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gnition of Oral Health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정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10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지각요인과 구강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G 대학의 3년제 치위생과와 2년제 비보건계열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지각요인에서 자기 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행위 혜택 인지정도는 치위생과 학생이 비보건계열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행위 장애 인지정도는 비보건계열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정도는 치위생과 학생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실천 정도를 보이는 항목은 음주와 흡연 절제이며 낮은 실천도를 보이는 항목은 치위생과 학생은 불소 함유 양치 용액 사용, 비보건계열 학생은 치실 사용으로 나타났다. 3.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기 효능감과 구강건강통제위는 구강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이 두 변수가 높아질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각 세부항목인 요인 1, 요인 2, 요인 3의 실천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각 세부항목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요인 1, 요인 3, 전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자기 효능감이었으며, 요인 2는 구강건강통제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지-지각요인 중 자기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므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시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구강건강증진행위별로 자기 효능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유치원 및 보육시설 유아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및 치아우식예방효과 인식 (Cogn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facilities)

  • 정유연;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4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on o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facilitie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60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facility in Daejeon from January to February, 2013. Except incomplete answers, 24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Results :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was shown in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cluded correct tooth brushing, fluoride dentifrice, fluoride mouth rinse, and use of xylitol.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fluoride mouth rinses would help good oral health in the children. Conclusions :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facility are the most important persons in childhood oral health care.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ntinuing standardized education for the teachers systematically.

성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의 융합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Social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in Adul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80-18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성인구강관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25일부터 2016년 5월 21일까지 전북지역의 4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울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건강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꾸준한 예방관리를 위한 사회적 효능감이 반영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심리적 구강건강인지에 대한 교육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 어머니의 구강보건인식도에 따른 유아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연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7-15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mothers' oral health cognition influence on dental caries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194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 6, 7 years old in the three day care centers in Ulsan, Korea. Date were collected by oral examination on children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n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 was surveyed mothers' cognition of oral health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r mother's income, the lower infant's dental caries,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2.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preventive cogniton, infant's preventive treatment, between-meals intake and infant's dental caries. 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ther's toothbrushing frequency and infant's dental caries.

  • PDF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와 실제 검진 치료필요도 비교 연구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Need of Medical Checkup and Self-cognition of Oral Health)

  • 이미희;김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75-1181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5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구강검진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실제 검진조사 결과의 치료필요도 조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상악과 하악 좌.우 대구치의 치료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상악의 좌,우측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에서 본인 스스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에 오히려 치료가 불필요한 경우가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고, 하악의 좌,우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에서도 역시 같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상.하악의 좌우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모두에서 본인 스스로 구강건강상태를 매우 좋다고 인지한 경우는 전체의 10% 수준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상태가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응답인 '보통'에는 치료가 불필요하다는 검진결과가 96% 이상이었다.

치주질환자의 치주질환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on of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patients', life-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도유정;지민경;윤미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53-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주질환자의 치주질환에 대한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주건강의 증진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치과 병 의원에 내원한 치주질환 환자 201명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생활 스트레스, 치주질환 인식도, 구강위생용품, 수면량,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주질환자들의 스트레스 관리능력 및 대처법의 중요함과 올바른 치주질환 인식도를 정립하기 위해 환자 상태별 적합한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양육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지도원의 구강건강인지 및 지각요인과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조사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recognition factors and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 임선아;송애희;이명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19-1127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of the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ose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from May 15th to May 25th in 2011.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drawn and then a total of 205 papers from the subjects th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 1. Oral health knowledge had $12.16{\pm}1.66$ in a full score of 15 and oral health importanc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nterest were $1.12{\pm}0.36$, $2.80{\pm}0.50$ and $2.14{\pm}0.8$ respectively in a full score of 5.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analysis of cognition-recognition factors showed that singles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married couples (p<0.05) and the social workers unusing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interest than those using them(p<0.01). 3. The mean of oral health promotion was $3.28{\pm}0.51$, characteristics of detailed specific-area were as follows ; the toothbrushing was $3.77{\pm}0.57$, the use of fluoride was $2.67{\pm}0.98$, periodic dental screening and treatment were $2.98{\pm}1.09$ and eating habits was $4.14{\pm}0.57$. These results generally showed tooth-brushing and eating habits show a little higher figures. 4. Considering the factor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higher oral health interest was, the high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Conclusions : It seems that social worker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learn oral health knowledge, which will lead to much better improvement of oral health for children brought up by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