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authorin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to Increase Ego-Integrity in the Elderly)

  • 여인숙;김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57-1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aimed at increasing ego-integrity in the elderly.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fe course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for the elderly to enhance their self-worth, become aware of their individual self existence, accept aging and death, accept the past and present life, and to make the most of their experiences of overcoming difficulties. The counseling techniques used in the program were mainly reminiscence and re-authoring of the narrative therapy. Thirty-two elderly people aged 60 years and over (16 in each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Daegu Metropolitan City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research. The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equivalent for the study in a pre-test. The program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over a 6-week period (Sep. 8th - Oct. 14th. 2005). The pre (Sep. 8th 2005), the post (Oct. 14th. 2005) and follow-up (Nov. 14th. 2005) tests were implemented in ordo,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Ego-Integr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Ore-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evidenced significant effects on enhancing ego-integrity. The result of the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were maintained for one month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ego-integ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 여인숙;김춘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113-128
    • /
    • 2006
  •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The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a course of life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 objectives were for the elderly to enhance self-worth, to become aware of their solitary existence, to accept aging and death, to accept the life: both past and present, and to make the most of experiences in overcoming difficulties. For the most part, the program used reminiscence and re-authoring of the narrative therapy as counseling techniques. Thirty-two elderly people(16 in the experimental group, 16 in the control group) aged 60 years and over were randomly selected from patients at the Daegu Metropolitan City General Welfare Center.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equivalents for the study in the pre-test.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over a 6-week period(Sep. 8-Oct.14. 2005). The pre-test(Sep. 8 2005), the post-test(Oct. 14. 2005) and the follow-up test(Nov. 14. 2005)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and the Death Anxie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ing and One-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This study supplemented ot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variation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were repor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rates. The result of the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has lasted effects on decreasing of the death anxiety. Nevertheless,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re not lasting. The study has limitations so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스마트러닝에서의 학습자 패턴 정보를 활용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Study Curation Service Utilizing th Learner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Smart Learning)

  • 윤준수;황현서;박진태;서경택;문일영;권오영;김병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03-906
    • /
    • 2015
  •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방송과 통신, IT 기술과 전통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 분야에서는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는 창의력 중심으로의 교육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또한, 자기주도형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고품질의 인터랙티브한 교육콘텐츠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스마트 폰의 시장규모가 PC를 추월하고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와 이러닝 신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시스템으로 '스마트 러닝'이라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개발한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과 웹 사이트,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학습자 패턴 수집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취향에 맞는 적절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뇌질환 환자의 재활 동기 증진을 위한 웹 기반의 상호 작용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Web-based Interactive Applications and System to Motivate the Rehabilitation of the Brain Disease Patients)

  • 소성석;유문호;양윤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2호
    • /
    • pp.71-79
    • /
    • 2011
  • 최근 고령 인구의 증가와 뇌질환의 발생 연령 감소 등을 볼 때에 기존의 물리적인 재활 치료와 더불어 사회로의 건강한 복귀를 돕기 위한 보다 총체적인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후유 장애 극복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성취감, 자발적인 의지 형성 등의 동기 부여를 위한 방법으로서 웹 기반 상호 작용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웹 환경에서의 접근성 향상과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위하여 웹 2.0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개발 언어와 저작도구들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사용자 측에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상호 작용형 컨텐츠가 접목될 수 있는 개방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재활 및 고령자 케어를 위한 전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통합적 치료의 도구로서 체계화될 계획이다.

중등 지리과에서의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의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Constructivist Multimedia-Assisted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Geography)

  • 배상운;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3-185
    • /
    • 1999
  • 중등 지리과에서의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의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을 위하여 개발 및 실험 연구를 병행하였다.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CMAI)의 개념적 및 절차적 모형은 구성주의적 수업 이론과 멀티미디어, PIDA 수업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offline CMAI)과 온라인 수업(online CMAI)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오프라인 수업은 다시 프리젠테이션 활용 수업(P/TCMAI)와 CD-ROM 활용 수업(C/RCMAI)으로 구분할 수 있다. CD-ROM 활용의 오프라인 수업 유형별(강의 수업, 집단 교수, 개별 학습, 협동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해서 '한국의 하천과 평야'에 관한 CR-ROM 형태의 오프라인 코스웨어를 개발 적용하였다. 오프라인 수업 유형별 학업 성취도 및 수업 반응도에 대한 변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업 성취도에서는 수업 유형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수업 반응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