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mjin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피라미속 어류 1 신종 Zacco koreanus 기재와 갈겨니 Z. temminckii의 재기재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 (Cyprinidae) from Korea)

  • 김익수;오민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05
  • 우리나라 영산강을 제외한 남부의 여러 하천에서 채집된 갈겨니로 알려진 표본 가운데 체측상부비늘 수가 9~10개이고, 체측 전반부가 노란색을 띠고, 동공상단에 붉은색 반점이 없으며, 가슴지느러미 앞쪽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띤 104개의 개체들은 전형적인 갈겨니 Zacco temminckii와 잘 구별되어, 신종 Zacco koreanus로 기재하고 새로운 국명을 "참갈겨니"로 지칭하여 갈겨니 Z. temminckii와 비교하였다. 갈겨니는 영산강, 동진강, 섬진강, 탐진강, 낙동강의 우리나라 남부에서만 분포하지만, 참갈겨니는 영산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에 분포한다. 이 두 종이 혼서하는 수역에서는 갈겨니는 주로 정수역에 서식하지만 참갈겨니는 비교적 빠른 유수역을 선호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피라미속 어류의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망목 크기가 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 및 군집해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esh Size Difference on Zooplankton Distribution Data and Community Interpretation)

  • 이평강;박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1호
    • /
    • pp.13-19
    • /
    • 2004
  • 망목 크기가 다른 네트를 사용하여 같은 지역에서 동시에 채집한 동물플랑크톤 자료를 비교하였다 작은 망목의 네트가 상대적으로 적은 종류의 분류군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망목의 막힘 현상(clogging) 때문에 인양 거리가 짧아져 시료의 크기(sample size)가 작아진 점과 채집된 개체들이 대체로 작은 것이어서 분류상의 어려움으로 상위 분류군으로 검색된 점 때문에 망목 크기와 채집되는 분류군의 다양성 관계는 일반화하기 어려웠다. 개체수의 관점에서는 큰 망목의 네트가 크기가 큰 동물들을 보다 많이 채집하고, 작은 망목은 크기가 작은 동물을 보다 많이 채집하였으며, 작은 크기의 동물들이 한 order정도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망목 차이에 기인한 선택적 채집 강도의 영향으로 인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한 군집분석의 결과는 서로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한국 남해 내 대륙붕 후 제4기 층서 및 퇴적역사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its Depositional History in the Inner Shelf off the Southern Coast, Korea)

  • 유동근;이호영;박근필;구남형;김종천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4호
    • /
    • pp.243-250
    • /
    • 2005
  • 한국 남해 내 대륙붕에서 취득된 고해상 탄성파 탐사 자료의 분석에 의하면 연구해역 내 대륙붕 퇴적층은 지난 마지막 빙하기 이후 형성된 3개의 층서단위로 구분된다. 퇴적단위 I은 탄성파 단면상에서 반투명 음향상, 층리 음향상, 허모키 음향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퇴적단위 I은 후빙기 해침동안 하구역 환경에서 퇴적된 사질니 혹은 니질사 퇴적물로 구성된다. 퇴적단위 II는 역과 패각을 포함하는 사질퇴적물로 구성되며 후빙기 해침동안 연안침식에 의해 형성되었다. 퇴적단위 III은 투명 혹은 반투명 음향상 특징을 가지며, 현세 고해수면 조건하에서 퇴적된 낙동강 및 섬진강 기원의 니질 퇴적물로 구성된다. 본 퇴적단위는 내대륙붕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외해를 향하면서 층후가 감소하는 쐐기 형태로 발달한다.

광양만의 용존성 및 입자성 미량금속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trace metals in Kwangyang Bay, Korea)

  • 진용현;김경태;김석현;양동범;홍기훈;이광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30
    • /
    • 2000
  •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the behavior of trace metals in Kwangyang Bay, surfac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our times from August 1997 to May 1998 and were analyzed for trace metals (Cd, Co, Cu, Fe, Ni, Pb, Zn)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Dissolved Co and Fe concentrations were comparatively high near the Seomjin River mouth. Particulate trace metal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near the Sueochun River mouth and near the Yeochun industrial complex. Distribution coefficients ($K_d$; $Lkg^1$) between dissolved and particulate phases of Fe, Pb, Co, Zn, Ni, Cu and Cd were $1.67{\times}10^8$, $1.37{\times}10^6$, $7.25{\times}10^5$, $4.43{\times}10^5$, $1.39{\times}10^5$, $9.1{\times}10^4$ and $1.8{\times}10^4$, respectively. In Kwangyang Bay, particulate trace-metal concentrations were as high as dissolved ones and showed seasonal and geographic variations.

  • PDF

섬진강 유역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in Rural Area of Seomjin Watershed)

  • 박성천;오창열;진영훈;김동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1057-1062
    • /
    • 2005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and discharge load amount according to the land utilization in Yeinam river basin. The land utilization of target basin was divided into paddy field, dry field, forest, residential area and composition area. The study o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by rainfall-runoff process showed that COD, SS and T-P had the first-flushing effect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in early-stage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but the T-P revealed similar runoff characteristics. Event Mean Concentration(EMC) of BOD and COD according to the land utilization revealed the range of $3.11\~15.50mg/L$ and $3.37\~33.42mg/L$,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MC corresponding to BOD and COD was detected in the paddy field. The EMC of SS showed $1.7\~305.02mg/L$ and it's highest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dry field. The EMC of T-N and T-P represen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paddy field and dry field with range of $0.91\~8.76mg/L$ and $0.02\~0.44mg/L$.

총인부하량을 이용한 인공호의 부영양화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eutrophication for the lakes by phosphorus loading)

  • 김재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689-69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to predict of eutrophication in lakes by using Vollenweider-OECD model and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inflow rate which were measured in 1993∼2001.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The annual total phosphorus loading from the watershed was calculated to be 55∼195tP/yr at lake Soyang, 221∼466tP/yr at lake Taechong, 123∼278tP/yr at lake Andong, 57∼109tP/yr at lake Seomjin. These are discharged, far the most parts, from population and fishfarm facility. TP loading on the surface area at lake Soyang was 3.01gP/㎡/yr, 2.82gP/㎡/yr, 2.84gP/㎡/yr, 3.03gP/㎡/yr, 2.34gP/㎡/yr, 1.78gP/㎡/yr, 0.91gP/㎡/yr, 0.89gP/㎡/yr, 0.86gP/㎡/yr, lake Taechong was 6.71gP/㎡/yr, 7.25gP/㎡/yr, 7.24gP/㎡/yr, 6.53gP/㎡/yr, 6.50gP/㎡/yr, 7.06gP/㎡/yr, 7.04gP/㎡/yr, 4.05gP/㎡/yr, 3.44gP/㎡/yr and TP loading on the surface area of lake Andong, lake Soemjin were 5.39gP/㎡/yr, 4.47gP/㎡/yr, 4.56gP/㎡/yr, 4.45gP/㎡/yr, 3.33gP/㎡/yr, 2.38gP/㎡/yr, 2.53gP/㎡/yr, 2.46gP/㎡/yr, 2.54gP/㎡/yr, 4.09gP/㎡/yr, 4.10gP/㎡/yr, 3.98gP/㎡/yr, 3.73gP/㎡/yr, 2.80gP/㎡/yr, 3.46gP/㎡/yr, 3.22gP/㎡/yr, 2.19gP/㎡/yr, 2.13gP/㎡/yr respectively. The tropic states of four lakes can be assessed as eutrophy because phosphorus leading exceeds the critical phosphorus loading by Vollenweider-OECD model.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기후모델에 의한 남한지역 미래가뭄의 확률론적 전망 (Projection of Future Drought of Korea Based on Probabilistic Approach Using Multi-model and Multi Climate Change Scenarios)

  • 박범섭;이주헌;김창주;장호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871-18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GCM으로부터 생산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남한지역 미래가뭄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전망하였다. 가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가뭄지수로 이용하였으며 가뭄빈도해석을 통하여 54개 기상관측소별 SDF(Severity-Duration-Fraquency) 곡선을 유도하여 남한지역의 지속기간별, 재현기간별 가뭄우심지역을 지도화하였다. 가뭄우심도에 의한 미래 가뭄전망 결과, 낙동강, 섬진강 유역이 과거와 동일하게 다른 유역에 비하여 가뭄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한강유역 역시 가뭄이 심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경우 A2 시나리오에서는 과거에 비해 낙동강 동해 유역에도 가뭄이 심화되는 지역이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8.5 시나리오에서는 중부지역에 위치한 한강유역의 가뭄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 가뭄은 과거와 같이 남부지방에 국한되지 않고 한반도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기후모델별로 다소의 전망 차이를 나타내었다.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cheilognathus majusculus, a Korean Endemic Species

  • Lim, Jin-Yeong;Lee, Won-Ky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297-305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from Jeokseong-myeon located in Seomjin River. The reproductive cycle is examined histologically regarding water temperature and day length of the habitat,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female ovipositor length index (OLI), monthly variation in egg diameter distribution,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gonads. The maximum GSI was found in $19.21{\pm}2.32$ and $6.90{\pm}0.53$ for female and male respectively when water temperature ($14^{\circ}C$) and day length (11.1hr) began to rise.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level was reached during August ($1.87{\pm}0.67$ for female and $0.88{\pm}0.50$ for male). No samples represent with measurable ovipositor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while the longest ovipositor length index was in April ($79.68{\pm}4.69%$). We compared and calculated the stages of testis and ovary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determine the germ cel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reproductive cycle. According to the result, we classified the female Acheilognathus majusculus reproductive cycle into four stages: Ripe (April) and spawning phase (May to June), degenerative phase (July), growing phase (August to December), and mature phase (January to March).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male Acheilognathus majusculus was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viz. Ripe and spawning phase (May to June), degenerative phase (July to August), resting phase (September to November), growing phase (December to February), and mature phase (March to April).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서 담수 유입으로 인한 밀도성층 변화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due to Fresh Water Discharge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 강영승;채영기;이형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26-1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FDC 모델을 이용하여 광양만과 진주만 해역에 대한 조석과 수온, 염분을 고려한 3차원 해수순환 양상을 재현하였다. 수치모델 결과는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그 결과 모델은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실험 결과, 연구해역의 해수순환은 노량수도와 대방수도 중간 해역에서 해수가 수렴 및 발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잔차류는 전형적인 2층 순환구조를 보인다. 모델을 통해 광양만과 진주만 일대의 밀도성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해역은 담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해역으로 진주만의 경우 남강댐 방류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는 해역이지만 남강댐에서 방류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섬진강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강댐 방류시에는 광양만의 성층이 상대적으로 강화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간헐(間歇) 수문과정(水文過程)의 모의발생(模擬發生) 모형(模型)(II) - Markov 연쇄와 연속확률분포(連續確率分布) - (A Simulation Model for the Intermittent Hydrologic Process (II) - Markov Chain and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

  • 이재준;이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23-534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헐수문과정인 일강수계열의 모의발생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I)에서는 교대재생과정을 이용하여 강수발생과정을 해석하였으며, 본 연구(II)에서는 강수발생과정으로 Markov 연쇄를 이용하고 습윤일의 강수량 분포를 조합하여 일 강수계열을 모의발생하는 추계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Markov 연쇄로는 상태 2(건조, 습윤)의 1차 연쇄를 사용하였으며, 습윤일의 강수량 분포는 연속확률분포인 Gamma, Pearson Type-III(PT3), Extremal Type-III(T3E), Weibull 분포를 적용하였다. 일 강수계열 자료의 계절적 변동성을 고려하여 월별로 분리하여 해석하였으며, 강수발생과정과 습윤일의 강수량과정을 조합하여 구성한 두 개의 모의발생 모델 M-W, M-G 모델을 낙동강과 섬진강 유역의 7개 관측소에 적용하여 관측치와 모의발생치를 비교하므로써 모의발생 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