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cessing

검색결과 845건 처리시간 0.022초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ombined with Eye Tracker on Sensory Processing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권소현;안시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5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중재는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매 회기 평가로 시각-운동 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였으며, 사전·사후 평가로 감각프로파일,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선잇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는 시각적 분석 및 경향선 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 회기별 평가 결과, 시각-운동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에서 모든 아동의 경향선 기울기가 기초선기간보다 중재기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사전·사후 평가결과, 감각처리에서는 움직임, 몸위치, 시각의 감각처리가 또래보다 많음에서 또래와 유사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시지각에서는 모든 아동의 시각통합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의 시각추적 및 시각-운동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선잇기검사 결과, 모든 아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수행시간이 감소하였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 기술의 향상과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맞추어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발달에 감각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Patterns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i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슬기;강찬미;권진하;김민규;김성현;조유정;김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4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가 기질과 성격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참가자 107명이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2022년 9월에 모집되어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기질 및 성격 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를 작성하였다.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기질 척도(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및 성격 척도(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의 각 준거 변인에 대한 감각처리 사분면(저등록, 감각추구, 감각민감, 감각회피) 예언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추구 행동이 빈번할수록 자극추구,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자기초월 성격이 높게 나타났고 위험회피 기질은 낮게 나타났다. 저등록 행동이 빈번할수록 위험회피 기질이 높은 반면,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성격은 낮게 나타났다. 감각민감 행동이 빈번할수록 사회적 민감성 기질이 높았지만 감각회피 행동이 빈번할수록 사회적 민감성 기질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감각처리 패턴이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자기초월 성격에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다.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성 연구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Safe Driving Behavior in Older Adults)

  • 김희동;고효은;장연식;조남주;백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43-2748
    • /
    • 201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5세 이상 정상노인 3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총점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결과를 가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감각처리능력과 안전운전행동의 어려움을 보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전 행동에 관한 적절한 평가와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역연구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Study on a Korean of Sensory Processing Measure Home Form)

  • 이혜림;유은정;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1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번역과정을 거친 후 내용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내용타당도 연구를 위해 번역, 역번역 과정에서 항목을 수정하였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각 지역별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는 각 항목에 대하여 의미성와 구조성으로 나누어 4점 척도로 실시하였으며 1점은 매우 타당하지 않음, 2점은 타당하지 않음, 3점은 타당함, 4점은 매우 타당함으로 점수화하였다. 역번역은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2명이 참여하여 2개의 역번역본에서 일치하는 않는 부분을 확인한 다음 전문가 집단에서 토의 후 보완하였다. 이렇게 번역된 한국어판은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원본 SPM과 한국어로 번역한 SPM을 비교한 결과 평균 3.54± .74(리커트 4점 척도), 의미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S-CVI/Avg)는 .92, 구조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86이었다. 역번역 결과, 내용 일치도는 평균 3.77± .47로 나타나 내용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역번역 및 수정을 거친 SPM을 부모 집단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 결과 평균 3.48 ± .63(리커트 4점 척도)이었으며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94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개발된 SPM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한국어판 가정용 SPM을 우리 문화권에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 김채현;김경미;장문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중독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3~6세 아동 32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을 구분하기 위해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축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중독군에서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능력 중 촉각 민감성(p=.020), 맛/냄새 민감성(p=.021), 움직임 민감성(p=.042),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p=.000), 청각 여과하기(p=.000),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p=.000), 시각/청각민감성(p=.000), 총점(p=.0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처리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r=-.293), 시각/청각민감성(r=-.39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정상사용군과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한글판 감각처리 및 자기조절 체크리스트(SPSRC)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 (SPSRC) )

  • 김예은;이혜림;이선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3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이하 SPSRC)의 국내사용을 위해 일반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을 사용하여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구성타당도는 두 집단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 일치도의 경우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 동시타당도의 검증 결과 한글판 SPSRC와 SSP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1), 구성타당도는 한글판 SPSRC의 영역 및 하위항목에 대해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의 범위가 .700 ~ .975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상관계수의 범위가 .937 ~ .997로 나타났다. 결론 : 한글판 SPSRC는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지는 평가도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치료목표를 계획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향후 관련된 연구에 의미 있는 근거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콜롬비아 커피 생두의 가공법과 로스팅에 따른 품질 특성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ombia Coffee under Various Processing and Roasting Conditions of Green Beans)

  • 고재광;정진혁;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5-377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ffee under various processing and roasting conditions of green beans. Colombia green bean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ree processing methods: natural, pulped-natural, and washed methods. The green beans were roa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Agtron number: light (Agrton #65), medium (Agtron #55), and dark (Agtron #45). Moisture content, density, color value, pH, and total dissolved solid contents (TDS) were measured, an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with 23 sensory attributes was performed for nine coffee samples. Hunter L valu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with the degree of processing but reduced with roasting intensity. The pH values of the nine coffee samples were 5.6~6.2 an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tensity of roasting. TD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processing and increased with roasting intensity. QDA results show that smoky aroma and nutty and chocolate flavor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fruit and floral aroma decreased with intensity of processing. The attributes of brownness, oily surface, smoky aroma, bitter and burnt flavor, and greasy and heavy mouthfeel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fruity and floral aroma, black tea, sour and umami flavor, pureness, and softness decreased as roasting intensity increase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showed the overall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23 sensory attributes and nine coffee samples under different processing and roasting conditions.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 홍은경;김한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와 소운동, 사회성 능력에 그룹감각 통합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그룹감각통 합치료를 주 1회(40분씩), 총 21회기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 사회성, 소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를 사용하였다. 그룹감 각통합치료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는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OTMP의 평균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감각처리, 사회성, 그리고 소운동 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룹감각통합치료전에 비해 후의 사회성과 소운동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 나은 향후 연구를 위해 대상아동의 수, 치료의 회기를 늘리고 외적인 변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 PDF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수용성 감각 활동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6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finition of proprioception, foundations and roles of neuroanatomy, and systemical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prioception exists in muscle, ligaments, joints and skin and it plays important role in controling body movements and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during child development. Proprioception interacting with tactile and vestibular systems contributes to the change of muscle tone, postural control, refinements of planning and praxis. Children who are deficit in proprioceptive processing would seek hypo-responsive proprioceptive input or avoid hyperactive one. Outcome of poor proprioceptive input would cause the problems of praxis and postural control. Because propriocep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body and limb it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body scheme and motor planning. It also influences the arousal and emotional ton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which provides rich proprioceptive activities will improve the level of arousal and enhance motor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