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i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아동의 음악 인지 : 음악의 동일성·유목화·서열화 인지 비교 (Children's Music Cognition: Comparison of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in Music Tasks)

  • 김금희;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73
    • /
    • 1999
  • This studied investigated children's music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cognitive task performance abilities by age and sex. The subjects were l20 six-, eight-, and ten-year-old schoo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usic cognition tasks and significant age and sex differences within each of the music tasks. Ten-year-ol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mplete their music identification tasks than the younger children and girls were more likely than boys to complete their music identification tasks. Eight- and 10-year-ol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mplete their music classification tasks than the younger group. Piagetian stage theory was demonstrated in children's music classification task performance. There was an age-related in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music seriation tasks. Developmental sequential theory was demonstrated in music seriation performance.

  • PDF

한국아동의 친척명 분류, 서열, 군집 수행의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in Classification, Seriation, and Grouping of Kin Terms in Korean Children)

  • 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3-156
    • /
    • 1988
  • This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al change with reference to continuity theory in the acquisition of concepts of kin relation, task difficulty with reference to cognitive complexity, and interrelationships i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s of kinship concepts with reference to cognitive parallelism. The subjects consisted of 6-, 8-, 10, and 12-year-old randomly selecte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o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chools were located in various residental areas regarded as either middle or lower class. The 81 boys and 80 girls participated in 3 experiments on classification, seriation, and grouping. The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seriation, and grouping tasks was composed of 10 10cm black on white line drawings of the head and upper torso area of persons in kin relationship. The data was analyzed with MANOVA. A significant age effect was found in the 3 quasi- experiment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task difficulty. The biosocial power distribution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acquisition of kin relational concepts; that is,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male-kin than in female-kin task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in performance between the 3 cognitive tasks. These findings support the continuity theory (except for seriation), a model which arranges kin-names in order of cognitive load, the centric status of men in society, and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al parallelism.

  • PDF

취학전(就學前) 아동(兒童)에게 있어서 위상학적(位相學的) 순서(順序) 개념(槪念) 및 유클리드 수평(水平)·수직개념(垂直槪念)의 학습(學習) 과정(過程)과 기하학적(幾何學的) 기초활동(基礎活動)의 효과(效果) (Acquisition of Topological Seriation and Euclidean Horizontal and Vertical Concepts, and the Effectiveness of Basic Geometric Activity)

  • 이기현;한상철
    • 아동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1-66
    • /
    • 1991
  • The purpose of study I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processes and sex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topological seriation and Euclidean horizontal/vertical concepts. The purpose of Study II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sic geometric activity on the acquisition of space concepts. The subjects of Study I were 164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The children were grouped by age in 6 month units. The subjects of Study II were 45 children who showed immature space concep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Scheff{\acute{e}}^{\prime}s$ posthoc test, and paired comparison t-test. On Study I,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age groups in each of the dependent variables. Sex differences were found on all tasks except cued Euclidean tasks. In Study II, basic geometric activity of 3 weeks dura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acquisition of the horizontal/vertical concepts in children whose space concept had been immature.

  • PDF

블록 쌓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0, 1, 2세반 영유아의 논리·수학적 사고 (Infants and Toddlers' Logico-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in a Block Building Activity)

  • 신은수;김현진;이선명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5-94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nd its development by observing a block building activity undertaken by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comprised 73 young children from between the ages of 12- to 41-months-old. The interviewee was individually asked to build "something tall", making use of 20 bl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a regular increase by age is seen in congruence, the vertical use of flat blocks, and innovative ways of using triangular blocks. Second, many types of logico-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such as classification, seriation, spatial relationship and temporal relationship, were shown during the block building activities on the part of the 12- to 41-months-old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한국 여자 수영복 디자인의 변천(I) (A Study on the Korean Women's Swimwear Design(I))

  • 김혜경;조은정;최형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58-56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men's swimwear from 1955 to 1969 in Korea using documentary research sources. Both visual and linguistic elements found in the illustrations and advertisements that appeared in periodicals from 1955 to 1969 were used as primary sources. The primary sources were 아리랑, 여상, 여성계, 여성동아, 여원, 주부생활. The methods of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seriation were combine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primary sources. Seriational analysis of the data were performed by ordering the frequency chronologically for the entire fifteen-year period.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of the swimwear during this period changed consistently in terms of swimwear type, shape of thigh line, textile design and decorative details. The degree of skin exposure was also continuously increased in different body parts.

인공지능발달 토픽 프레임 연구 -계열화(seriation)와 통합화(skeumorph)의 사회구성주의 중심으로- (A Study on AI Evolution Trend based on Topic Frame Modeling)

  • 권상희;차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6-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AI 기술 특허(전체)와 주요 신문에 나타난 AI 보도 프레임을 바탕으로 AI 발달과정 추세를 예측하고 이를 기술·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9년간 출원된 한국과 미국 기술특허 요약문과 국내 주요 신문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뉴스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토픽모델링과 시계열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추가로 네트워크 의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기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opic 모델링 분석결과, AI 기술특허 요약문에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5G(Hot AI 기술)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AI 뉴스보도에서는 산업 적용, 데이터 활용과 시장 적용 등의 순으로 확인되어 AI의 사회문화 보도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시계열회귀분석결과, 상승추세 토픽으로는 사회문화적으로 AI 일상적·문화적 이용과 산업적용 시작이 도출되었다. 하락추세토픽으로는 시스템, 하드웨어 기술 중심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와 회귀관계를 활용한 QAP 분석 결과, AI 기술특허와 뉴스 보도 프레임 간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AI 발달에서 AI 기술특허와 뉴스 보도 프레임이 미디어 담론의 결정요인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넷 뉴스프라임: 인터넷 미디어발달의 장기적인 뉴스보도 경향연구 (Internet News Frame: A Study of News Coverage Trends in Longitudinal Internet Media Development)

  • 권상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0권
    • /
    • pp.35-87
    • /
    • 2005
  • 본 연구는 인터넷발달의 과정에서 발달단계인 초기(보급 확산)부터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회문화기인 현재까지 발달과정을 실증적이며 이론모델을 제시한 연구이다. 전통적인 매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해왔는가를 통해 각 시기별로 나타나는 미디어적특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뉴스미디어들이 어떠한 보도경향-틀 짓기(프레임)-방식으로 인터넷발달을 기록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2004년까지의 기사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인터넷의 기술발전과 이용추이에 따라 4시기로 구분했는데 인터넷 상용화이전 도입기, 인터넷 확산기, 인터넷의 상업적 상용화기, 인터넷의 사회 문화기가 그것이다. 분석결과, 신문보도의 프레임 요소와 방법은 각 시기별로 대체적으로 차별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사회 문화기로 접근할수록 초기의 기술위주의 계열화방식에서 점차적으로 통합화 방식으로 전환되어 왔다. 결국, 인터넷의 이용 폭이 확대되고 사회전반으로 그 영향력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신문은 사회 안에서 인터넷이 갖고 있는 의미와 문제점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미디어 대체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은 경쟁적인 프레임이나 보도경향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오히려 인터넷의 도입 이후 장기적으로 국가차원 이용과 같은 주제보도(thematic coverage) 차원으로부터 일상적인 이용보도인 일화보도(episodic coverage)가 많은 쪽으로 옮아갔다. 장기적으로 인터넷 보도시각은 변화양상을 보여 왔으나, 어느 한 측면(낙관적 혹은 비관적,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에 치우치지 않고 대체로 중립적인 프레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유아(幼兒) 및 아동(兒童)의 공간개념(空間槪念) 발달(發達) - Piaget의 연구(硏究)를 중심(中心)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 김행자
    • 아동학회지
    • /
    • 제3권
    • /
    • pp.35-48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iaget's theory of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which explains the stage of child's congnitive development. This thesis consists of 4 Chapters, including introduction, which examines the concept of space perception, and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 conception, and suggests the outline of this study. In the Chapter II, the brief history of topological Psycholog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is theory has been explained. According to Piaget's theory of the conception of space, the child's development of the conception of space develops orderly three stages, that is to say, the stage of conception of space by the topological relations, the stage of projective conception of space, and finally the stage of the Euclidian, conception of space. Children's development of the conception of space continuously, and orderly has been made by these stages. Also, in this Chapter, Piaget's experiment about the development of child's conception of space has been explained. In the Chapter III, the children's conception of geometry has been examined. Here explains the development of space representation, and of seriation or classification. In the Chapter IV, some theories of the conception of space has been examined, and some points of view has been made as a conclusion.

  • PDF

경주 남산 이조리귀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jori Tortoise Pedestal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 이은석;조현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4호
    • /
    • pp.56-77
    • /
    • 2010
  •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소재하는 최진립신도비의 받침인 석제 귀부(龜趺)는 1740년경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모사한 조선시대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당시 제작되는 귀부 형식과는 다르고, 모사한 원 귀부의 형식은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모습들이 확인되고 있다. 첫째, 제작 과정을 기록한 '문루일기(門樓日記)'에는 비석을 먼저, 이후에 귀부를 제작했음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비좌 삽입부가 작아 비석 양쪽 끝단을 잘라 삽입한 흔적이 보이며, 비석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귀부와 비좌를 만들었다는 것은 공정상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비석 제작 부분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백운대라는 사찰터에서 제작되었다고 할 뿐, 공정 내용이 언급되지 않은 점은 당시 실사를 하고 기록했는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둘째, 이조리귀부의 구름문양은 초기의 태종무열왕릉귀부와 서악리귀부 구름문에서 이행되는 시간상의 세리에이션(Seriation)을 잘 반영하고 있다. 비좌 주변을 장식한 연화문은 중앙에 형식화된 보상화가 표현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대 기와 등에 가장 잘 나타나던 문양이다. 셋째, 전진하는 모습의 이조리귀부는 지금까지 경주에 전해지는 귀부들에서도 찾기 힘든 생동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렬상의 귀갑문 배치는 이전 귀부의 문양 배치보다 훨씬 간결해지고 공간 활용을 고려한 발전된 형식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조리귀부는 시기적 변화를 보여주는 문양 형식, 비신과 비좌의 불일치, 기록상의 고찰을 통해 볼 때, 18세기 조선시대 석공이 신라문양의 형식변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제작한 모사품이라기보다는 8세기 중반 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귀부였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