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steem discrepanc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영재와 일반 남아의 자존감 비교 및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별 신체증상 및 공격성 분석 (Comparison of Self-Esteem in the Gifted & Ordinary Boys and Analyse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Aggression according to Self-Esteem Patterns in the Gifted)

  • 박혜원;하정연;문지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83-105
    • /
    • 2011
  • 영재 남아 132명(초등학생 23명, 중학생 109명)과 일반 남아 282명(초등학생 29명, 중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에 따라 신체증상과 공격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명시적 자존감의 경우 영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운동 능력을 제외한 학업능력, 사회적 수용, 외모, 품행, 전반적 자기가치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묵적 자존감에서는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영재 남아의 두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두 자존감 수준이 일치할 때보다 불일치할 때 신체증상과 공격성이 더 높았다. 아동기부터 두 자존감이 일치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영재 아동을 위해 자존감일치를 중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여성과 남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Sex Rol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6-446
    • /
    • 2006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남성과 여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치이론, 양성성 이론, 남성성 이론, 자아불일치 이론 등이 성역할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을 위해 고찰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세의 남성 125명과 여성 197명이 편의표집 되었다.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모두 지각된 남성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성들의 경우, 외모만족도에는 지각된 여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는 지각된 여성성, 지각된 남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다. 신체질량지수는 여성 경우에만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곁과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신체이미지 카운슬러 등의 실무자들이 젊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를 고양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과 물질주의의 관계: 자기 불일치,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Materialism of Undergraduates: Self-Discrepancy and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s Mediators)

  • 신지윤;설경옥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73-392
    • /
    • 2022
  • 본 연구는 Donnelly 등(2016)의 물질주의 추구에 대한 도피이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물질주의 추구 과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도피이론에서 제시된 6단계 중 높은 삶의 기준에 비추어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는 1단계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으로, 부족한 자신을 비난하는 2단계를 실제-이상적 자기 간 불일치로, 자신을 혐오적으로 인식하는 3단계를 낮은 자존감 안정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상의 도피이론 3단계에 따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이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안정성을 매개로 물질주의를 예측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확인을 위해 대학생 465명(여 26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과 물질주의 간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의 매개효과 및 자기 불일치와 자존감 안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물질주의에 대한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의 직접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능력주의 한국사회에서 대학생이 물질을 좇게 되는 과정을 도피이론을 적용하여 경험적으로 밝힌 의의가 있다.

여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가 우울감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e Ideation in Female Adolescents)

  • 송만규;하지현;박두흠;유승호;오정현;유재학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40-47
    • /
    • 2010
  • 연구목적 : 자기신체상은 자아존중감과 체중조절행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특히 여자 청소년에서는 중요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체질량지수로 측정한 신체이미지와 식이장애와 연관된 비정상식이행동이 우울증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한 지역의 고등학교 여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청소년을 위한 식이태도검사(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자아존중감척도, 충동성척도, 벡 우울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에서 식이장애 위험군은 총 10%(24명)이었다.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상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고 현재 체질량지수와 이상적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클수록 우울감, 자살사고, 비정상적 식이행동의 정도가 커지고 자아존중감은 낮아졌다. 그중에서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가장 의미있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 연구대상군이 전체적으로 정상체중 범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체형과 이상적 체형사이의 괴리가 클수록 우울과 자살사고가 컸다. 여자 청소년의 식이장애 발생과 우울, 자살사고의 예방을 위해 체중조절, 정상식이습관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병원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A Study on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Workers)

  • 김윤수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3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work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29 hospital war kern working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the Kyong-in area.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onstruct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3. 1997 to February 24, 1997,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Scheff{\acute{e}}$ compariso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hospital workers was 2.40.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age, career, religion and number of children. 2. The mean score of health perception was 3.29. The health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no statistical discrepancy. 3.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3.80. The self-esteem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age,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marital status. 4. The mean score of self-efficacy was 69.63. The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ailed significantly according ding to sex, age, occupation, career, religion, marital status and number of children. 5. The mean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88.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and occupation. The mean score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08. The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occupation and religion. The mean score of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35. The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number of children. 6.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self-efficacy,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perception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7. The combination of self-esteem,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perception, self-efficacy, internal health lot-us of control, age and marital status explained 45.72% of the variance of likelihood to engag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 PDF

양산시 청소년의 부정교합 유병률 및 관련 자존감 조사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and Related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Yangsan)

  • 류현정;김형준;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6-30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들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각 요소와 자존감의 연관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80명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별 유병률과 자존감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gle 분류에 의한 제1대구치 관계는 I, II 및 III급 교합이 각각 69.0%, 19.4%, 10.6%로 나타났다. 수평피개는 정상 86.9%, 반대교합 5.6%, 큰 수평피개 6.6%, 극심히 큰 수평피개 0.8%로 나타났다. 수직피개는 정상 94.1%, 과개교합 4.7%, 개방교합 1.2%였다. 정중선 불일치는 0~1 mm는 98.2%, 2~4 mm는 1.4%, 5 mm 이상은 0.4%였다. 총생은 상, 하악에 총생이 있는 경우가 각각 9.6%, 14.1%, 양악 모두의 경우가 24.1%였으며, 치간공극은 상, 하악에만 있는 경우가 각각 3.0%, 2.4%, 양악 모두의 경우는 1.7%였다. 부정교합 요소별 자존감의 차이는 여자의 경우, 반대교합과 개방교합 그룹에서 자존감 지수가 낮은 값을 보였다(p < 0.05).

응급구조과학생의 첫 소방 실습 경험 (An Initial Practice Experience of EMT Students in Fire Station)

  • 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3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 initial fire station experience of EMT students, so to better understand their' practice experience in fire station. The subjects were 28 EMT students of C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C city, who were demonstrating at the fire station in C city.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method, the results were as a follows. From the protocol, 201 significant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93 formulated meanings. From the formulated meanings, 30 themes were identified, organized into 16 theme clusters, and then 7 categories. EMT students got experienced 'tension' in resulting from new training situation and at the field practice, 'comport and gratitude', in feeling of identity and a bond sympathy with senior EMT, in training environment and heartfelt care, 'stress' from lack of knowledge and skill, difficulties in field practice for 24 hours, in dealing with ma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patient and staffs and from the insufficiency of instruction, 'confidence feeling' from the participation of field treatment, in improving of learning, in self-esteem of EMT job, 'confusing feeling' of conflict of the path in work, 'disappointment and doubt' by the discrepancy between learning and actuality, and disappointment of actuality, 'feeling of lack' based on the passive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use as basic data for students attending fire station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 PDF

한국청소년에서 자가비만인식도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Association with Self-Perception for Obesity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

  • 황인철;이경식;박동균;정은영;최충현;조성진;배승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112-119
    • /
    • 2011
  • Objectives : Obesity has been linked to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as well as medical complications, especially among adolescent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depression or self-esteem ;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vidence on self-perception of weight and mental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perceptional weight status with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5).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83 adolescents (268 boys, 315 girls) aged 12-18 years, who had completed the health survey, the health examination, and the nutritional surve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actual or perceptional weight status: non-obese and obese. Questionnaires for stress,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thoughts were utilized as mental health indicators. Results : The agreement between actual and perceptional weight status was moderate (k value, 0.585 ;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discrepancy between actual and perceptional weight status were body mass index of subjects and their parents' education. The obese group was likely to have higher stress levels and more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 or suicidal ideation in regard to both actual and perceptional weight statu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irls who had perceived themselves as obese were more likely to have an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 than other girls (unadjusted OR, 4.98 ; adjusted OR, 5.15). Conclusion : An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weight status and not actual weight status in Korean female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