60.1%, and 96.0 and 174%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Kimchi itself has an immuno-stimulatory effect and Kimchi contaning 2% CDSE supplementation has the more pronounced effect in vivo system.

  • PDF

사료 내 목초액의 첨가가 토종닭의 생산성, 혈액성상,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및 가슴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 Ammonia Gas Emiss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Korean Native Chicken)

  • 심관섭;지중룡;나종삼;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7-213
    • /
    • 2010
  • 본 시험은 목초액이 토종닭 한협 3호의 생산성, 유해 가스 발생량, 혈액 성상 그리고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종닭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70일 동안 급여하였다. 목초액은 0, 0.1, 0.2%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씩 총 240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목초액은 생산성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혈중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농도에 있어서는 목초액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p<0.05). 가슴육의 포화지방산인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목초액을 급여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목초액은 유해 가스 저감 효과가 있으며, 토종닭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개선시키고, 가슴육의 포화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고 단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