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ibility tast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3초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미각정보 처리과정의 기능적 매핑 비교 (Comparisons of functional brain mappings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following taste stimulation)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85-592
    • /
    • 2012
  • 음식물 섭취는 영양상태의 유지와 생존을 위해 필요하며, 미각은 가장 기본적인 감각 중의 하나이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다섯 가지 기본 맛(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에 대해 반응한다. 그러나 뇌에서 맛감각의 처리과정과 미각피질의 조직화된 원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자도(MEG), 광영상(optical imaging)을 이용하여 미각 자극에 대한 뇌의 반응들을 영상화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이들 뇌 영상 기법들은 서로 직접적인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이용한 데이터들의 상호비교는 미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의 시간-공간적인 활성 패턴 변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감각 및 감성적 측면에서의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정보처리에 있어서 미각영역의 활성화에 관한 영상매핑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결과들과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영상 변화를 관찰하여 구조해부학적 지도를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미각의 신경회로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선호 오감 정보의 관련기호분석을 통한 감성척도 개발 (Development of Sensitivity Scale based on Taste Analysis of Preferred Five-Senses)

  • 박정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4
    • /
    • 2002
  • 원래 오감은 말 그대로 각 감각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섯 개의 감각이 때로는 겹치고 보완하고 서로 상승하기도 하면서 우리의 감성구조를 보다 입체적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뭔가를 판단할 때 오감을 총동원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디자인이나 제품개발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미분별척도는 사물의 성질이나 모양을 묘사하는 이미지 형용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감성구조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 이미지어에 의존하는 의미분별척도법(SD법)의 한계를 밝히고, 형태, 색채, 음감, 미감, 후각, 촉감과 같은 오감 정보의 관련기호분석을 바탕으로 보다 입체적으로 감성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감성척도를 개발하였다.

  • PDF

한국어 맛 평가 형용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jectives for Sensory Evaluation of Taste in Korean Language)

  • 이준환;정성환;노정옥;박근호
    • 감성과학
    • /
    • 제16권4호
    • /
    • pp.493-50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맛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정성적 관능형가에 사용할 주요형용사 척도를 발굴하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음식의 관능평가에 사용되는 맛, 질감, 온도감 및 냄새 등을 포함하는 우리말 형용사 92개를 선별하여 유사성을 평정하고, 이 형용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에서 음식들의 맛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설명하는 요인은 10개 이상으로 다양하였으며, 군집분석 결과 맛 표현 형용사는 보편적인 맛 표현 형용사, 부정적인 맛 표현 형용사, 음식의 질감, 온도감, 냄새 등을 표현하는 형용사 군 등으로 군집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맛의 선호도에 해당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맛을 표현하는 형용사들과 군집분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군집 대표 형용사들과의 관계역시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축약된 맛에 대한 관능평가 형용사 척도 발굴에 있어서는 음식 종류를 한정하여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Sensibility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Sensibility Evaluation of Visitors According to Forest Environment

  • Lee, Jeong-Do;Joung, Dawou;Hong, Sung-Jun;Kim, Da-Young;Park, Bum-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9-217
    • /
    • 2019
  • Generally human sensibility is expressed in a certain language. To discover the sensibility of visitors in relation to the forest environment, it is first necessary to determine their exact meaning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ort these term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based on an appropriate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forest sensibility vocabulary by extracting Korean words used by forest visitors to express their sensibilities in relation to the forest environment, and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to classify the accumulated vocabulary.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forest sensibility w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experiences reported in the past as well as interviews of forest visitors, and categorized the words by meanings using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maintai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Next,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se words was established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ag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result, 137 forest sensibility words were collected using a documentary survey, and we categorized these words into four types: emotion, sense, evaluation, and existence. Categorizing the collected forest sensibility words based on this Korean languag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ed in the extraction of 40 representative sensibility words. This experiment enabled us to determine from where our sensibilities that find expressions in the forest are derived, that is, from sight, hearing, smell, taste, or touch, along with various other aspects of how our human sensibilities are expressed such as whether the subject of a word is person-centered or object-centered.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about forest sensibility.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과 미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tastes used mostly)

  • 최형순;김유진;이경원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71-480
    • /
    • 2009
  • 색에 의한 맛의 연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제한된 특정 색만을 맛과 연관지어 생각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연관성은 음식물의 색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의 종류와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특정 맛을 연상시키는 특정 색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색과 맛의 연상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기로 하였다.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연구를 위해 "우리말 색 이름 사전"과 "표준 국어 대사전"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흔히 접하고 사용하는 24개의 색과 24개의 미각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색과 맛에 민감하면서도 그 어휘를 모두 구사할 수 있는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의 24개의 색 샘플을 보여준 후, 각각의 24가지의 미각형용사가 얼마나 느껴지는지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색과 미각의 5가지 분명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미각을 연상시키는 색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한정된 색들도 한정된 미각만을 연상시킨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도출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 색과 특정 미각의 연관성뿐 아니라 다른 특정 색들과의 관계도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식품 패키지 디자인, 광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inese Sensitivity Analysis for a Compact Car Exterior Design

  • Yoon, Hyung-Kun;Fu, Kaili;Zhou, Junjun;Zhuo, Tian
    • 감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317-327
    • /
    • 2012
  • This paper uses the sensibility engineering method to find the model of automobile most appealing to buyers in the $4^{th}$ and $5^{th}$ tier cities of China. Samples of class A & A0 cars were shown to 96 subjects in those cities to investigate their response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modern' and 'smart'. The result shows that even though men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automobile models in general than women are, both genders showed similar responses to specific models when they were asked to identify a model 'magnificent', 'modern', 'lively', 'smart' or 'cute'. This implies that despite th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aesthetic sensitivity, both men and women share similar taste in relation to the appearance of cars. Apart from aesthetics, however, men tend to pay a greater attention to the details of design and material used for the cars, while women tend to pay attention to higher priced and better looking cars.

  • PDF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 김유진;권은숙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25-32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의 종류와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써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의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다변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미각 자극의 기본 맛과 강도에 따른 정서표상 (Affective Representations of Basic Tastes and Intensit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 박채리;김인익;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39-52
    • /
    • 2023
  • 핵심정서(core affect) 이론에 따르면, 정서는 정서가(valence)와 각성가(arousal)의 독립적인 두 차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Russell, 2003; Russell & Barrett, 1999). 기존 정서 연구에서는 정서를 유발하는 여러 시청각 자극들이 핵심정서 차원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자극은 시각과 청각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미각 자극들을 활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유발 자극으로서 미각 자극을 활용하여 유발된 정서가 미각 자극의 속성에 따라 핵심정서 차원에 표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식품들을 4가지 기본 맛 유형(단맛, 쓴맛, 신맛, 그리고 짠맛), 그리고 2가지 맛의 강도 설계로 자극을 선정하였다. 참가자들에게 각 자극을 제시하고, 자극에 대한 맛 평정과 참가자가 느낀 정서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변량분석방법인 반복측정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방법인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및 분류분석(classific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단맛을 지각할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쓴맛 혹은 짠맛을 지각할수록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각성가 결과에서는 맛의 강도가 강할수록 더 높은 각성 경험이 보고되었다. 다차원척도법 분석 결과, 1차원에서 단맛 대 쓴맛 그리고 짠맛 대비를, 2차원에서 쓴맛과 짠맛 구분을 확인하였다. 벡터 피팅 결과는 핵심정서이론의 설명대로 1차원이 정서가, 2차원이 각성가 차원으로 구성되었음을 지지하였다. 분류분석 결과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을 통해 미각 자극의 맛 유형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각 자극도 자극 속성에 따라 핵심정서차원에 위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