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antic analysis

검색결과 1,355건 처리시간 0.029초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An Comparative Study of Articulation on Science Textbook Concepts and Extracted Concepts in Learning Objectiv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 on Life Science Domain -)

  • 김영신;권형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77-387
    • /
    • 2016
  • Whether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the curriculum content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issu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extbooks did not analyze the relationship described in the textbooks or the stru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life science area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linked. In addition, it seeks to analyze how the concept presented in the learning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is connected to other concepts. Towards this end, the conceptual linkage of eight units in the life science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domain in th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he semantic network on the concept linked to the one described in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ill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emantic network resulting from a number of concepts. 2) The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re not faithful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3) The textbook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specific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concepts described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needs to be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concepts can be meaningfully linked to each other.

RESTful 웹 서비스에서 시맨틱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및 패턴 분석 기법 (Clustering and Pattern Analysis for Building Semantic Ontologies in RESTful Web Services)

  • 이용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9-133
    • /
    • 2011
  • 웹 2.0의 등장과 함께 RESTful 웹 서비스의 활용이 전통적인 SOAP 기반 웹 서비스에 비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최근 웹상에 이용 가능한 RESTful 웹 서비스들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적합한 웹 서비스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 방법은 나쁜 재현율과 나쁜 정확률 때문에 문제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연관규칙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에 패턴 기반 시맨틱 분석 기법을 추가한 하나의 새로운 시맨틱 온톨로지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온톨로지를 자동 구축하여 시맨틱 정보의 주석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웹 서비스 검색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ProgrammableWeb 사이트로부터 168개의 RESTful 웹 서비스를 다운로드 받아 실험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 방법에 비해 재현율과 정확률 두 측면에서 각각 35%, 18%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대규모 말뭉치와 전산 언어 사전을 이용한 의미역 결정 규칙의 구축 (Rule Construction for Determination of Thematic Roles by Using Large Corpora and Computational Dictionaries)

  • 강신재;박정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219-228
    • /
    • 2003
  • 본 논문은 한국어정보처리 과정에서 구문 관계를 의미역으로 사상시키기 위한 규칙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의미역의 결정은 의미 분석의 핵심 작업 중 하나이며 자연어처리에서 해결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언어학 지식과 경험만 가지고 의미역 결정 규칙을 기술하는 것은 작업자의 주관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 모든 경우를 다룰 수 있는 규칙의 구축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대량의 원시 말뭉치를 분석하여 실제 언어의 다양한 사용례를 반영하며, 또 수십 명의 한국어 학자들이 심도 있게 구축하고 있는 세종전자사전의 격틀 정보도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의미역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구문관계, 의미부류, 형태소 정보, 이중주어의 위치정보 등의 자질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의미부류의 사용으로 인해 규칙의 적용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시맨틱 서비스 플랫폼상에서의 신뢰성 비교 평가 (Comparative Reliability Evaluation on Semantic Service Platforms)

  • 정한민;이미경;류범종;김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105-109
    • /
    • 2010
  • 정보화 사회 핵심 인프라인 웹 상에서 수많은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차세대 웹이라 일컫는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한 시맨틱 서비스는 그 숫자나 서비스 제공 범위에 대한 공감대에 있어서 아직 성숙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2개의 시맨틱 서비스들의 동일한 세 가지 기능들을 비교 평가하는 방식으로 시맨틱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신뢰성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인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교 대상 시스템의 신뢰성 측정을 위해, 피실험자의 기대-결과 신뢰성과 작업 정확도 측정이 관찰자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기능적 신뢰성과 정보 신뢰성 스칼라 값(0~5)을 피실험자 스스로 벡터 그래프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관찰자에 의한 평가 값과 피실험자에 의한 평가 값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 주었으며, 서비스된 정보의 정확성과 작업 수행의 만족성이 사용자 관점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는 시맨틱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적 신뢰성과 기능 수행의 결과로 서비스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정보 시스템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필수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뢰성은 시맨틱 정보 서비스에서 사용상 품질 (Quality in Use)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사용상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실증하였다.

Connectivity Effects and Questions as Specificational Subjects

  • Yoo, Eun-Jung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0권2호
    • /
    • pp.21-45
    • /
    • 2006
  • Connectivity effects have been central issues in dealing with specificational pseudoclefts. While syntactic approaches motivate their analysis in order to explain connectivity effects in terms of a connected clause, these accounts have numerous problems including a wide range of anti-connectivity effects that constitute crucial counterevidence. On the other hand, semantic accounts of connectivity effects treat BV and BT connectivity by independent interpretive mechanisms providing a more fundamental explanation for connectivity effects. Yet existing semantic accounts have limitations in explaining syntactic properties and syntactic connectivity effects in SPCs, and in accounting for BV anti-connectivity effects in English. Focusing on BV connectivit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relevant (anti-)connectivity facts can be accounted for by an analysis that provides both an elaborate syntactic analysis of SPCs and a semantic mechanism for bound anaphora. Based on Yoo's (2005) non-deletion based, question-answer pair analysis of SPCs, this paper shows that a functional question analysis of a specificational subject, when combined with a theory of operator scope and a non-configurational condition on bound anaphora, can explain various BV (anti-)connectivity patterns in SPCs and related constructions.

  • PDF

사람의 신체에 대한 러시아어 슬랭의 의미론적 분석 (A Semantic Analysis of Human Body Russian Slang)

  • 김성완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241-262
    • /
    • 2013
  • In this study, we select and analyze the slang that is represented in Elistratov's "Dictionary of Russian slang". Through the above analysis, som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as a social and psychological phenomenon appears universal in all languages, the study of slang generates strict criteria for the analysis. Unlike literary language, listed in the dictionary slang expressions can become obsolete for their short period of usage by native speakers. Therefore, in the following research of the actual data, we have to validate words targeted for analysi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taphor for the most part studied rather than metonymy. The semantic derivations as a result of metonymy are used very frequently in real life. But in this study we mainly analyze words, therefore the number of words was less in metonymy than was expected. Third, the basic types of metaphor are appeared as similarity by form, function, and location, and there are varieties of intervening of subjectivity in similarity of emotional impression. Fourth, the metonymy is divided into three cases: the part meaning the whole, the whole meaning the part, and some thing meaning the reality of where it exists. Fifth,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slang as the 'transitional process' is the most active way of development of new meanings, and there are two methods to transfer main meaning to second meaning.

영한 기계 번역에서 미가공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대역어 선택 중의성 해소 (Target Word Selection Disambiguation using Untagged Text Data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 김유섭;장정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749-75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미가공 말뭉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대역어 선택 시 발생하는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은닉 의미 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 : LSA)과 확률적 은닉 의미 분석(Probabilistic LSA : PLSA)을 적용한다. 이 두 기법은 텍스트 문단과 같은 문맥 정보가 주어졌을 때, 이 문맥이 내포하고 있는 복잡한 의미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사용하여 언어적인 의미 지식(Semantic Knowledge)을 구축하였으며 이 지식은 결국 영한 기계번역에서의 대역어 선택 시 발생하는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어간 의미 유사도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대역어 선택을 위해서는 미리 사전에 저장된 문법 관계를 활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역어 선택 시 발생하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k-최근점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리고 위의 두 모델을 활용하여 k-최근점 학습에서 필요한 예제 간 거리를 추정하였다. 실험에서는, 두 기법에서의 은닉 의미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TREC 데이터(AP news)론 활용하였고, 대역어 선택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Wall Street Journal 말뭉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은닉 의미 분석을 통하여 대역어 선택의 정확성이 디폴트 의미 선택과 비교하여 약 10% 향상되었으며 PLSA가 LSA보다 근소하게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은닉 공간에서의 축소된 벡터의 차원수와 k-최근점 학습에서의 k값이 대역어 선택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역어 선택 정확도와의 상관관계를 계산함으로써 검증하였다.젝트의 성격에 맞도록 필요한 조정만을 통하여 품질보증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다. 개발 된 패키지의 효율적인 활용이 내조직의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구축에 투입되는 공수 및 어려움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도가 증가할 때 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은 $1.6182{\sim}2.0543$,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은 $1.7057{\sim}2.1462{\times}10^7\;J/kg{\cdot}mo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과 혼합구기자 열수 추출 농축액의 리올리지적 특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security simultaneously.% 첨가시 pH 5.0, 7.0 및 8.0에서 각각 대조구의 57, 413 및 315% 증진되었다. 거품의 열안정성은 15분 whipping시, pH 4.0(대조구, 30.2%) 및 5.0(대조구, 23.7%)에서 각각 $0{\sim}38.0$$0{\sim}57.0%$이었고 pH 7.0(대조구, 39.6%) 및 8.0(대조구, 43.6%)에서 각각 $0{\sim}59.4$$36.6{\sim}58.4%$이었으며 sodium alginate 첨가시가 가장 양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거품안정성이 높은 것은 열안정성도 높은 경향이며, 표면장력이 낮으면 거품형성능이 높아지고, 비점도가 높으면 거품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rotocol.eractions between application agents that are developed using different

A Semantic Network Approach to PPO (Products, Processes, Organizations/Resources) Modeling for PDM Systems

  • Hyo-Won Suh;Heejung Lee;Seungchul Ha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38-246
    • /
    • 1999
  • The modeling method to suppor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PDP) must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ability to represent multiple viewpoints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integrate with currently available analysis and design methods based on CE concept. This paper describes the reference model to support multiple viewpoints (PPO: Products, Processes, and Organizations/Resources viewpoints)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from which each model (Products model, Processes model, and Organizations/Resources model) can be extracted, as well as produces PPO data schema. This reference model has associative relationships among the products, processes, and organizations/resources. To allow the extensibility to support design evolution, we propose structured dat representation methods using semantic network, which can be constructed through first-order logic.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is so represented by specifying entities and semantic relationships among them hat he appropriate information can be accessed and all of the relevant attributes about the entities can be retrieved simultaneously.

  • PDF

Case Frames of the Old English Impersnal Cnstruction: Conceptual Semantic Analysis

  • Jun, Jong-Sup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9권2호
    • /
    • pp.107-126
    • /
    • 2005
  • The impersonal or psyc-predicate construction in Old English (=OE) poses a special challenge for most case theories in generative linguistics. In the OE impersonal construction, the experiencer argument is marked by dative, accusative, or nominative, whereas the theme is marked by nominative, genitive, or accusative, or by a PP. The combinations of possible cases for experiencer and theme are not random, bringing about daunting complexity for possible and impossible case frames. In this paper, I develop a conceptual semantic case theory (a la Jackendoff 1990, 1997, 2002; Yip, Maling, and Jackendoff 1987) to provide a unified account for the complicated case frames of the OE impersonal construction. In the conceptual semantic case theory, syntax and semantics have their own independent case assignment principles. For impersonal verbs in OE, I propose that UG leave an option of determining either syntactic or semantic case to lexical items. This proposal opens a new window for the OE impersonal construction, in that it naturally explains both possible and impossible case frames of the construction.

  • PDF

단어의 자동번역을 위한 의미 네트워크의 통합 지식베이스 (Integrated Knowledge Bases of Semantic Networks for Automatic Translation of Ambiguous Words)

  • Yoo-Jin Moon;Young-Ho Hwa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9권2호
    • /
    • pp.71-80
    • /
    • 2002
  • Automatic language translation has greatly advanced due to the increased user needs and Information retrieval in WWW. This paper utilizes the integrated knowledge bases of noun and verb networks for automatic translation of ambiguous words in the Korean sentences, through the selectional restriction relation in the sentences. And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to verify validity of Korean noun semantic networks that a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lectional restriction relation by applying the networks to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Integration of Korean Noun Networks into the SENKOV system will provide the accurate and efficient knowledge bases for the semantic analysis of Korean NL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