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conductor storage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반도체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기법 (An Efficient Storing Scheme of Real-time Large Data to improve Semiconductor Process Productivities)

  • 정원일;김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207-3212
    • /
    • 2009
  • 반도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인 자동 생산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자동화 생산 관리 시스템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기존의 저장 관리 시스템으로 오라클, MY-SQL, MS-SQL 등의 디스크 기반 DBMS가 있다. 하지만 기존의 디스크 기반 DBMS는 반도체 장비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저비용으로 실시간 저장하기 위해 블록 단위 삽입 트랜잭션을 이용한 압축-합병 저장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블록 단위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며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합병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디스크 공간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공정에서 빠르게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기존 DBMS보다 빠르게 저장이 가능하고 저장 공간 비용을 감소시킨다.

블록 단위 트랜잭션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저장관리기 (Real time Storage Manager to store very large datausing block transaction)

  • 백성하;이동욱;어상훈;정원일;김경배;오영환;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2
    • /
    • 2008
  • 초당 최소 5만 건에서 50만 건이 넘는 삽입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반도체 자동 생산 공정 시스템은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관리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많은 저장관리시스템이 연구되었다. 기존의 저장관리시스템은 대표적으로 전형적인 디스크 기반 DBMS가 있다. 그러나 디스크 기반 DBMS는 초당 50만 건의 삽입트랜잭션 처리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디스크 기반 DBMS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디스크가 아닌 메인메모리를사용하는 메인메모리 DBMS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메인메모리 DBMS는 메인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초당 5만 건 이상의 삽입트랜잭션을 지원하고 대용량 데이터를 저비용으로 저장하기 위해 블록단위의 삽입 트랜잭션을 사용한 저장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블록단위의 삽입 트랜잭션은 개별 튜플 단위의 로그기록 비용과 인덱스 생성비용을 블록단위로 변경시켜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시스템은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여 저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법은 데이터의 필드정보가 유실되어 모든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비용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시스템은 압축 시 압축되는 블록의 인덱스를 생성하여 데이터 검색 속도를 향상시켰다. 본 제안시스템은 반도체 공정에서 빠르게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저장할 수 있고, 디스크 저 장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SSD를 위한 최적화 파일시스템 (An Optimized File System for SSD)

  • 박제호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2
    • /
    • 2010
  • Recently increasing application of flash memory in mobile and ubiquitous related devices is due to its non-volatility, fast response time, shock resistance and low power consumption. Following this trend, SSD(Solid State Disk) using multiple flash chips, instead of hard-drive based storage system, started to widely used for its advantageous features. However, flash memory based storage subsystem should resolve the performance bottleneck for writing in perspective of speed and lifetime according to its disadvantageous physical property. In order to provide tangible performance, solutions are studied in aspect of reclaiming of invalid regions by decreasing the number of erasures and distributing the erasures uniformly over the whole memory space as much as possible. In this paper, we study flash memory recycling algorithms with multiple management units and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feasible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partitions of the memory space by utilizing threshold values and reconfigures the management units if necessar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olicies is evaluated through a number of simulation based experiments.

DGPS RTK와 서라운드 영상을 융합한 GIS 기반 스마트 관로정보 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a GIS-based Smart Pipel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bining DGPS RTK and Surround View)

  • 국중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5-129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sign and implement a smart pipel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visualization information linked to GIS and roadmap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precise pipeline buried information. The smart pipel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a positioning device for high-precision pipeline location measurement and surround view image data recording, a database for data storage and management, and a mobile app for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It connects surround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with GIS and roadmap.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of management can be improved.

  • PDF

OpenStack Swift 객체 스토리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메모리 어댑터 설계 (Hybrid Memory Adaptor for OpenStack Swift Object Storage)

  • 윤수경;나정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1-67
    • /
    • 2020
  • This paper is to propose a hybrid memory adaptor using next-generation nonvolatile memory devices such as phase-change memo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limitations of OpenStack-based object storage systems. The proposed system aim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ccount and container servers for object metadata management. For thi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locality-based dynamic page buffer, write buffer, and nonvolatile memory modul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the hit rate by 5.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병렬처리 기반 정지영상 인식자 생성 (Parallel Processing based Image Identifier Generation)

  • 고미은;박제호;박용범;서원택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0
    • /
    • 2017
  • Recent enhancement in the still image acquisition devices has been widely perpetrated into the daily life of the common people. Due to this trend, the voluminous still images, that are produced and shared in the personal or the massive storage, need to controlled with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The human-devised or system-generated still image identifier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images are at risk in the situation of unexpected changing or eliminating of the identifi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llel processing based method for still image identifier generation by utilizing the still image internal features.

  • PDF

대용량 데이터스트림 실시간 압축 저장을 위한 저장관리자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orage Manager for Real-Time Compressed Storing of Large Volume Datastream)

  •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1-39
    • /
    • 2009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스트림의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안, 공장 자동화 기기설비 관리 등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스트림은 대용량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특화된 DSMS의 저장관리자의 개발이 요구된다. Coral8과 같은 기존의 DSMS의 경우 일반적인 데이터스트림의 처리가 가능 하지만 초당 10만 건 이상의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스트림이 발생하는 특수한 상황의 경우 이에 대한 처리 성능이 부족하며, 이에 대한 저장이 불가능하다. 관련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라클10g의 경우 저장, 관리 성능은 우수하지만 실시간 데이터스트림 처리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HP 등에 반도체, LCD 제조공장의 생산 기계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스트림을 실시간 압축 저장이 가능한 DSMS 저장관리자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문에서는 시스템의 구조 및 주요 컴포넌트에 대해 설명하며, 관련시스템과 비교 평가를 통해 제안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낸드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의 피크 전류 모델링을 이용한 전력 최적화 기법 연구 (Power Optimization Method Using Peak Current Modeling for NAND Flash-based Storage Devices)

  • 원삼규;정의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호
    • /
    • pp.43-50
    • /
    • 2016
  • 낸드플래시 기반 저장장치는 성능 향상을 위해 다중 채널, 다중 웨이 구조를 통해 다수의 낸드 디바이스를 병렬 동작시키고 있다. 하지만 동시 동작하는 낸드 디바이스의 수가 늘어나면서 전력 소모 문제가 가시화되었으며, 특히 디바이스 간 복수의 피크 전류가 서로 중첩되면서 높은 전력소모로 인해 데이터 신뢰성과 시스템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낸드 디바이스에서 지우기, 쓰기, 읽기 동작에 대한 전류 파형을 측정, 이를 프로파일링하여 피크 전류에 대한 정의와 모델링을 진행하였고, 나아가 다수의 낸드에서 피크 전류 중첩 확률을 계산한다. 또한 시스템 수준의 TLM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주입하여 피크 전류 중첩 현상을 분석 한다. 본 실험 결과에서는 낸드간 피크 중첩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간단한 전력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피크 전류 중첩과 시스템 성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성능 저하 최소화를 위한 피크 중첩 비율을 제시하였다.

상태기반 RFID 인증 프로토콜 (Status-Based RFID Authentication Protocol)

  • 유성호;김기현;황용호;이필중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7-68
    • /
    • 2004
  • 근래에,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시스템은 생산, 공급망관리, 재고관리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반한 기술로서 산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저렴한 가격의 RFID 태그나 스마트 라벨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바코트 대신 상품관리에 활용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작고 값싼 RFID태그의 생산과,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안전한 인증프로토콜의 개발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태그의 계산과 저장능력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기존 다른 시스템에 적용되던 암호시스템의 적용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므로 RFID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더 작은 저장 공간과 더 작은 계산량이 소요되는 새로운 프로토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트래킹 공격과 스푸핑 공격에 안전한 RFID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기존 인증프로토콜보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계산랑이 상당히 감소하였으므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자공학 및 전자기술의 역사, 현황 그리고 미래 (The history,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 of electronics and electronic technologies)

  • 조규심
    • 기술사
    • /
    • 제24권6호
    • /
    • pp.106-112
    • /
    • 1991
  • Electronics has different meanings to different people and in different countries. Hence, let me difine the term in the sense that it is used here. Electronics in the science and the technology of the passage of charged particles in a gas, in a vacumn, or in a semiconductor. The beginning of electronics came in 1895 when H. A. Lorentz postulated the existence of discrete charges called electrons. Two years later J.J. Thompson found these electrons experimentally. In the same year (1897) Braun built what was probaly the first electron tube, essentially a primitive cathode-ray tube. It was not until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that electronics began to take technological shape. In 1904 Fleming invented the diode which he called a valve. This era begins with the invention of the transistor about 30 years ago. The history of this invention is interesting. M.J. Kelly, director of research(and later president of Bell Laboratories), had the foresight to realize that the telephone system needed electronic switching and better amplifiers. Vacuum tubes were not very reliable, principally because they generated a great deal of heat even when they were not being used, and, particularly, because filaments burned out and the tubes had to be replaced. In 1945 a solid-state physics group wa formed. The foregoing completes the history of electronics and electronic industries up to 1978. There is already a start toward a merging of the computer and the communication industries which might be called information manipulation. This includes storage of information, sorting, comput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transmission of data. This combination of the computer and the communication fields will penetrate many disciplines. Applications will be made in the fields of law, medicine, biological sciences, engineering, library services publishing banking, reservation systems, management control, education, and defe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