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i-Chi Self-help program to progress of reduction of symptom, difficulty on activity by application Tai-Chi Self-help program for Fibromyalgia patients. Method: The study was used the method of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65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Fibromyalgia by ACR(1990) standard at K University Hospital, medical center. Tai-Chi self-help program was done for 8 weeks(three a week for 2 hours)through group meeting of 65 pat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dow12.0 program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ould increase in reduction of symptom and lower disturbance in ADL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e before Tai-Chi Self-help program education. Conclusion: Accoradingly Tai-Chi Self-help program could be used as a proper nursing strategy for Fibromyalgia patient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ai-Chi exercise an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pplying laughter therap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recruited a sample of 61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1) through the community health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 Gi area.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included symptoms of osteoarthritis, basic physical performance, fatigue, and depression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 12.0. Results: At the end of the six-week intervention, left shoulder flexibility (t=2.011, p=.049), 6m walking speed (t=3.639, p=.001), and right balance (t=-2.30, p=.025)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Fatigue (t=3.012, p=.004), stiffness (t=2,093, p=.041), right shoulder flexibility (t=2.138, p=.037), right balance (t=-2.065, p=.043), and 6m walking speed (t=2.683, p=.009)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 twice a week, 6-week tai-chi exercise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pplying laughter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fatigue and stiffness. Osteoarthritis is one of common chronic diseases that the patients should be required to continue self management for the rest of their lif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nd nursing intervention to motivate them to maintain their own self-help managemen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examine the self-help and Tai Chi program for arthritis, and to identify the effect when combined with a supportive follow up phone-calls. Method: The design for this study was a 3*2 quasi-experimental design. Sixty-six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W-city, and assigned to Exp 1 group (n=21) or Exp 2 group (n=24) according to supportive follow-up phone call method, or to the control group (n=21). Fifty-two subjects (17 and 20 in Exp 1 and 2, and 15 in the control group) completed pretest and posttest. Both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in the self-help and Tai Chi program for arthritis once a week for 8 weeks. Exp 1 received automated follow up phone-calls made up in KT-SHUT program, and Exp 2 received follow up phone-calls made up by researcher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education and no phone call. Measures used to examine the effect self-help and Tai Chi program for arthritis were joint flexibility, hand muscle strength, balance with closed eyes and self-efficacy. The final analysis of the post-test measures was conducted by ANCOVA with age and self efficacy as covariates. Results: Both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right shoulder flexibility (p=.002), left shoulder flexibility (p=.000), right hand grip (p=.024), and self efficacy (p=.008)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in any physical indicators and self efficacy. Conclusion: Automated follow up phone-call would be helpful in managing the self-help and Tai Chi program for arthritis as well as researcher's phone call. The automated follow up phone-call program which was a new method could be recommended for use to encourage home exercise practice and the program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help management program which strengthens self-efficacy for post stroke elders who attend day care center in Chongju.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nd the subjects were 7 post stroke elders with hemiparesis. The self-help management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and each session included group education on stroke, ROM exercise, recreation and self-care strategies. Those strategies for encouraging and reinforcing self-efficacy provided verbal persuasion, performance accomplishment and vicarious experience. All subjects were questio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bout ADLs, IADLs,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depression. 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IADLs,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DLs and de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may be adopted to improv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of post stroke elderly patients in community setting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osteoarthritis patients would benefit in terms of pain, fatigue, difficulty with physical activity, joint stiffness, and flexibility of the joints from a structured self-help program. Method: This self-help program was carried out 2-3 hours once a week for 6 weeks in 2005-2006, and evaluated in one 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were diagnosed osteoarthritis were recruited at two differen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angwon. The subjects who agree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participated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55 patients. Mean age is 63.48 (9.48) years, mean duration of disease is 7.95 (7.66) years. The self-help program was consisted of weekly health contract, exercise, health education, group discussion, group counseling, and recreation. At every meeting, researcher and trained public health nurse evaluated the program, and prepared the next program. The measurement tools were pain rating scale (0-10), fatigue rating scale (0-10), Korean WOMAC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Osteoarthritis) Index, ruler, and goniometer. Results: At the completion of 6 weeks of self-help program, the subjects reported significantly less pain and difficulty with physical activity and more flexibility in both shoulder and knee joints compared to pretest. Conclusion: The self-help program would be helpful on pain, physical activity, and joint flexibility for arthritis patients.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ai Chi self-help program on glucose control, cardiovascular risk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95 adults with type II diabetes recruited from five primary health centers and one outpatient clinic. The Tai chi self-help program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6 months. Outcome measures included blood glucose(HbA1c), cardiovascular risk checklist, and quality of life(SF36). Result: At the completion of 6-month program, HbA1c for Tai Chi group dropped from 6.79 to 6.59 withou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However, cardiovascular risk scores for Tai Chi group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6 months, quality of life (SF36)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Tai Chi group especially in the areas of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Conclusion: Tai Chi self-help program applied for type 2 diabetes patients has been partially effective to contro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some 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Tai Chi self-help program can be safely and easily applicable to primary care centers for diabetic patients and other people with chronic disease for their symptom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25개 치매안심 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조모임이 치매환자 주부양자들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25개 치매안심 센터에서 자조모임을 알아보고, 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치매환자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수준과 프로그램 후의 만족도에 대해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자조모임 종류와 참석빈도, 모임개수는 다변랑 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참여자가 느끼는 전체 스트레스는 5점 척도 중 4점에 가까웠고, 모임종류와 참석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조모임 개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자조모임후의 만족도는 5점 척도 중 4점에 가까웠고, 모임종류와 참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조모임 개수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과에서 보듯 자조모임은 치매환자 주부양자들의 스트레스와, 모임후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에 기반한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고 그 과정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자조집단 지원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참여실행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자조집단이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자립과 역량강화에 유용한 실천방법이지만 구체적 실천방안은 부재하다는 문제인식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10회기의 연구모임에서 논문 숙독, 개별 자조집단 분석, 관련 사례 연구, 퍼실리테이션 학습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매 회기마다 각 집단별 진행사항을 공유하고이후 적용점과 계획 등을 논의하는 동료 수퍼비전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하고 논의한 바를 집단에 적용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성찰하면서 다시 논의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로 집단의 목표나 비전이 명료해지고, 담당자에 대한 의존이 감소하면서 회원 주도성이 증진되었으며, 회원 간 친밀감, 상부상조, 집단에 대한 애착이 강화되는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논의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도성 및 역량강화, 응집력, 리더십, 탈정형화 등 네 주제에서 17가지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한부모 자조집단을 위한 보다 현실적인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term effects of the self-help program through the follow-up with peer group meetings of arthritis patients.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s, the follow-up program with peer group meetings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with consisting of monthly health contract, group discussion, group counseling, recreation, and exercise.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2-3 hours once in a month for 5 months (1999-2000) and evaluated 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34 pati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24 of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are pain rating scale(Lee & Song), KHAQ(Bae), rating scale of fatigue, and goni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number of pain site, fatigue, physical functioning, flexibility of the shoulder joints, and level of the extension of the knee joint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ileas pain reaction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However, the peers expressed very much their satisfaction and appreciations with the follow-up program with Peer group meetings. Actually, they wanted to have this peer group meeting continuously.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up program with peer group meeting could be recommended as good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the arthritis patients after having the Self Help Program in the community setting.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9-week self-help management aquatic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balance, fatigue and self-efficacy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living in the suburban area. Methods: Utiliz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43 osteoarthritis patients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23). Due to the busy schedule of the patients working in the farm, the program was provided for 9 weeks instead of 12 week program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ional advice. The questionnaires and physical measure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outcome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COVA. Results: The 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fter controlling for the age, pain and fatigue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Flexibility, balance and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9-week program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be used especially for osteoarthritis patients in the suburban area during the leisure seasons of the farmers to improve their arthritic symptoms and self-efficacy.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