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omjin

Search Result 33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Verification of Discharge Data for the Seomjin-River (섬진강 유량자료의 검증)

  • Oh, Chang-Ryeol;Choi, Hong-Yun;Sim, Eun-Jeung;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75-1879
    • /
    • 2007
  • 유량은 하천의 횡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에 따른 물의 양으로서 각종 수자원계획 및 댐 개발 등 각종 수공구조물 설계의 기본 인자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수공 구조물 설계의 근간이 되는 유량은 시변성이며 공간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임에 따라 측정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더욱이 측정지점 상류의 인구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 최근에 이슈화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정비 공사 등으로 지속적인 유량 측정 성과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측정성과와 2006년도의 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가용할 수 있는 수위자료 및 유량조사가 완료된 본류부 4개 지점과 경천의 순창지점, 오수천의 오수지점, 보성강의 죽곡지점에 대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과 이에 따른 상 하류 유출 검토 및 유출률, 평 저수기 동시유량을 검토하였다. 2006년도 측정성과에 대한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하류의 유량이 상류보다 더 큰 일반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유출률은 58.8(순창)${\sim}$71.5%(죽곡)로서 비교적 상류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적정한 유출률의 특성을 보였다. 평 저수기 동시유량 검토 결과 역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전체적으로 유량이 반전되지 않고 완만하게 증가함을 나타내 측정된 유량자료가 적정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Reestimation of Hydrologic Design Data in Donghwa Area (동화지구 절계 수문량 재추정)

  • Kwon, Soon-Kuk;Lee, Jae-Hyoung;Jung, Jae-Sung;Chon, Il-Kweon;Kim, Min-Hwan;Lee, Kyung-D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6 no.6
    • /
    • pp.3-10
    • /
    • 2004
  • The fundamental study of hydrologic redesign of Donghwa area located in a sccond tributary of Seomjin river was performed. The amounts of hydrologic design were estimated using the available cumulated hydrology data provided by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water resources in Donghwa area was also widely surveyed. The probability rainfalls,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and probability floods were estimated and subsequently their changes analyzed. The amount of 200 year frequency rainfall with l day duration was 351.1 mm, 2.5 % increased from the original design value, and The PMP was 780.2 mm. The concentration time was reestimated as 2.5 hours from existing 2.4 hours.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method was used to estimate effective rainfall- The runoff curve number was changed from 90 to 78, therefore the maximum potential retention was 71.6 mm, 154 % increased from the original value. The Hood estimates using SCS unit hydrograph showed 8 % increase from original value 623 $m^3$/s to 674 $m^3$/s and The probable maximum Hood was 1,637 $m^3$/s. Although the Row rate at the dam site was increased, the Hood risk at the downstream river was decreased by the Hood control of the Donghwa dam.

Derivation of Design Flood by L-Moments and LH-Moments in GEV distributiion (L-모멘트 및 LH-모멘트에 의한 GEV 분포모형의 실계홍수량의 유도)

  • 이순혁;박명근;맹승진;정연수;김동주;류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c
    • /
    • pp.479-48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d design floods by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distributiion for the annual maximum series at ten watersheds along Han, Nagdong, Geum , Yeongsan and Seomjin river systems. Adequency for the analysis of flood data used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the test of Independence, Homogeneity , detection of Outliers. Coefficient of variation ,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by the L-Moment, and LH-Moment ratio respectively.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the Method of L-Method of LH-Moment. Design floods obtained by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plotting positions in GEV distribution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batined using the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by the Relative Mean Errors and Realtive Absoulte Errors. It was found that desgin floods derived by the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Cunnane plotting position foumula in the GEV distribution are much closer to those of the observed data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methods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the other formula for poltting postion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ve Mean Errors and Relative Absoulte Errors. In view of the fact that hydraulic structures indcluding dams and levees are generally usiong design floods with the return period of two hundred years or so, design floods derived by LH-Moments are seemed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ose of L-Moments in the GEV distribution.

  • PDF

Studies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lluvial Cla).e)- Deposits in the Estuary Area of Seomjin River (I) (섬진강하구유역의 충적점토에 대한 토질공학적 특성연구(I))

  • Yu, Neung-Hwan;Yu, Yeon-Taek;Park, Seung-Beom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4 no.1
    • /
    • pp.37-48
    • /
    • 1988
  • This is a part of research projects to investigate the several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 onships among the various physical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alluvial clayey deposits in the estuary area of the great fixe rivers through the South-West coastal districts where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as large ingustrial site or agricultual development projects. As a first trial, the statistical analyses through computer programs were carried out using the results of laboratory and field tests of 227 soil samples from the Seum-Jin river area. When the initial void ratio which plays crucial role to the settlement of foundation is more than 2.5, the compression indices of soil samples are remarkably scattered, but these indices, which are formulated as a general expression, tend to increase as increasing the clay content, liquid limit, plastic limit and initial void ratio.

  • PDF

Fishfauna of the Baekdudaegan (Manbokdae-Siribong) Mountain Area Streams (백두대간(만복대~시리봉) 일대 계류의 어류상)

  • 심재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403-408
    • /
    • 2003
  • Fishfauna were investigated in the Baekdudaegan Mountain area (Manbokdae-siribong) streams. At the uppertributary of Seomjin River, 17 species of 5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ki. Korean endemic species were six (35.3%) species, Acheiognathus kore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u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Iksookimia longicorp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Only Lampetra reissneri designated as a vulnerable species, was confirmed at the stream. At the upper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collected fishes were identified as 11 species of 3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cki, and two species (18.2%), Squalidus gracilis. majiimae and Ikosokimia longicorpus were Korean endemic.

Derivatio of Optimal Design Flood by L-Moments and LH-Moments(II) - On the method of LH-Moments - (L-모멘트 및 LH-모멘트 기법에 의한 적정 설계홍수량의 유도(II)-LH-모멘트법을 중심으로)

  • 이순혁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1 no.3
    • /
    • pp.41-50
    • /
    • 1999
  • Derivatio of reasonable design floods was attempt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floods derived by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distribution using methods of L-moments and LH-moments for the annual maximum series at ten watersheds along Han, Nagdong. Geum, Yeongsan and Seomjin river systems, LH-coefficient of variation, LH-skewness and Lh-kurtosis were calcualted by KH-moment ration respectively. Paramenters were estimated by the Method of LH-Moments, Design floods obtained by Method of LH-Mo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plotting positionsi n GEV distribution and design flood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Method of L-Moments by the Relative Mean Errors(RME) and Relative Absolute Errors(RAE). The results was found that design floods derived by the method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Cunnane plotting position formula in the GEV distribution are much closer to those of the observed data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methods of L-moments and LH-moments using the other formula for plotting position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ve Mean Errors and Relative Absolute Errors. In viewpoint of the fact that hydrqulic structures including dams and levees are genrally using design floods with the return period of two hundred years or so, design floods derived by LH-Moments are seemed to be more reasonable than those of L-Moments in the GEV distribution.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TMDL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수질총량측정망 평가기법 개발과 적용)

  • Park, Sung Chun;Lee, Sam No;Gwak, Pil Jeong;Kim, Jung Soo;Park, Su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7-491
    • /
    • 2016
  • 영산강 섬진강수계는 1999년 한강수계(경기도 7개 시군)에서 임의제로 도입한 이후 2002년 낙동강, 금강수계와 함께 의무제 기반으로 오염총량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4년부터 영산강물환경연구소에서 영산강 섬진강수계의 단위유역 말단 지점의 유량과 수질을 약 8일 간격으로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단위유역 내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이 말단에서 실제 나타나는 오염부하량(유달부하량)의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4대강사업으로 하천의 구조적 수질관리 환경의 커다란 변화가 있어 기존 모니터링지점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섬진강수계의 수질총량측정망 총 56개 지점을 대상으로 설치목적과 선정기준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위한 평가기법을 공간적 대표성, 수리학적 안정성, 시간적 대표성, 정보취득 안정성의 4개 특성과 13개 평가부문, 20개 평가항목으로 3단계 평가기법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으며 평가 결과, I등급이 29개소(53%), II등급이 25개소(45%), III등급이 2개소(3%)로 평가되었으며, 변경 및 폐쇄 권장에 해당하는 IV~V등급으로 평가된 지점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대체로 우수한 지점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and evaluation method for major stations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기준과 평가기법의 개발)

  • Park, Sung Chun;Kim, Jong O;Gwak, Pil Jeong;Kim, Jeong Soo;Lee, B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92-496
    • /
    • 2016
  • 최근 4대강사업과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으로 하천의 구조적 및 비구조적 수질관리 환경의 커다란 변화에 따라 기존 모니터링지점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선정기준을 기반으로 평가기법은 공간적 대표성, 수리학적 안정성, 생태적 대표성, 시간적 대표성, 정보취득 안정성으로 5개의 특성과 14개의 평가부문 그리고, 평가항목으로 3단계 평가기법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영산강 섬진강수계의 제주도수계 4개 중권역을 제외한 28개의 중권역을 대상으로 기존의 중권역 대표지점에 대하여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그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등급이 8개 지점으로 29%, 2등급이 9개 지점으로 32%, 3등급이 6개 지점으로 21%, 4등급이 4개 지점으로 14%, 5등급은 1개 지점으로 4%를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Considering Riverbed Vegetation and River Bank Erosion in the Lower Reaches of the Seomjin River (섬진강 하류에서 하도식생과 하안침식을 고려한 하도변화 수치모의 분석)

  • David Oh;Chang-Lae Jang;Min Jin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0-48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하류에서 2차원 흐름 모형인 Nays2DH 활용하여 섬진강댐 하류, 송정 구간의 식생밀도를 고려한 부등류 계산을 통해 하도의 수위 및 유속을 예측 모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모의결과를 분석하였다.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하도의 식생밀도를 산정하였으며. 식생밀도는 섬진강댐 하류 1.15 m-1, 송정 0.35 m-1로 조사되었다. 모의결과, 섬진강댐 하류에서 원심력에 의해 만곡부 외측에서 수심이 가장 깊게 나타났으며(최대 7.48 m), 최대유속도 동일지점에서 5.58 m/s로 형성되었고 하안침식으로 인한 하도변화 예측결과, 유속이 빠른 만곡부 외측에서 세굴되었으며, 내측에서는 퇴적되었고 만곡부가 끝난 지점부터 중앙사주가 발달하며 흐름이 하도 좌안으로 집중하여 세굴이 진행되었다. 송정구간에서 저수로 폭이 좁아지는No.40+200 지점에서 수심이 가장 깊으며(15.8 m), 유속은 하폭이 좁고 경사가 급해지는 No.39+800 지점에서 최대 7.97 m/s 로 나타났다. 하안침식으로 인한 하도변화 예측결과, 하폭이 넓어지는 No.40+800에서 유속이 감소하여 사주가 발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하류의 실제 식생밀도를 반영하여 수치모의를 하였기 때문에 흐름과 식생관리에 따른 실무적 대책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과 결과들은 섬진강 유역의 하천관리 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vironmental Flow Estimation of Seomjin River Basin (섬진강 유역의 하천 생태유량 산정)

  • Kim, Hyunjung;kang, Seongkyu;Choi, Sijung;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7-247
    • /
    • 2020
  • 생태유량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식물 등의 서식처 조건을 고려하여 갈수시에도 최소한의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이다. 이는 하천의 적정유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생태적 기준의 하나이며 수생생물의 물리적 서식처 적합도를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특히 하천 생태계의 먹이 사슬 상층부에 속하는 어류는 서식처의 물리적 조건에 민감하므로 적절한 유량을 보장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생태유량 산정에 어류의 서식처 조건이 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의 건설과 준설 및 매립 등으로 유황 변동과 하류 염해 피해 등에 의한 하구 생태계 변화 등을 겪고 있는 섬진강 수계를 대상으로 송정, 겸백, 화개 세 지점에 대해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 생태유량은 섬진강 수계에서는 직접 측정에 한계가 있어 금강에서 측정된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였고, 지점의 하상재료 및 환경 조건을 반영하여 PHABSIM을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그 결과 송정의 최적 생태유량은 8.5㎥/s, 겸백은 2.26㎥/s, 그리고 화개 지점은 36㎥/s로 산정되었다. PHABSIM을 이용한 생태유량 산정 값은 지점에 따라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지만, 섬진강 수계의 해수 침투 등에 의한 염해 피해 대책 마련 등을 위해서는 산정된 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