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ated depress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경남 일부 대학생들의 주관적인 건강인식이 식습관, 식행동,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and Stress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 박경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2권4호
    • /
    • pp.272-2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habits, depression, stress, satisfaction of body weight, mini-dietary assessment (MDA) an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among 255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19.0). The average ages of the subjects were 21.1 years. Participants were asked their self-rated health and 109, 105 and 41 students answered themselves as "healthy", "normal" and "unhealthy", respectively. The pocket money (P<0.05) was related with self-rated health, and meal frequency (P<0.01) of health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healthy group. The self-reported depression level (P<0.01) and the score of depression (P<0.05) of the healthy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unhealthy group. The self-reported stress level of the healthy group (P<0.0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healthy group. The scores of nutritional behavior (P<0.05) and MDA (P<0.01) of the healthy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healthy group. The scores for intakes of meat, fish, egg or beans, cereals and vegetables except kimchi, fruits, balanced diet and various foods were higher in the healthy group than in the unhealthy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pocket money, high meal frequency, low depression, satisfaction of present body weight, and good dietary behavior might influence good perception of self-rated health.

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검증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손근호;김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73-484
    • /
    • 2022
  • 본 연구는 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단위의 조사자료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제5차연도 자료부터, 제6차연도, 제7차연도 자료까지 추적 조사에 모두 응답한 65세 이상 3,363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이후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이전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이후 시점의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기초해 노년기 초기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의 필요성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확대 시행 및 통합적 우울 관리 프로그램 시행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근로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ers in Korea: Multiple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ir Work Status)

  • 송인욱;원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49-35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근로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차년도 조사대상자 9,913명 중 1955년에서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2,479명이다. 연구방법은 각 변수들간의 경로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우울의 매개효과는 효과분해를 통해 직접 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주관적 건강,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로여부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자유 모델과 제약모델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가 자각하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고, 우울감은 낮아졌다. 그리고 우울감이 높은 베이비부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져, 우울이 주관적 건강상태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근로를 하는 베이비부머의 경우보다 높았다. 또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 모형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의 우울 감소를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근로활성화를 통해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관련 요인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Factors Related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Elderly - Analysis of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박경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4호
    • /
    • pp.344-36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habits, chronic diseases,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group aged over 65 years by analyz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survey data. A total of 1,510 subjects were analyz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KNHANES). Statistical analyses for complex sampl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19.0)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ealthy group vs. unhealthy group) based on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ercentage of the healthy group was 66.5%. Gender,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job (P<0.001, respectively), marital status, and basic living allowance (P<0.05,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lcohol consumption (P<0.01), aerobic physical activity, stress, quality of life, not feeling very well, depression and activity restriction (P<0.001, respectively) were also significant health-related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Blood glucose, anemia (P<0.05, respectively), and chewing problems (P<0.001) were significant chronic disease-related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dequate intakes of protein, dietary fiber, phosphorus, thiamin, niacin, vitamin C (P<0.001, respectively), calcium, sodium, potassium (P<0.01, respectively),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P<0.05, respectively) we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complex samp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P<0.01), stress level (P<0.05), depression (P<0.001), quality of life (P<0.001), not feeling very well (P<0.001), activity restriction (P<0.001), chewing problem (P<0.05), and adequate intake of iron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y restriction, mental health, adequate iron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lf-rat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Visual Impairment Severity

  • Jeon, Eunyoung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9-164
    • /
    • 2021
  • Purpose: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in individuals with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rough classification of such individuals into severe and mild visual impairment groups. Methods: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based study analyzed data from 563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 due to acquired causes who had been recruited in the 2017 Korean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ults: Individual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reported poorer self-rated health. Mild depression (p=.003), and low smartphone use (p=.045) were associated with poorer self-rated health in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self-rated health in those with mild visual impairment were comorbidities, low smartphone use (p=.006), needed health information (p=.020), unbalanced diet (p<.001), low weight (p=.024), and lack of health checkups (p=.001). Conclusion: Depression was found to be a predictor of poor self-rated health in individual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nursing and related healthcare intervention to lower depression in this specific population. Further, promoting social network building and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smartphones may serve to encourage appropriate health behavior in peopl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who have reduced mobility and health literacy.

독거노인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분석 (The Role of Poverty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 원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20-526
    • /
    • 2020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경험하는 빈곤이 이들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하였으며, 최종 모형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독거노인 1,093명이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빈곤, 사회참여,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STATA 15.0을 이용하여 각 경로에 대해 표준화된 계수를 구하고, 효과분해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은 독거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쳐, 빈곤독거노인이 비빈곤독거노인보다 우울감은 더 느끼고, 건강상태는 더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참여활동 중 종교모임, 친목모임, 여가문화스포츠모임에 활발히 참여하는 독거노인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우울감이 낮았다. 종교모임, 친목모임, 동창회모임의 참여도가 높은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좋았다. 친목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동창회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참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건강불평등 : 교육불평등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Health Inequalities among the Elderly : 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Between Educational Level Inequalities and Self-rated Health·Depression)

  • 김동배;유병선;이정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117-14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교육불평등에 따른 건강불평등(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는 강남구 노인복지욕구 실태조사이다. 본 자료는 2009년 7월 30일부터 8월 15일까지 강남구 22개 각 동에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총 631명의 자료가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변인간 가설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교육불평등은 노인의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교육불평등이 노인의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사회참여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사회참여 변인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노인의 교육불평등이 심할수록 건강불평등(주관적 건강상태, 우울)도 심화된다는 직접적인 경로와 함께, 교육불평등은 사회참여를 통해 더욱 심화된 건강불평등(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을 이끌어낸다는 간접적 경로를 검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에서 교육불평등이 건강불평등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실증 분석했다는 점과 교육불평등으로 인한 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으로 사회참여라는 개입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커니즘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Status

  • Min-Kyoung Kim;Sook-Jung 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113-12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에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제17차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2021년)를 활용하여 청소년 54,84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스트레스 및 우울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는 복합표본 χ2 test를 실시하였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더 건강하다고 하였고,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우울감 경험이 없는 학생이 주관적 건강감이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65세 이상 노인에서 우울증을 동반한 만성질환상태에 따른 자가 평가 건강수준 (Self-Rated Health of the Chronic Disease Patients with Depression in Aged over 65)

  • 이명진;손혜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46-257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질병상태를 정상, 만성질환, 우울증, 우울증을 동반한 만성질환의 4군으로 구분하여 질병상태에 따른 자가 평가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자가 평가 건강 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로 부산광역시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그 중 65세 이상 노인 2,549명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AS program(ver. 9.2)을 이용하여 ${\chi}^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복합표본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가 평가 건강수준이 만성질환과 우울증의 단일질환만을 가진 경우보다 만성질환에 우울증을 동반한 경우 매우 낮게 관찰되었고, 만성질환자의 우울증 동반율이 높았다. 질병 상태이외에 여자에서,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중등도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자가 평가 건강수준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우울증 관리를 연계한 사업 모형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적용할 것과 노인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서는 우선대상으로 취약계층과 여성을 고려하고, 운동 사업을 연계하는 것을 제안한다.

취약계층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 고영;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2,328 elderly over 65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e Visiting Health Care Center in J-gu of S-city from Apr. 2007 to Sep. 2008.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behavior and health status by nurse at the time of enroll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47.2% of the male subjects and 57.2% of the female subjects rated their health "poor".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actors affecting on Self-Rated Health. ADL,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diseases played a major role for men, whereas depression, IADL, the number of diseases, ADL, regular exercise and education played a major role for women. These factors explained $17{\sim}29%$ of variance in Self-Rated Health. Conclusion: Gender-specific programs for vulnerable elderly may b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programs to improve self-rated health of vulnerable eld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