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of Self-Control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보호요인 :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 우소연;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could moderate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6th graders (468 boys, 412 gir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ildren reported their daily hassles,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on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less daily hassles, had higher self-control, and higher sense of humor were well-adjusted in their schools.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moderated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lthough the moderate effect was weak.

  • PDF

일 지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DS Knowledge, Self Esteem,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on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 권수영;이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 종합대학교의 남학생 323명을 편의표집 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에이즈 감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있으며,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점수도 각각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감, 자기통제감과 낙관적 편견, 자기통제감과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 비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과 고정적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에 대한 예측변수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에이즈 감염 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 관련 변수에 대한 반복 연구와 다양한 집단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임부의 자아통제감과 우울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e of Self-Control and Depression on Pregnant Women's State-Anxiety)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7-2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자아통제감, 우울 및 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60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통제감은 평균 20.49±3.49점으로, 가족구성원의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6.71±4.76점으로, 직업 유무, 시댁식구와 동거여부 및 계획된 임신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은 평균 39.59±8.56점으로, 연령, 분만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통제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아통제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통제감, 우울, 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 시 임부의 자아통제감과 산전우울 정도를 사정하고, 이를 근거로 임부의 불안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스마트폰중독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of Smart-phone Addicted University Students)

  • 백유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3-18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tress situation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er group (addiction group, general user group).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sue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t has analyzed what is the correl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Second, it has studi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of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for the smart-phone user group. In order to verify such study issues, For 1,670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cheong area, smart-phone addiction scale, sense of self-efficacy scale, and stress encountering method scale were administered. Looking into the study result, first, as a result of the relativity analysis, it displayed the correlation of preference of test difficulty, self-control efficacy and important negative from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addition, all sub-variable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voidance orientation from the stress encountering strategy displayed the import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rom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virtual world orientation and pursuit of social-support displayed the important negative correlations, and all sub-variables (interference with ordinary living, virtual world striving direction, withdrawal, resistanc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problem solving-orientation displayed the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r the differenc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general use group following the sense of self-efficacy, the general use group is shown to have higher self-control efficacy sense than the addiction group. An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stress encountering following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general use group, the addiction group is shown to be lower than the general use group in terms of social support pursuit and problem solution orientation with the avoidance orientation shown to be higher. This type of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e data when developing the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by finding out in detail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for university students.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s Sense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ir Daily Stress)

  • 황란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3-373
    • /
    • 2023
  •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64명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그 변인들 간의 관계,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통제감은 평균 20.47±3.86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105.88±19.63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와 부모님의 양육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평균 58.96±17.33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부모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통제감은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자아통제감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증진 측면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죽음준비에서 자기통제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Preparation for Death of Seniors Living Alone)

  • 윤은경;조윤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38-447
    • /
    • 2020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죽음준비 관계에서 자기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 지역 소재 노인복지관과 재가복지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독거노인으로 설문지 총 201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개인특성에 따른 고독감과 자기통제감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종교가 없는 경우, 그리고 자가 소유가 아닌 경우 고독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월소득이 높고, 자가 소유이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 자기통제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독감과 죽음준비와의 관계에서는 입원력이 있고 고독감이 낮은 경우에 죽음준비 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통제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고독감이 낮을수록 자기통제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자기통제감은 고독감과 죽음준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낮추고 자기통제감을 강화하여 죽음준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The Cor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Control in Parents with a child, and Empathy, Humor Sense, Parenting self-efficacy)

  • 김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31-842
    • /
    • 2022
  •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양육과 부모의 공감능력, 유머감각,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이하 유아의 부모들에게서 수집한 203부의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낮게, 심리적 통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공감능력 및 유머감각과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공감능력의 '인지적공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통제'와, 유머감각의 '유머에 대한 선호도'는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심리적 통제의 '자율성지지', '죄책감유발', '자율성통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부모역할에 대한 어려움'은 심리적 통제의 '동일체적양육'이외의 요인들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금연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흡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 윤경순;조숙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improve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ACS)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arbone monoxide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 ACS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who receiv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study lasted from Aug 16, 2016 to Jan 13, 2017.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were measur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 monitor Result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is program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hospitalized patients after ACS.

중국 남자 대학생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에이즈에 대한 낙관적 편견, 콘돔 사용의 관계 (Correlations of AIDS Knowledge, Self-esteem, Sense of Control, Optimistic Bias toward AIDS, and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 권수영;이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77-288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에이즈에 대한 낙관적 편견, 콘돔 사용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중국 두 개 성(省) 도시의 종합대학교의 1학년부터 4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307명을 편의표집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 ANOVA,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중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감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이즈 지식 점수는 73점이었다.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점수도 각각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과 연령에 따른 집단 간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에이즈에 대한 낙관적 편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에이즈 지식, 낙관적 편견, 콘돔 사용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차후 중국 문화의 맥락 안에서 콘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수에 대한 다양한 집단의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upon Role Performances among Healthcare Service Customers

  • Lee, Jung-Ki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9-34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 psychological concept enhances healthcare users' service experience. Specifically, the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examines a model of perceived control in which the user's sense of control is postulated as exerting positive influences upon his/her motivation,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his/her role as a patient, and satisfaction with his/her medical service experience.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by a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adults nineteen years or older who had visited a medical service institute at least once during the previous one-year period. For the test of the research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was used. Findings - Findings of this study denote a unique insight into the users' comprehension of medical service experiences and their behaviors. First, the concept of perceived control is identified as a factor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individuals' medical service experiences. A sense of control directly influences medical users' self-efficacy to comply with doctor's recommendations, their motivation to comply with doctor's recommendation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 experience. Second, one's perceived self-efficacy is found to exert positive influences upon both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ird, one's motivation to comply with the doctor's recommendation is foun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upon one's satisfaction. Additionally, perceived control is found to exert an indirect influence upon medical service users'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both self-efficacy and motivation. Research Implicat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perception of control among medial service users enhances their service experience as patients. The main thrus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healthcare practitioners to consider implementing service encounter strategies that purposefully enhance the sense of control among their patients. The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ontrol,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mong medical service customers should also serve as a meaningful seed for further research pursu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