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 signal processor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6초

정현파형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 속도 제어계에 대한 PI 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PI controller for the sinusoidal type brushless DC motor speed servo system)

  • 노민식;최중경박승엽전인효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207-210
    • /
    • 1998
  • Brushless servomotor systems offer a great advantae in unmanned factories where a great number of servomotors are employed, because of its easy maintenance charateristics and controllability. This paper propose a sinusoidal type brushless DC motor speed servo system which has high efficiency and usability in industrial field as described above. And this servo system is realized by a new Auto-Tuning PI control algorithm and verified it's practical potential of implementation by self-designed driver system. In particular, DSP(digital signal processor) is adopted in this study as controller and sensor signal processor owing to their fast computational capability and suitable architecture.

  • PDF

고속 Multi-DSP를 이용한 전차 탑재 펄스 도플러 레이더 신호 처리기 개발 (Pulse Doppler Radar Signal Processor Development for Main Battle Tank Using High Speed Multi-DSP)

  • 박규철;하종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71-1177
    • /
    • 2009
  • 전차 탑재 레이더는 기상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대전차 미사일을 탐지하는 능동 방호 장치의 필수적인 센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차 탑재 미사일 경고 레이더를 소개하고, 주요 핵심 기술로 고속의 멀티 DSP를 이용한 신호 처리기를 설계 및 제작 결과를 제시하였다. 핵심 알고리즘으로는 어댑티브 CFAR, 가중 선형 근사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추적, 위협 분석 등을 구현하였으며,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두 개의 Fabry-Perot 광섬유 센서 배열을 이용한 횡방향 음압 감지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f the Lateral Acoustic Signal Detection Using by Two Fabry-Perot Fiber Optic Sensor Array)

  • 이종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5-19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이 횡방향으로 음압을 받을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Fabry-Perot형 광섬유 배열 센서를 제작하고 실험하였다. 이는 한 개의 광원으로 두 개의 센서가 병렬로 연결되고 센서의 출력신호를 보기 위한 별도의 신호처리기가 필요 없는 구조이다. 횡방향 음압을 임의의 음원 주파수인 100Hz, 200Hz 및 655Hz의 주파수를 무지향성 스피커에 인가하였으며 $60cm{\times}60cm{\times}60cm$의 격자 구조물에 부착된 두 개의 배열 센서가 잡은 신호를 분석하였다. 시간 영역에서 두 개의 센서 신호는 진폭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음원 주파수를 잘 감지함을 확인 하였다. 센서가 실제로 양단이 지지된 구조의 배열 센서를 모델링하고 그 해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2kHz의 음원을 배열 센서에 인가하였더니 이론 해석과 비교적 잘 일치하는 측정 결과를 얻었다.

인체신호 측정을 위한 SoC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oC for Sensing Bio Signal)

  • 선혜승;송명규;이재흥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미약한 신호들을 검출하여 정확하게 복원한 뒤,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알려주는 인체신호 측정 모듈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모듈은 적색 광을 이용하여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는 광전용 적맥파 방식의 센서부와 온도 센서를 이용한 체온 측정부, SoC 설계 기법으로 구현된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맥박은 0.1 Hz ~ 10Hz 주파수 영역신호를 검출하여 증폭한 뒤 상용 노이즈를 제거하여 검출되며, 체온은 디지털 타입의 센서가 체온을 측정한 뒤 출력하는 값으로부터 검출된다. 또한, 이 모듈에 대한 SoC 구현의 노력으로서, 시스템 컨트롤러를 대체할 수 있도록 VHDL 기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세서는 10MHz로 동작하며, FPGA 칩인 Spartan 3XC3S1000 안에서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 메모리들과 함께 검증되었다.

스페클 패턴을 이용한 광섬유 침입자 센서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iber optic intrusion sensor system using the speckle patterns)

  • 김인수;박재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0-235
    • /
    • 2003
  • 빛의 모드사이의 간섭 때문에 발생하는 스페클 패턴의 변화를 이용하여 광섬유 침입자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센서 시스템은 아날로그부, 디지털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침입자 센서 시스템은 침입자를 감지하고 침입자가 차인지 사람인지를 구별해주었다. 침입자 감지 및 침입자 식별 실험을 500 m 광섬유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개발되어진 광섬유 침입자 센서시스템은 침입자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하였으며 침입자가 차인 경우 100% 차로 인식하였으며 사람인 경우 90% 사람으로 인식하였다.

Mobile u-healthcare system in IEEE 802.15.4 WSN and CDMA network environments

  • 토싱후이;이승철;이훈재;도경훈;정완영
    • 센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7-342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 robust mobile u-healthcare system with multiple physiological signs measurement capability in real time with integration of WSN(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an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A cellular phone receives health data in WSN and performs local physiological signs analysis at a phone processor, and then transmits abnormal data to server for further detail or precise health signal evaluation by a medical doctor over a CDMA network. Physiological signs of the patients are continuously monitored, processed and analyzed locally at cellular phone process to produce useful medical information for diagnosis and tracking purposes. By local simple analysis in cellular phone processor we can save the data transmission cost in CDMA network. By using the developed integrate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architecture, patients can realize self-health checking so that the prevention actions can be taken earlier. Appropriate self-monitoring and self-management can cure disease and relieve pain especially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that need long term observation.

벌크형 광 CT 센서 및 신호처리부 성능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Optical Current Transformer and Signal Processor)

  • 김영수;박병석;김명수;임용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29-1932
    • /
    • 2002
  • In this paper, some parameters are studied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bulk optical current sensor. The performance of optical current sensor is influenced by current measuring range, Verdet constant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temperature variation of wave plate, signal to noise ratio of optical transmitter/receiver, optical bias mismatch. Two types of optical current sensors are implemented and tested in the current range from 10 ampere to 200 ampere.

  • PDF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Network and u-Healthcare System based on Smart-Grid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99-205
    • /
    • 2016
  •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ZIGBEE home network and combined smart-grid and u-Healthcare system. We assisted for amount of electricity management of household by interlocking home devices of wireless sensor, PLC modem, DCU and realized smart grid and u-Healthcare at the same time by verifying body heat, pulse, blood pressure change and proceeded living body signal by using SVM algorithm and variety of ZIGBEE network channel and enabled it to check real-time through IHD which is developed by user interface. In addition, we minimized the rate of energy consumption of each sensor node when living body signal is processed and realized Query Processor which is able to optimize accuracy and speed of query. We were able to check the result that is accuracy of classification 0.848 which is less accounting for average 17.9% of storage more than the real input data by using Mjoin, multiple query process and SVM algorithm.

모바일 환경에서 질의응답이 가능한 무선센서노드 라우팅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Vital Sign Monitoring System with Routing and Query of Wireless Sensor Node on Mobile Environment)

  • 이승철;토싱후이;도경훈;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57-36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무선센서노드의 라우팅와 질의응답이 가능하도록 실시간 쿼리 기능, 자율구성 네트워크, 다양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센서노드에 부착 가능한 any devices(심전도, 혈압, 혈당모듈)는 의사나 건강관리 전문가가 특정한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쿼리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자율구성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형성되는 모습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선의료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신호는 실시간 분석을 하기 위해 서버 PC에서 분석하는 게 아니라 모바일로 먼저 분석하게 된다. 이는 휴대폰의 데이터 통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 심전도, 혈압, 혈당과 같은 생체신호는 모바일에서 비정상 생체신호를 검출 후 정밀한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서 서버에 보내지도록 구현하였다.

  • PDF

광센서 배열을 이용한 무인잠수정의 종단유도장치 시스템 (Underwater Guidance System for AUV using Optical Sensor Array)

  • 손현중;최형식;강진일;서주노;정성훈;김준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 광과광센서를 이용하여 AUV의 도킹스테이션에의 도킹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LED를 유도광원으로 사용하는 도킹스테이션과렌즈, 광 변위센서, 신호처리기, 연산처리기로 구성된 센서시스템 무인잠수정에 장착한 무인잠수정의 종단유도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LED 복사광을 이용해 정밀한 상대각도 측정 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집광렌즈 및 광센서 시스템의 원리해석과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집광렌즈와 광센서 시스템을 직접 제작하고 기초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작한 광학센서를 이용한 AUV와 도킹시스템을 제작하고 수조에서 기본적인 도킹시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도킹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