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pruning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3초

규칙 제거 기능이 있는 자기구성 퍼지 시스템 (Self-Organizing Fuzzy Systems with Rule Pruning)

  • 이창욱;이평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03
  • In this paper a self-organizing fuzzy system with rule pruning is proposed. A conventional self-organizing fuzzy system having only rule generation has a drawback in generating many slightly different rules from the existing rules which results in increased computation time and slowly learning. The proposed self-organizing fuzzy system generates fuzzy rules based on input-output data and prunes redundant rules which are caused by parameter training. The proposed system has a simple structure but performs almost equivalent function to the conventional self-organizing fuzzy system. Also, this system has better learning speed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Simulation results on several numerical examples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 PDF

로봇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잔량 추정을 위한 신경망 프루닝 최적화 기법 (Optimized Network Pruning Method for Li-ion Batteries State-of-charge Estimation on Robot Embedded System)

  • 박동현;장희덕;장동의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88-92
    • /
    • 2023
  • Lithium-ion batteries are activ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field robots, drones, and electric vehicles due to their high energy efficiency, light weight, long life span, and low self-discharge rate. When using a lithium-ion battery in a field,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estimate the SoC (State of Charge) of batteries to prevent damage. In recent years, SoC estimation using data-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s has been in the spotlight,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deploy in the embedded board environment at the actual site because the computation is heavy and complex. To solve this problem, neural network lightening technologies such as network pruning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When pruning a neural network, the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which layer and how much pruning is perform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optimized pruning technique by improving the existing pruning method, and perform a comparative experiment to analyze the results.

인력고지톱을 이용한 가지치기 작업능률 (The Pruning Works Efficiency of Manual Pruning Saw)

  • 조구현;오재헌;박문섭;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47-51
    • /
    • 2008
  • 가지치기 작업은 보통 묘목의 식재 후 수고가 6 m 전후일 때 1차 작업을 실시하고 수고 12~13 m 전후일 때 2차 작업을 실시한다. 옹이가 없고 통직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도구나 기계에 의하여 가지치기 작업이 필요하다. 가지치기 작업방법에는 자동지타기를 이용하거나 동력 고지톱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지치기 작업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인력고지톱에 의한 가지치기작업을 조사하였다. 조사수종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수고는 10~16 m 내외로서 가지치기 후 지하고의 높이는 6.2~6.7 m 내외로서 인력고지톱에 의한 가지치기 작업능률은 4~6 m의 작업높이의 경우 1본당 소나무 3.46분, 잣나무 5.06분, 리기다소나무 4.44분이 소요되었고, 1일 작업능률은 소나무 104본, 잣나무 64본, 리기다소나무 81본으로 나타났다.

  • PDF

Molecular Cloning of a Pepper Gene that Is Homologous to SELF-PRUNING

  • Kim, Dong Hwan;Han, Myeong Suk;Cho, Hyun Wooh;Jo, Yeong Deuk;Cho, Myeong Cheoul;Kim, Byung-D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1호
    • /
    • pp.89-96
    • /
    • 2006
  •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inflorescences in plants are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for example, SELF-PRUNING (SP) in Solanum lycopersicum, TERMINAL FLOWER1 in Arabidopsis, CENTRORADIALIS in Antirrhinum, and CENTRORADIALIS-like gene in tobacco.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n indeterminate species in which shoots grow indefinitely. In this study, we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pepper SP-like gene (CaSP). RT-PCR revealed that the CaSP transcript accumulates to higher levels in floral buds than in other organs. Comparison of genomic DNA and cDNA sequences from indeterminate and determinate pepper plants revealed the insertion of a single base in the first exon of CaSP in the determinate pepper plants. CaSP is annotated in linkage group 8 (chromosome 6) of the SNU2 pepper genetic map and showed similar synteny to SP in tomato. Transgenic tobacco plants overexpressing CaSP displayed late-flowering phenotypes similar to the phenotypes caused by overexpression of CaSP orthologs in other plant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per CaSP is an ortholog of SP in tomato.

Performance Comparison of MISP-based MANET Strong DAD Protocol

  • Kim, Sang-Ch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9호
    • /
    • pp.3449-3467
    • /
    • 2015
  • A broadcast operation is the fundamental transmission technique in mobile ad-hoc networks (MANETs). Because a broadcast operation can cause a broadcast storm, only selected forwarding nodes have the right to rebroadcast a broadcast message among the one-hop and two-hop neighboring nodes of a sender. This paper proposes the maximum intersection self-pruning (MISP) algorithm to minimize broadcasting redundancy. Herein, an example is given to help describe the main concept of MISP and upper bounds of forward node have been derived based on induction. A simulation conducted demonstrated that when conventional blind flooding (BF), self-pruning (SP), an optimized link state routing (OLSR) multipoint relay (MPR) set, and dominant pruning (DP), are replaced with the MISP in executing Strong duplicate address detection (DAD), the performances in terms of the energy consumption, upper bounds of the number of forward nodes, and message complexity have been improved.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 reference to the link error probability, Pe, an enhancement was achieved by computing a proposed retransmission limit, S, for error recovery based on this probability. Retransmission limit control is critical fo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of MANET nodes operating with limited portable energy where Strong DAD reacts differently to link errors based on the operational procedures.

무선 Ad Hoc 망에서 영역 추정을 통한 ABP 브로드캐스트 기법 (Autonomous Broadcast Pruning Scheme using Coverage Estimation in Wireless Ad Hoc Network)

  • 배기찬;김남기;윤현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B호
    • /
    • pp.170-177
    • /
    • 2005
  • Ad-Hoc 망에서 브로드캐스트는 중복적인 패킷 재전송에 기인한 오버헤드가 매우 큰 작업이다. 따라서 재전송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기존 연구로 암묵적 혹은 명시적으로 주변 노드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패킷의 중복된 재전송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주기적으로 주변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하는 부가적인 오버헤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는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획득 가능한 정보만으로 패킷의 전파 영역 (Coverage Area)을 지역적으로 추정함으로써 패킷 재전송을 줄이는 실용적인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에서 추출할 수 있는 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노드 정보를 알기 위해서 전송되는 주기적인 패킷 전송 오버헤드를 제거할 수 있다.

A hybrid deep neural network compression approach enabling edge intelligence for data anomaly detection in smart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s

  • Tarutal Ghosh Mondal;Jau-Yu Chou;Yuguang Fu;Jianxiao Ma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2권3호
    • /
    • pp.179-193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centralized process for data anomaly detection in moder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s. An edge intelligence framework is proposed for the earl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various data anomalies facilitating quality enhancement of acquired data before transmitting to a central system. State-of-the-art deep neural network pruning techniques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iming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etwork size so that it can run efficiently on resource-constrained edge devices such as wireless smart sensors. Further, 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 (DSC) is invoked, the integration of which with advanced structural pruning methods exhibited superior compression capability. Last but not least, quantization-aware training (QAT) is adopted for faster processing and lower memory and power consumption. The proposed edge intelligence framework will eventually lead to reduced network overload and latency. This will enable intelligent self-adaptation strategies to be employed to timely deal with a faulty sensor, minimizing the wasteful use of power, memory, and other resources in wireless smart sensors, increasing efficiency,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for modern smart SHM systems.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oposed framework, the validation of which through actual field trials is a scope for future work.

클러스터 기반의 Ad Hoc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헤드간 효율적인 통신을 위한 DSP 알고리즘 (DSP Algorith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Clusterheads in Cluster-based Ad hoc Networks)

  • 윤석열;오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A호
    • /
    • pp.351-357
    • /
    • 2007
  • Ad Hoc 네트워크를 연구한 많은 논문들은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층적 네트워크 구조를 사용하였다. 계층적 구조는 여러 개의 클러스터들로 구성되고 각 클러스터는 모든 클러스터들에 대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클러스터헤드를 가진다. 클러스터헤드는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들끼리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클러스터헤드가 이웃하는 다른 클러스터헤드들에게 정보를 보낼 수 있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은 대부분 클러스터헤드가 재전송할 브릿지들을 선정하거나 혹은 부가적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재전송 브릿지를 선정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였다. 여기에 제안하는 DSP(Distributed Self-Pruning)알고리즘은 각 노드가 수신한 메시지를 재전송할 것인지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판단을 한다. 두 개의 클러스터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알고리즘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멀티홉 네트워크 환경에서 FEC 를 적용한 Flooding 기법 분석 (Analysis of Flooding Algorithm using FEC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 장정훈;양승철;김종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25-728
    • /
    • 2011
  •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플러딩(Flooding) 기법은 토폴로지 내의 모든 노드에게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플러딩 기법인 Blind 플러딩은 패킷을 받은 모든 노드가 플러딩을 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성능이 감소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성능 향상을 위해 중복 수신되는 패킷을 줄이는 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실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간섭에 따른 패킷 손실이 발생하고, 플러딩은 Broadcast 로 전송하기 때문에 재전송하여 손실 패킷을 복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Blind, Self-Pruning, Dominant-pruning 플러딩 기법에 재전송이 필요 없는 오류정정 기법(FEC)를 적용하여, 추가적인 잉여 데이터에 따른 전체 전송 패킷의 수와 플러딩 기법의 신뢰성을 분석 하였다.

자기 조직화 맵 기반 유사화상 검색의 고속화 수법 (A Method of Highspeed Similarity Retrieval based on Self-Organizing Maps)

  • 오군석;양성기;배상현;김판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5호
    • /
    • pp.515-522
    • /
    • 2001
  • 특징정보를 기반으로 한 유사화상 검색은 화상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화상 데이터의 특징정보를 각 화상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정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조직화 맵기반의 고속 k-NN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자기조직화 맵은 학습을 통하여 고차원 특징벡터를 2차원 공간에 맵핑함으로서 위상 특징맵을 생성한다. 위상 특징맵은 입력 데이터의 특징공간의 상호간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노드는 노드벡터와 각 노드벡터에 가장 가까운 유사화상이 분류된다. 이러한 자기조직화 맴에 의한 유사화상 분류결과에 대한 k-NN 탐색을 구현하기 위한여, (1) 위상특징 맵에 대한 접근방법, (2) 고속탐색을 위한 pruning strategy의 적용을 실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실제화상으로부터 추출한 색상 특징을 사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유사화상 검색에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