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Experience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7초

건축디자인에서의 다감각적 감성의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y emotional tendency in Architectural design)

  • 반상철;진보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83-5694
    • /
    • 2015
  •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 분야에서 인간중심의 디자인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부응하는 경향이 조성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서 인간의 감각과 감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건축디자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연구와 디자인 성과의 대부분이 시각 중심으로 편중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측면에서 인간이 대상을 인지하는 데는 여러 가지의 감각을 동원하게 되고 이의 통합결과로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였고, 특히 문화적 배경과 인간중심의 경향을 보이는 다감각을 고려하고 적용한 미래지향적인 감성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디자인이 감성디자인이며 이의 인식과 적용이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건축 디자인에서도 인간 중심적인 경험과 감각, 감성의 감흥을 바탕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다감각적 면에서 인간중심의 감성디자인이란 시각에 편중되지 않고 촉각, 청각을 비롯한 여러 감성요소들이 통합된 관점에서 공감적 대상으로서 건축 디자인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 김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34-641
    • /
    • 2017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능력의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사례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9월부터 12월이며,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각각 2회기, 9회기, 2회기로 총 13회기 진행하였다. 감각통합프로그램은 50분씩 9회기 진행하였고 윌버거프로토콜(Wilbarger's Protocol)을 하루 2~3회씩 실시하였다. 아동의 기초적 발달 수준을 알기 위해 영역별 관찰 평가와 사회성숙도검사를 초기에 실시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작업수행 능력정도를 일상생활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통해 각각 평가하였다. 아동의 사회행동인 탐색행동과 식사하기는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행동을 증가시키고 식사하기를 가능하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식사하기는 중재 후 5회기부터 안정적으로 가능하였으며, 탐색행동은 중재 후 3주 후부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해 7주 후 부터는 안정적인 탐색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중재하는데 감각통합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말해 준다.

한류관광객의 관광동기 및 체험성이 관광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ruism Image on Tourism Motivation and Experientiality of Chinese Tourists' on Korean Wave)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87-395
    • /
    • 2011
  • 본 연구는 관광동기 및 관광상품 체험성이 관광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관광객의 관광동기는 관광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상품 체험성이 관광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첫째, 한류관광객의 관광동기 차이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류 관광상품 개발에 있어 관광객들에게 체험성을 제공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차원에서의 한류관광시장 조사, 기업차원에서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한류관광상품 개발, 학술적 차원에서의 이론적 기초자료 정립을 위한 다양한 연구진행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Features of Ukrainian Media Art in a Global Context

  • Hridyayeva, Tamara O.;Kohut, Volodymyr O.;Tokar, Maryna I.;Stanychnov, Oleg O.;Helytovych, Andrii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229-240
    • /
    • 2021
  • The article seeks to explore Ukrainian media art and its features in a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it performs an in-depth analysis of the stages of its development from video art of the 1990s, media installations of the 2000s, and to various digital and VR technologies today. Due to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development of media art was quite rapid, as young artists sought to gain new experience in media art. Most often, their experience was broadened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udying abroad. The paper analyzes the presentation of Ukrainian media art outside the country during 1993-2020 and distinguishes the main thematic areas of the artists' work. It examines how artists present and reveal the peculiarities of the Ukrainian worldview, aesthetics, and culture through the problematization of certain aspects and themes in their work. Specifically, among the principal topics which are problematized in the work of media artists are a sensory experience, limited sensory capabilities, gender issues, the Chernobyl tragedy, the development of utopian models of the city, and global communication. The leading themes of Ukrainian artists also include revolution and war. Notably, political and social sentiments determine the unique energy and vitality of contemporary Ukrainian art, create a revolutionary creative environment, and unite media artists in group art projects. It is concluded that by showing, exhibiting, and presenting them outside the country, artists shape the image of Ukrainian art in a global context.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브랜드 경험이 진정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고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Brand Experience on Integrity and Re-Visit Intention- Focus on the Ancient City of China)

  • 장정;백보현;권혁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72-587
    • /
    • 2021
  • 최근 문화적 도시재생이 문화관광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도시재생 지역의 관광객이 느끼는 목적지 브랜드 경험이 진정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대상은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성공사례인 태아장 고성으로 선택하였으며, 방문 경험이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표본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목적지 브랜드 경험의 하위 요인에서 감각 경험, 정서 경험, 지적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의 객관적 진정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 경험, 지적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인 실존적 진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목적지 진정성이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스탤지어가 목적지 브랜드 경험이 목적지 진정성과 재방문의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고성 문화적 도시재생을 알아볼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 관광객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중국 관광객의 목적지 브랜드 경험과 진정성,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가진다.

메타버스에서의 정서적 경험이 고객반응에 미치는 효과: 의료관광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on customer response in the Metaverse: Focusing on medical tourism services)

  • 황윤용;김미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2호
    • /
    • pp.156-164
    • /
    • 2024
  •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결합인 메타버스는 초연결적, 초실감적 서비스를 기반으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이전과 다른 탐색, 평가, 소비 그리고 처분의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시공간을 초월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공간인 메타버스 안에서 고객들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때, 어떠한 감각적 경험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고객들의 행동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관광 서비스를 경험하는 고객들이 메타버스 체험 여정에서 느끼는 메타버스 서비스 환경의 시간적, 정서적 경험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메타버스를 통한 정서적 경험은 메타버스 체험의 강도가 깊어질수록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타버스 서비스 종료 시점에서의 정서적 경험은 이후 재구매 행동에도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 세계에서처럼 메타버스에서의 고객경험은 고객들의 사후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며, 서비스 제공자들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효과적인 고객경험 전략을 어떻게 개발하고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감각 자극에 따른 반려견의 정서 상태 연구 (Emotional State of Companion Dogs by Sensory Stimuli)

  • 오연서;박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9-2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견의 행복한 삶 영위를 위한 반려견의 입장 이해이다. 반려견의 정서에 감각 자극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과 설문 조사가 진행되었다. 감각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복합으로, 정서는 깊은 수면의 비율, 사료 섭취량, 심박 수로 나누어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반려견의 정서에 복합 자극(산책)이 가장 긍정적이지만, 시각 자극과 청각 자극은 평소 상태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자극으로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후각 자극은 복합 자극 다음으로 정서에 긍정적인 감각 자극이다. 반려견의 상태에 큰 편차 없이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후각 자극은 복합 자극을 할 수 없는 예외 상황에서 반려견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촉각 자극인 목욕은 반려견 대부분에게 수면 과다증과 폭식을 유발하는 부정적 감각 자극이다.

시판김치에 대한 의식과 관능적 특성 (Consciousne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n Commercial Kimchi)

  • 박영희;정난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2
    • /
    • 2006
  •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commercial kimchi quality. To examine the consciousness of commercial kimchi,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Jeonnam area were selected and asked to questionnaires. Commercial kimchi samples used included a total of 7 kinds which were fermented for 2 week at $4^{\circ}C$. A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ed 10 items with a 5-score scale: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bitter taste, off-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76% of the whole student liked kimchi, especially well-fermented kimchi(43.2%) and kimchi with fermented fish(48.6%). Participants liked savory(21.6%), hot(17.1%), and crispy(14.4%) taste. Their most favorite kimchi was the whole cabbage kimchi(26.1%), wild lettuce kimchi(0.9%) and watery kimchi made of sliced radishes(1.8%) were low in preference. 56.8% of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in making kimchi. They mainly bought commercial kimchi in grocery stores(37.8%) or shopping malls(29.7%). They pointed out the addition of artificial sweeter(35.1%), insanitation, and discredit of kimchi materials(21.6%) as problems of commercial kimchi.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resh kimch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2.6{\sim}4.1$), and hot($2.3{\sim}3.8$), and salty($2.6{\sim}3.5$) with p<0.001.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4^{\circ}C$-fermented commercial kimchi for 2 wee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2.7{\sim}3.9$), and salty($2.1{\sim}4.0$) with p<0.001. It was found that color, and hot, and salty tast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overall preference in non-fermented kimchi, and color and salty taste, in 2 week fermented kimchi

  • PDF

일어서기 동작에 대한 동작관찰과 동기화된 전기적 감각자극의 통합적 제공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grated Provision Action Observation and Synchronized Electrical Sensory Stimulation for Sit-to-stand in Stroke Patients Function)

  • 문영;최종덕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1-198
    • /
    • 2020
  • Background: Stroke patients experience multiple dysfunctions that include motor and sensory impairments. Therefore, new intervention methods require a gradational approach depending on functional levels of a stroke patient's activity and should include cognition treatment to allow for a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grated revision of electrical sensory stimulation, which stimulates somatosensory an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hich is synchronized cognition intervention method on stroke patients' functions. Methods: Twenty-one strok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two groups underwent twenty minutes of intervention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This study used an electromyogram to evaluate symmetric muscle activation of lower extremities and muscle onset time when performing sit to stan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 weight-bearing ratio was used to evaluate the weight-bearing of the affected side in a sit to standing. To evaluate sit to stand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performed five timed sit to stand tests. Results: The two groups bo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uscle onset time of lower extremity, static balance ability in a standing position, and sit to stand performance after the intervention (p < 0.05). In addition, the action observation and synchronized electrical sensory stimul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metric muscle activation of lower extremities and weight-bearing ratio of the affected side (p < 0.05). Conclusion: action observation and synchronized electrical sensory stimulation (AOT with ES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a stroke patient's sit to stand performance, and the intervention method that provides integrated AOT with ESS can be used as new nervous system intervention program.

정신 장애 환자에서 외상후 통증증후군의 관리 : 증례보고 (CARE OF POSTTRAUMATIC PAIN SYNDROME IN THE PSYCHIATRIC DISORDER PATIENT : REPORT OF CASES)

  • 오지현;유재하;김종배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6
    • /
    • 2015
  • Pain and sensory disorder resulting from injury to peripheral nerves of the face and jaws are a major source of patient dissatisfaction and suffering. The majority of patient who sustain injuries to the peripheral sensory nerves of the face and jaws experience a slow but orderly return of sensation that is functional and tolerable in quality, if not "normal". For many patients, however, the long-term effects are a source of aggravation, and for a few, a significant cause of suffering. Common complaints relate to reduced sensory information causing embarrassing food accumulations or drooling, biting a burning the lip or tongue, and difficulty in performing routine activities such as shaving and apply makeup. For some patients posttraumatic symptoms become pathological and frankly painful. The predominent pain components are (1) numbing anesthesia dolorosa pain, (2) triggered neuralgiaform pain, (3) burning, aching causalgiaform pain, and (4) phantom pain. This is a report of cases about posttraumatic pain syndrome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in a psychologically disabled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