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le disease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41초

중풍(中風)의 치법(治法) 중(中) 평간법(平肝法)에 대(對)한 고찰(考察) (The Study on the Therapy of Pinggan with Apoplexy)

  • 김기열;김종대;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6-47
    • /
    • 1997
  • We had studied about the therapy of pinggan with apoplexy and the rusult were obtaind as follows. 1. The therapy of Pinggan is based on Treatise on Exogenous Febrile Diseases(傷寒論)'s ShaoyaoGancaoTang(芍藥甘草湯) on the ground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2. Ye Tianshi(葉天士) theorized about the therapy of Pinggan. It was that the internal wind theory combind the theory of that liver and kidney having the same origin. He said that 'Through mild the liver, we calm down the liver to stop the wind, and nourish the kidney and then removed heat'. 3. The prodomal stage was treated by prescription of Ziyin-Huoxue-Xifeng(滋陰活血熄風方), WendanTang(溫膽湯), TianmaGoutongYin(天麻鉤藤飮) and ZhenganXifengTang(鎭肝熄風湯). and The therapy has been used to the symptoms of deficiendy of liver-yin and kidney-yin and psycotic symptoms In convalescence. The prescription of ZhenganXifengTang(鎭肝熄風湯), TianmaGoutongYin(天麻鉤藤飮), and DighuangYinzi(地黃飮子) waked well. 4. Internal cerebral hemorrhage, cerebral infarction, movement disorder and senile dementia were treated by the therapy of pinggan, for the action of hypotensor, lipolysis, ataralgesia, defervesence. 5. The medicines of Pinggan-Xifeng like Gastrodiae Rhizoma, Uncariae Ramulus Et Uncus, Scorpio, Bornbyx Batryticatus, Scolopendra, Saigae Tataricae Cornu, and Pinggan-qianyang like Haernatitum, Ostreae Concha, Margaritifera Usta Concha, Eretmochelyos Carapax, Tribuli Fructus were usually used.

  • PDF

파킨슨병 조기 진단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 개발 (Android Smart Phone App for early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 문호상;노승재;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45-152
    • /
    • 2019
  • 파킨슨병은 3대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이 진행될수록 시간적·경제적인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병의 진행정도를 파악하는 것과 초기에 진단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을 조기 진단(Pre-Screening)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들은 탭핑(Tapping), 떨림(Tremor), 나선형 그리기(Spiral Drawing), 보행(Ga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의 Part III(운동성 검사)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파킨슨병의 운동성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서동증(Bradykinesia), 진전(Tremor),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에 대한 정량적인 진단이 가능하며, 증상의 진행 정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파킨슨병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역 추출물과 알긴산의 근육손실 억제 효능 (Undaria pinnatifida Extracts and Alginic Acid Attenuated Muscle Atrophy in TNF-α Induced Myoblast Cells through MAFbx Signaling Cascade)

  • 최상윤;김미나;이현희;허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3
    • /
    • 2021
  • 근육 위축증은 근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근육세포의 감소에 의해 일어나며 심장질환, 당뇨,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역 추출물 및 이의 성분인 알긴산의 근육세포보호, 근육감소억제 및 근육재생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분화된 C2C12 myoblast 세포에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육섬유의 감소가 억제하였고murf1과 MaFbx의 발현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마우스에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10주간 급여한 결과 cardiotoxin에 의한 다리부종이 감소하였으며 근육단백질인 MyHC와 PGC-1α의 발현량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은 근감소 억제 및 근육재생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라북도민 건강증진을 위한 요양병원 재활서비스 현황 (Current Status of Rehabilitation Servic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Health Promotion of Jeollabuk-do Residents)

  • 조승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99-206
    • /
    • 2021
  • 초고령 사회가 임박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시설과 정책의 부족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보장의 현실적 대안으로 국민건강보험이 이야기되고 있으며, 요양병원은 급성기 병원과 장기요양시설 사이로 분류되며 의료비 절감의 대체재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지기 재활의 핵심인 요양병원은 서비스의 질적 문제가 심각히 제기되고 있고, 현 의료체계의 문제로 재활 난민이 양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2015년 선행연구에서 전라북도의 요양병원 현황이 가장 열악하였으며 이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라북도 요양병원 일반현황, 다빈도 상병 현황, 재활서비스 관련 현황, 재활서비스 중 작업치료 관련 현황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맥파전달속도(PWV)와 말초체열분포(DITI)와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 이윤재;조정훈;이창훈;이진무;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31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Methods: When it comes to senile patients who suffer from cold limbs, there is need to see whether or not the patient's low temperature of the limbs is do to arteriosclerosis. The Pulse Wave Velocity(PWV) is a non-invasive method measuring the artery's rigidness. And the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D.I.T.I) is a non-invasive method to see the body's thermal change. Research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artery's rigidness and body's thermal distribution was done by using these two tes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patients between the age 40~65 who have done both the D.I.T.I and PWV in March 2005~ September 2005. They had to have no history of diabetes, coronary illnesses or cerebrovascular diseases which are diseases that can effect the outcome of the PVW, nor history of spondylopathy or dermatosis which can effect the outcome of the D.I.T.I.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wrist-palm. 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wrist-palm. 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thigh-dorsum of foot. 4.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eft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thigh-dorsum of foot. 5. The right ABI showed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ight wrist-palm and the right thigh-dorsum of foot. 6. The left ABI showed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left wrist-palm and the left thigh-dorsum of foot.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wrist-ankle PWV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wrist-palm.

  • PDF

Severe Endobronchial Inflammation Induced by Aspiration of a Ferrous Sulfate Tablet

  • Lim, Sang Youn;Sohn, Sung Birm;Lee, Jung Min;Lee, Ji Ae;Chung, Sangmi;Kim, Junga;Choi, Juwhan;Kim, Sehwa;Yoo, Ah Young;Roh, Jong Ah;Park, Haein;Kim, Won Shik;Sim, Jae Kyeom;Shim, Jae Jeong;Min, Kyung H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9권1호
    • /
    • pp.37-41
    • /
    • 2016
  • Iron supplements such as ferrous sulfate tablets are usually used to treat iron-deficiency anemia in some elderly patients with primary neurologic disorders or decreased gag reflexes due to stroke, senile dementia, or parkinsonism. While the aspiration of ferrous sulfate is rarely reported, it is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ndition that can lead to airway necrosis and bronchial stenosis. A detailed history and high suspicion of aspiration are required to avoid delays in diagnosis and treatment. The diagnosis can be confirmed by bronchoscopic examination and a tissue biopsy. Early removal of the aspirated tablet prevents acute complications, such as bronchial necrosis, hemoptysis, and lobar consolidation. Tablet removal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late bronchial stenosis. We presented the first case in Korea of a ferrous sulfate tablet aspiration that induced severe endobronchial inflammation.

한국농촌의학회지(韓國農村醫學會誌)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분류 및 연구동향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Research Trends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 위유미;김석일;박향;류소연;박종;김기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31-244
    • /
    • 2000
  • 한국농촌의학회지 창간호(1976년 발행)부터 24권2호(1999년 발행)까지 총 3호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4호에 게재된 전체논문수는 337편이었고 이중 원저논문수는 240편(71.2%)이었다. 원저논문은 1970년대에 13편, 1980년대에 73편, 1990년대에 154편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2. 원저논문 240편의 저자수는 1명에서 10명까지였고 3인인 경우가 55편(22.9%)으로 가장 높았다. 공동저자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냈다. 연구기관수는 l개에서 5개까지였고 단일기관인 경우가 106편(44.2%)으로 가장 높았다. 1990년대에 오면서 3개이상의 연구기관들이 공동연구하는 양상을 뚜렷이 나타냈다. 3. 게재논문의 사용언어는 97.5%가 한글로 기술되었으며, 영어논문은 2.5%이었다. 원저논문에 연구비를 받았다고 표시된 논문은 24편(10.0%)이었다. 4. 원저논문의 연구영역별 분류에 의하면 보건 관리에 관한 논문이 105편(43.8%), 질병역학 연구논문이 96편(40.0%),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 질환분야는 39편(16.3%)으로 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질병역학 12편(92.3%), 보건관리 1편((7.7%)이었다. 1980년대에는 질병역학 33편(45.2%), 보건관리 29편(39.7%),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11편(15.1%)이었다. 1990년대에는 보건관리 75편(48.7%)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역학 51편(33.1%), 농촌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28편 (18.2%) 순이었다. 5. 각 영역별 연구주제별 분류에 의하면 농촌 환경 및 농민의 직업성질환 논문 39편중 농약중독 8편(20.5%)으로 가장 많았고 농부증, 비닐하우스증에 관한 논문은 각각 7편(17.9%), 사고손상 및 기타중독 6편(15.4%) 순이었다. 질병역학 논문 96편중 기생충 56편(58.3%)으로 가장 많았고, 비감영성질환 16편(16.7%), 감염성질환 12편(12.5%)순이었다. 보건관리 논문 105편중 의료이용행태 25편(23.8%)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18편(17.1%), 모자보건 13편(12.4%)순이었다. 연대별 다빈도 10순위 연구주제별 분포에 의하면 1970년대에는 기생충 6편(46.2%), 비감염성질환 4편(30.8%)순이었다. 1980년대에는 기생충 28편(38.4%)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체계 9편(12.3%), 의료이용행태 7편(9.6%), 모자보건 5편(6.8%), 농약중독 4편(5.5% )순이었다. 1990년대에는 기생충 22편(14.3%), 의료이용행태 18편(11.7%), 노인보건 16편(10.4%), 보건의료체계 14편(9.1%), 감염성질환 10편(6.5%), 비감염성질환 10편(6.5%) 순이었다. 6. 원저논문의 연구설계방법은 분석적연구 115편(47.9%), 기술적연구 92편(38.3%), 실험적 연구 21편(9.2%), 증례보고 6편(2.5%)순이었다. 1970년대에는 기술적연구 13편(100%)이고, 1980년대에는 기술적 연구 47편(64.4%), 분석적연구 19편(26.0%)이었으며, 1990년대에는 분석적연구 96편(62.8%), 기술적연구 32편(20.9%)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으로는 3개 연구영역 모두 지술적통계량을 모든 논문에 시도하였고, ${\chi}^2$-검정, t-검정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농촌의학회지에 원저 논문의 게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저자수 및 연구기관수도 1990년대에 들어 증가하여 농촌의 보건의료에 관한 연구가 계속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영역을 분석한 결과 보건관리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는데 1970, 1980년대에 질병역학 논문이 가장 많았지만 1990년대에 와서 보건관리 논문이 급증한데 기인한다.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1970, 1980, 1990년대 공히 질병역학 영역에 속한 기생충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아서 그동안 우리나라 농촌에 기생충 문제가 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영 할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앞으로 의료 이용행태, 노인보건 등 보건관리에 관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Labor Human Rights for Care Workers)

  • 전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4-242
    • /
    • 2013
  •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요양비용을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부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노인 및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를 실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제도가 마련되었다. 요양보호사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시설에서 돌보거나 또는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을 방문하여 보호활동을 벌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임금, 포괄임금의 남용, 장기간 근로, 인력배치기준 및 휴게시설 미비, 요양보호서비스 이외의 노무제공, 수급자에 의한 성희롱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인권의 측면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해본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과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그리고 수급자의 인식 개선 등을 통해 바로잡는다면 더 나은 노동환경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작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ADL 기능증진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Demented Elderly : Centered on the Improvement of the cognition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 이진주;전은석;박성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49
    • /
    • 2002
  • Nowadays senile dementia is on the rise as consequence of serious social problem because of it is old aged society by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However remedial approach is not being done because of we still don't have an infallible cure of dementia and dementia is been hard to cure. Thus it is introduced in this study to the concept of Occupational therapy, which is one of the remedies. I tried to find out which remedy is the best to cure demented elderly and which is been able to use on field. For this study, I applied a develop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 actual practice. First, I chose nine demented elderly who are lived in 'David's house' located in Daejon metropolitan city, and I separated them in three groups for this study. Second, I applied each Occupational therapy to first and second group, and I did not apply any Occupational therapy to third group. The first and second group was applied the program, two times a week for an hour, for three months.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function was practiced five times - one time before applying the Occupational therapy by MMSE-K, and three times during applying the program, and one time after ending of the program. The measurement of ADL was practiced two times - one time before applying the Occupational therapy by the Barthel ADL, and one time after one month from ending the program.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re proved because of this study shows the Occupational therapy keeps well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ADL function of demented elderly, improves those functions, affects positively to the whole life. However we must develop Occupational therapy, which is proper to a trait of character, and expanded application is needed. In addition, temporary remedy must not be performed but continuous cure. This study will be complement by studying about special situation researcher cannot control something like unexpected death of demented elderly by other diseases.

  • PDF

2000년대 치주처치의 전략 (Periodontal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future in Korea)

  • 정현주;손성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533-547
    • /
    • 1997
  •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치주과학 영역에서도 1960년 이후 1980년대에 걸쳐 괄목할 만한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1990년에는 이에 의거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조절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래의 치주처치전략은 대상 지역의 특성과 보건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기에서는 한국내 치주치료요구도와 치주치료 담당 일반치과의와 치주전문의의 수, 처치 내용에 대해 점검하고 현재의 치주처치 추세를 검토한 후 향후의 치료전략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1980년도 역학조사에 의하면 전체 인구의 82%가 치주질환(치은염+치주염), 35세 성인 인구의 30-40%가량이 치주염에 이환되어 있고 15세 청소년 인구중 0.1%가 유년형치주염에 이환되고 있다.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65세 이상의 노년층도 전인구의 6%(성인 50%), 2000년도에는 6.9%(성인 52%)로 증가하고 치아보유율도 증가하므로 치주질환 치료요구도는 상승하리라 전망된다. 현재 한국내 치주전공 과정을 거친 치과의사는 약 780인 정도이다, 1996년 류의 연구에 의하면 이들도 대부분 일반치과의(개원의, 공증보건의 포함)로서 진료하고 있으며 의료보험하에서의 치주치료의 비중은 매우 낮다(4.66%). 포괄적 치주적 검사도 보편적이지 않고 대학병원급의 극히 일부에서만 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의 치주질환이 처치전략에는 의료보험 운용시 치주적 배려와 간편한 치주검사과정을 통한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 진행기질환 및 난치성질환자의 치주전문으로의 의뢰가 포함될 것이며 각 환자에게는 개별적이며 임상시험 결과에 근거하는 evidence-based approach에 의한 치료선정 과정이 활용되리라 전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