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otonin 2A receptor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3초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신경펩타이드 연구 - Endorphin과 cholecystokinin을 중심으로 - (Neuropeptides in Clinical Psychiatric Research : Endorphins and Cholecystokinins)

  • 김영훈;심주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4-45
    • /
    • 1998
  •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과 신경펩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합성과정에 있다. 시냅스에서의 활동과 비활성화 과정에서도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매우 단시간 내에 일어나며, 대개는 재흡수기전을 통해 활동이 정지되고, 일부가 효소반응에 의해 비활성물질로 대사된다. 또한 이들은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들과 마찬가지로 presynaptic peptidergic receptor를 갖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신경펩타이드 분비를 조절하는 자가수용체도 갖고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시냅스전 세포로의 재흡수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펩타이드들도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로 확산되어 이차전령, 삼차전령을 통해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단가아민 신경전달 물질과 동일하다. 본래 신경세포는 자극에 의해 glycoproteins, enzymes, inorganic ions, metal ions, phospholipids, purines, amines, peptides 등의 물질들을 함께 분비한다. 이들 중에는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있으나, 대다수는 기능이 없다. 때로는 수 종류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신경신경펩타이드들이 한가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관여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현재 임상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두가지 신경펩타이드들에 대해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알코올의 신경생리에 있어 가장 흥미있는 것은 아마 강화기전일 것이다. 내인성 opioid계 물질들이 알코올의 강화효과와 관계가 있다는 근거들은 많다. Naltrexone은 수용체 차단을 통해 이러한 강화기전을 차단함으로서 음주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Opioid reinforcement는 변연계의 도파민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알코올의 강화에 도파민이 관여한다는 사실과도 관계된다. 이를 도파민-알코올 강화 가설이라 한다. 기타 세로토닌도 알코올의 강화를 중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5-HT_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면 음주욕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계간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다. 알코올이 측중격핵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전에도 여러 신경전달계의 상호작용이 관여된다. 이의 기전에 생리적 수준에서 관여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1) opiates, (2) serotonin, (3) amino acids, (4) 기타 neuropeptide들을 들 수 있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들은 측중격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차단하고, $5-HT_3$ 수용체 효현제는 이를 자극한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종합하면, 도파민, 세로토닌, opiate 수용체들을 조절하면 알콜리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CCK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고 있으며, 진통 및 morphine에 대한 내성형성, 포만, 기억 등의 정신병리에 일부 관여하나, 역시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CCK계가 불안의 병리에 관여한다는 소견이다. 이 분야의 연구에 기폭제가 된 것은 CCK-4가 공황발작을 유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의한 불안반응은 자연유발된 공황발작과 거의 같으며, 정상인과 공황장애 환자를 구별하는 민감도를 갖고 있다. 이 CCK-4에 의해 유발된 공황발작은 $CCK_B$ 길항제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황불안의 기전에 $CCK_B$ 수용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CCK_B$ 수용체의 민감도 결함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imipramine과 benzodiazepine계 약물들에 의해 차단됨이 알려져 있다. 이 공황 불안의 형성 기전에 다른 신경전달계와의 상호작용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benzodiazepine계와의 상호작용 및 5-HT계와의 상호작용을 거론하였다. 향후 CCK 길항제들이 항불안제로 개발될 전망이다. 이들은 내성형성, 금단증상, 진정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새로운 항불안제로 기대된다.

  • PDF

인삼사포닌의 저밀도지질단백질(LDL)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LDL Receptor Biosynthesis)

  • 주충노;이희봉;이용우;강인철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54
    • /
    • 1988
  • 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레스테롤은 고등생명체의 성장 및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동맥경화증을 유발하여 매우 치명적이다. 본 연구는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뿌리의 주요성분의 하나인 사포닌류의 고콜레스테롤 혈중 억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인삼사포닌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투여한 토끼나 쥐에 $^{125}I-LDL$을 주입한 후 혈액으로부터 $^{125}I-LDL$의 제거속도를 추적한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보다 인삼사포닌을 함께 투여한 시험군이 $^{125}I-LDL$의 제거속도가 훨씬 빨랐다. 고콜레스테롤식이를 투여한 쥐의 LDL수용체 생합성에 미치는 ginsenoside 혼합물과 정제된 ginsenoside $Rb_{1},\;Rb_{2},\;Re,\;Rg_{1}$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쥐 간의 LDL 수용체 수준을 분석한 결과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다른 장기(신장, 정소, 부신피질)의 경우에도 간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간파쇄액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부터의 담즙산 합성에 미치는 ginsenoside의 영향을 시험관내에서 관찰한 결과 반응 혼합물에서의 ginsenoside의 농도가 $(10^{-3}-10^{-4}\%)$일 때 담즙산합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ginsenoside는 세포 내부에서의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하여 세포내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의 LDL 수용체 합성 억제를 완화시켜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성분들은 cyclooxygenase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Panaxadiol (500 ${\mu}g/ml$$PGE_{2}$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PGF_{2}{\alpha}$생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농도의존적으로 $TxB_{2}$의 생성을 감소시켰고 6-keto-$PGF_{1}{\alpha}$의 생성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T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

  • PDF

심혈관질환약물과 향정신성약물의 약물상호작용 (Drug Interactions between Cardiovascular Agents and Psychotropic Drugs)

  • 박주언;정경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2호
    • /
    • pp.57-65
    • /
    • 2011
  • 많은 심혈관질환약물과 향정신성약물 간에 다양한 약물상호작용이 존재하며 이러한 약물들의 대부분이 시트크롬(cytochrome, CYP)450 효소의 기질, 억제제, 유도제로 작용하면서 약물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주로 CYP2D6와 CYP3A4를 억제하는 향정신성약물로 인해 같이 투여되는 심혈관질환약물의 효과가 변할 수 있고 부작용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고 반대의 경우도 포함하여 흔히 처방되는 두 종류의 약물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 심혈관질환약물 분류에 따라 논하였다. 대부분의 베타차단제는 CYP2D6의 대사에 의존하므로 이 대사를 억제하는 bupropion, chlorpromazine, haloperidol, SSRIs, quinidine 등을 사용했을 때 베타차단제의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앤지오텐신 관련 약물과 이뇨제가 lithium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칼슘통로차단제 및 콜레스테롤강하제를 CYP3A4의 강력한 억제제인 amiodarone, diltiazem, fluvoxamine, nefazodone, verapamil 등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약물 상호작용에 따른 부작용에 유의하여야 한다. 항부정맥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QT 간격 증가를 야기하는 약물이나 관련 CYP450 효소를 억제하는 약물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은 삼가거나 적극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Digoxin과 warfarin이 병용 투여되는 향정신성약물로 인해 혈중 농도가 변하는 것도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 PDF

Regulation of $Ba^{2+}$-Induced Contraction of Murine Ureteral Smooth Muscle

  • Kim, Young-Chul;Lee, Moo-Yeol;Kim, Wun-Jae;Myung, Soon-Chul;Choi, Woong;Kim, Chan-Hyung;Xu, Wen-Xie;Kim, Seung-Ryul;Lee, Sa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5호
    • /
    • pp.207-213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ureteral smooth muscle motility and also to study the effect of forskolin(FSK) and isoproterenol(ISO) on smooth muscle contractility in murine ureter. High $K^+$(50 mM) produced tonic contraction by $0.17{\pm}0.06mN$(n=19). Neuropeptide and neurotransmitters such as serotonin($5{\mu}M$), histamine($20{\mu}M$), and carbarchol(CCh, $10{\sim}50{\mu}M$) did not produce significant contraction. However, CCh($50{\mu}M$) produced slow phasic contraction in the presence of 25 mM $K^+$. Cyclopiazonic acid(CPA, $10{\mu}M$), SR $Ca^{2+}$-ATPase blocker, produced tonic contraction(0.07 mN). Meanwhile, inhibition of mitochondria by protonophore carbnyl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CCCP) also produced weak tonic contraction(0.01 mN). The possible involvement of $K^+$ channels was also pursued. Tetraethyl ammonium chloride(TEA, 10 mM), glibenclamide($10{\mu}M$) and quinidine($20{\mu}M$) which are known to block $Ca^{2+}$-activated $K^+$ channels($K_{Ca}$ channel), ATP-sensitive $K^+$ channels($K_{ATP}$) and nonselective $K^+$ channel, respectively, did not elicit any significant effect. However, $Ba^{2+}$($1{\sim}2mM$), blocker of inward rectifier $K^+$ channels($K_{IR}$ channel), produced phasic contraction in a reversible manner, which was blocked by $1{\mu}M$ nicardipine, a blocker of dehydropyridine-sensitive voltage-dependent L-type $Ca^{2+}$ channels($VDCC_L$) in smooth muscle membrane. This $Ba^{2+}$-induced phasic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10{\mu}M$ cyclopiazonic acid(CPA) in the frequency and amplitude. Finally, regulation of $Ba^{2+}$-induced contraction was studied by FSK and ISO which are known as adenylyl cyclase activator and $\beta$-adrenergic receptor agonist, respectively. These drug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Ba^{2+}$-induced contraction(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2+}$ produces phasic contraction in murine ureteral smooth muscle which can be regulated by FSK and $\beta$-adrenergic stimulation.

Effect of serotonin on the cell viability of the bovine mammary alveolar cell-T (MAC-T) cell line

  • Xusheng, Dong;Chen, Liu;Jialin, Miao;Xueyan, Lin;Yun, Wang;Zhonghua, Wang;Qiuling, Ho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922-936
    • /
    • 2022
  • 5-Hydroxytryptamine (5-HT), a monoamine, as a local regulator in the mammary gland is a chemical signal produced by the mammary epithelium cell. In cows, studies have shown that 5-HT is associated with epithelial cell apoptosis during the degenerative phase of the mammary gland. However, studies in other tissues have shown that 5-HT can effectively promote cell viability. Whether 5-HT could have an effect on mammary cell viability in dairy cows is still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1) effect of 5-HT on the viability of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and its related signaling pathways, (2) interaction between prolactin (PRL) and 5-HT on the cell viability. The bovine mammary alveolar cell-T (MAC-T) were cultu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HT for 12, 24, 48 or 72 hours, and then were assayed using cell counting kit-8,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immunoblot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20 μM 5-HT treatment for 12 or 24 h promote cell viability, which was mainly induced by the activation of 5-HT receptor (5-HTR) 1B and 4, because the increase caused by 5-HT vanished when 5-HTR 1B and 4 was blocked by SB224289 and SB204070. And protein expression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eukaryotic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2 (eEF2), janus kinase 2 (JAK2)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5 (STAT5) were decreased after blocking 5-HT 1B and 4 receptors. When MAC-T cells were treated with 5-HT and PRL simultaneously for 24 h, both the cell viability and the level of mTOR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cultured with 5-HT or PRL alone.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5-HT promotes the viability of MAC-T cells by 5-HTR 1B and/or 4. Furthermore, there is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RL and 5-HT.

방광(膀胱)과 위중(委中)의 중추신경로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Neural Pathways to the Urinary Bladder and Wijung($BL_{40}$))

  • 이창현;김호;이광규;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05-817
    • /
    • 200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ntral localization of neurons projecting to the urinary bladder and urinary bladder-related acupoints(Wijung, $BL_{40}$) and neurons of immunoreactive to hormones and hormone receptors regulating urinary bladder function by using peudorabies virus(PRV). In this experiment, Bartha's strain of pseudorabies virus was used in rats to trace central localization of urinary bladder-related neurons and urinary bladder-related acupoints($BL_{40}$) which can regulate urinary system. PRV was injected into the urinary bladder and acupoints($BL_{40}$) related urinary system. After six days survival of rats, mainly common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urinary bladder and urinary bladder-related acupoints were identified in spinal cord, medulla, pons and diencephalon by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First-order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urinary bladder and urinary bladder-related acupoints were found in the cervical,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cord. Commonly labeled preganglionic neurons were labeled in the lumbosacral spinal cord and thoracic spinal cord. They were found in the lateral horn area(sacral parasympathetic nucleus and intermediolateral nucleus), lamina V-X, intermediomedial nucleus and dorsal column area. The area of sensory neurons projecting to urinary bladder and Wijung($BL_{40}$) was L5-S2 spinal ganglia and T12-L1 spinal ganglia, respectively. In the brainstem, the neurons were labeled most evidently and consistently in the nucleus of tractus solitarius, area postrema,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reticular nucleus, raphe nuclei(obscurus, magnus and pallidus), C3 adrenalin cells, parapyramidal area(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locus coeruleus, subcoeruleus nucleus, A5 cell group, Barrington's nucleus and periaqueductal gray matter. In the diencephalon, PRV labeled neurons were marked mostly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and a few ones were in the lateral hypothalamic nucleus, posterior hypothalamic nucleus, ventromedial hypothalamic nucleus, arcuate nucleus, median eminence, perifornical nucleus, periventricular nucleus and suprachiasmatic nucleus. In cerebral cortex, PRV labeled neurons were marked mostly in the frontal cortex, 1,2 area, hind limb area, agranular insular cortex. Immunoreactive neurons to Corticotropin releasiing factor(CRF), Corticotropin releasiing factor-receptor(CRF-R), c-fos and serotonin were a part of labeled areas among the virus-labeled neurons of urinary bladder and Wijung($BL_{40}$). The commonly labeled areas were nucleus tractus solitarius, area postrema, reticular nucleus, raphe nuclei(obscurus, magnus and pallidus), locus coeruleus, A5 cell group, Barrington,s nucleus, arcuate nucleus, paraventricular nucleus, frontal cortex 1, 2 area, hind limb, and perirhinal(agranular insular) cort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lapped CNS locations are related with autonomic nuclei which regulate the functions of urinary bladder-relate organs and it was revealed by tracing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urinary bladder and urinary bladder-related acupoints. These commonly labeled areas often overlap with the neurons connected with hormones and hormone receptors related to urination.

흰쥐의 혈압 및 심박동수 조절에 대하여 Nucleus Tractus Solitarius 부위의 Serotonin성 기전의 역할 (Involvement of Serotonergic Mechanism in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for the Regulation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of Rats)

  • 이용규;홍기환;윤재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
    • /
    • 1989
  • 혈압 및 심박동수 조절에 대한 serotonin성 기전의 역할을 흰쥐 뇌의 NTS에서 검토하고 catecholamine성 기전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HT를 NTS에 주사시 혈압 및 심박동수는 감소되었고, 5-HT 300 pmol을 NTS에 주사하였을 때 가장 현저하게 하강하였다. ${\alpha}-MNE$과 clonidine도 마찬가지로 혈압과 심박동수의 감소를 일으켰다. 5-HT의 효과는 5-HT 수용체 길항제인 ritanserin, methysergide 및 ketanserin의 전처치에 의하여 봉쇄되었다. 2) Reserpine과 6-OHDA를 전처치하였을 때는 5-HT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 감소가 현저하게 약화되었다. 3) 5,7-DHT 전처치 후에는 5-HT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 감소는 증가하였다. 한편 6-OHDA 전처치에 의하여서도 clonidine의 혈압 및 심박동수 감소 현상은 항진하였다. 4) 5,7-DHT와 6-OHDA를 i.c.v.로 전처치하였을 때 phenylephrine과 sodium nitropursside에 의한 압반사 감수성은 현저히 저하하였고, 이들을 NTS로 주사시도 압반사 감수성이 손상되었다. 5) Immunohistochemistry에 의해 NTS에서 catecholamine성 세포체, 신경축색 말단과 serotonin성 신경축색 말단을 관찰하였고, 6-OHDA 주사후에 catecholamine성 신경축색 말단의 varicosity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5,7-DHT처치에 의하여서는 serotonin성 신경축색 말단의 varicosity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NTS에 있는 serotonin성 수용체의 활성에 의하여 (1) 혈압 및 심박동수 감소가 일어나며, (2) 이는 catecholamine성 신경계와 관련되어 야기되며, (3) serotonin과 catecholamine성 수용체는 NTS의 postsynaptic site에 존재하고, (4) serotonin과 catecholamine성 신경세포는 압반사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altrexone과 ondansetron의 병합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dansetron Alone and Combination of Naltrexone and Ondansetron on Alcohol Intake in C57BL/6 Mice)

  • 김현경;김성곤;강철중;박상익;김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6-1581
    • /
    • 2007
  • 알코올 의존의 음주 행동에 VTA에서 NA로 뻗어 있는 도파민 대뇌 보상 경로가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의 토파민 활성도가 $5-HT_3$계 신경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으며,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 (OND)이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음주량을 감소시키고 금주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의 투여 효과와, 이러한 ondansetron 및 비 특이적 아편계 수용체 길항제인 naltrexone (NTX)과의 병합 투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알코올 의존화 된 C57BL/6형 수컷 생쥐를 4군으로 나눈 뒤, 10일간 각 군에 vehicle, OND 0.01 mg/kg 단독, NTX 1.0 mg/kg 단독, 및 OND 0.01 mg/kg과 NTX 1 mg/kg 병합 투여하면서 2시간 알코올의 섭취량,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 군과 나머지 3군의 약물 투여군과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vehicle 투여군과 NTX 단독 투여군간에 유의한 교차가 관찰되었으나 (p=0.042), OND 단독 투여군과 NTX과 OND 병합 투여군은 vehicle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별 2시간 알코올 섭취량에 대하여 NTX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군간 비교시 vehicle 투여군에 비하여 NTX 투여군에서 약물 투여 4일부터 10일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10; 6일 p=0.050; 8일 p=0.017; 10일 p=0.005). 그리고 NTX과 OND 병합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양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이 4일과 10일에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49; 10일 p=0.022). 그러나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군과 나머지 3 군의 약물 투여군과의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교차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OND의 투여 효과는 없었으며, OND과 NTX의 병합 투여시에는 NTX의 알코올의 섭취량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5-HT_3$ 신경계와 도파민 및 아편 신경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익지인(益智仁), 두충(杜沖), 백강잠(白殭蠶) 혼합추출물이 남성갱년기 증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us Amomi Amari, Eucommiae Cortex, Bombyx Batryticatus Extract on Improving Symptoms of Late-onset Hypogonadism)

  • 박선영;안상현;김호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101
    • /
    • 2019
  • In recent times, the number of men with late-onset hypogonadism has increased, and interest on this topic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mixture extract of Fructus amomi Amari, Eucommiae cortex, Bombyx batryticatus on improve late-onset hypogonadism. The experimental subjects consisted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8-week-old male ICR mice that had undergone no treatment, an aging-elicited group (AE group) consisting of 50-week-old ICR male mice that had undergone no treatment, and a Mixed herbal extract treatment group (MT group) consisting of 50-week-old ICR male mice that had undergone the mixture extract of Fructus amomi Amari, Eucommiae cortex, Bombyx batryticatus treatment (0.1 g/kg/day) for 6 months. After the experiment, the mice from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ssected, and they were analyzed through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mixture extract of Fructus amomi Amari, Eucommiae cortex, Bombyx batryticatus reduces aging-induced cell damage and oxidative stress and increases the secretion of serotonin and B-endorphin in aged mice, and promotes spermatogenesis in seminiferous tubules and reduces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and increases androgen receptor, $17{\beta}-HSD$ and GnRH, increases the ratio of smooth muscle to collagen fibers in the corpus cavernosum, increases eNOS, decreases PDE-5 and oxidative stress in aged mice, so it improves depression, reproductive, sexual problems caused by Late-onset hypogonadism. the mixture extract of Fructus amomi Amari, Eucommiae cortex, Bombyx batryticatus inhibits the induction of osteoporosis by increasing decreased bone matrix distribution due to aging,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OPC and OPN, which are produced in osteoblasts, and decreasing RANKL, MMP-3 activity, increasing OPG activity. It also reduces muscle damage,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of muscle tissue, and increases Myo-D in the sartorius muscle of aged mice for improving muscle atrophy caused by by Late-onset hypogonadism.

반복적인 공격적 행동과 혈소판 $^3H$ Imipramine 결합의 상관관계 연구 (REPEATED AGGRESSIVE BEHAVIOR AND PLATELET $^3H$ IMIPRAMINE BINDING)

  • 최진숙;우종인;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93-101
    • /
    • 1994
  • 반복적으로 공격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세로토닌 반응(serotonergic responsivity)이 정상인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나이를 대조하여 공격성군(소년원 재소자 16명)과 대조군(의과대학생 17명)으로 구분한 연구대상에게, 여러 심리검사 척도를 이용하여 공격성의 심한 정도를 정의하고, 두뇌의 세로토닌 기능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소판의 이미프라민 결합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공격척도상 신체적 공격성(physical aggression)의 평균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해 충동성(impulsivity), 적대감(hostility), 정신증(psychoticism)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2) 공격성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소판 이미프라민 최대결합부위 밀도(Bmax)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공격성군과 대조군의 혈소판 이미프라민 결합의 결합상수(Kd)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연구대상군을 전체로 하였을 때, 공격성척도(PFAV)와 갈등해결 척도(CTS)의 신체적 공격성의 심한 정도는 혈소판 이미프라민 최대결합부위 밀도(Bmax)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역비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