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nstrua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자아개념이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 of Self-Concept in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 신재욱;신민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3호
    • /
    • pp.56-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expanded self-concept including self-esteem and self-congruity with various variables of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by using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metapersonal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In regards to the effect of metapersonal Self-construal on pro-environmental psychology, it was analyzed that lower consumer self-esteem increased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also when self-congruity was low, metapersonal Self-construal had a positive effect on green consumer behavior.

  • PDF

The Effect of Metacognitive Difficulty on Consumer Judgments: The Moderating Role of Cognitive Resources

  • Park, Se-Bum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3-37
    • /
    • 2012
  • Individuals often make their judgments on the basis of the ease or difficulty with which information comes to mind (for reviews, see Greifeneder, Bless, and Pham 2010; Schwarz 1998, 2004). Recent research, however, has documented that variables known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gnitive resources invested in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personal relevance (Grayson and Schwarz 1999; Rothman and Schwarz 1998), accuracy motivation (Aarts and Dijksterhuis 1999), and processing capacity (Menon and Raghubir 2003) can affect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draw on metacognitive difficulty in making their judgments.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is thus to investigate whether individuals with substantial cognitive resources or those with lack of cognitive resources are more likely to draw on metacognitive difficulty when making their product evaluations. The findings from two laboratory experimen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ho perceive a greater level of fit between their self-regulatory orientation and temporal construal (Experiment 1), and between their self-construal and the type of product benefit appeal (Experiment 2) are more likely than those who perceive the lack of such fit to evaluate a target product less positively after thinking of many rather than a few positive reasons. The findings provide supporting evidence for the two-stage backward inference process involved with the effect of metacognitive difficulty on consumer judgments in that consumer judgments based on metacognitive difficulty may require greater cognitive resources than those based on the content of information generated. Also, the current research documents further empirical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ory orientation-construal level fit and cognitive resources such that perceived regulatory-construal level fit can increase consumer willingness to invest cognitive resources into their judgment tasks. Last, the findings can help marketers differentiate purchase situations where asking consumers to think of many positive benefits from purchase situations where asking consumers to think of a few key benefits is relatively more beneficial.

  • PDF

만족도와 재구매 간 관계에 있어서 상황적 영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인지 종결 욕구와 일시적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Moderating Role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Temporal Self-Construal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Consistency)

  • 이민훈;하영원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95-119
    • /
    • 2010
  • 최근 들어 소비자의 만족과 재구매 행동 간 불일치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 탐색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주로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치중하여 소비자 내면의 심리 관점에서 만족과 구매 후 행동 간 상응성을 설명해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족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상황적 요인으로서 인지 종결 욕구와 일시적 자아 해석의 역할을 가정하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 이를 규명했다. 우선 소비자의 일시적인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상황적 요인으로서 최근 심리학계에서 많은 학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인지 종결 욕구의 개념을 구매의사결정에 직면한 소비자 입장에 새롭게 적용하여 그 역할을 입증했다. 구체적으로 인지 종결 욕구가 높은 상황에서는 가능한 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고자 하므로 새로운 대안 탐색을 회피하고 기존 대안을 반복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했다. 또한 소비자에게 일시적으로 유발된 자아 해석을 만족과 재구매 행동 관계의 주요 조절변수로 가정하고 이를 규명했다. 즉, 일시적으로 독립적 자아 해석 상황에 처하게 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상황에 처했을 때보다 재구매 행동이 강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독립적 자아 해석 상황에서는 자신의 만족 경험과 판단을 신뢰하여 기존 대안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 상황에서는 내집단과의 우호적 관계를 자기 자신의 판단 이상으로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미있는 주변인의 추천에 동조하여 전환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 만족을 넘어 충성 고객화를 위해 고심 중인 기업들에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단순한 만족이 충성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원인을 규명해낸다면 이를 진정한 충성도 배양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 PDF

패션브랜드 확장 시 확장제품군 내 지배적 브랜드가 확장제품의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쟁 브랜드 간 품질차이와 소비자 자기관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s of Dominant Brand in the Extension Product Category on Consumer Attitude About Fashion Brand Extension)

  • 곽지혜;황선진
    • 복식
    • /
    • 제61권10호
    • /
    • pp.89-1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ominant brand, the quality variation among brands in the extension product category and the self-construals on consumer's attitude about extension products. The experimental design consist of three-way complex factors and 226 subjects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re was fashion brand extension, whether or not there was an existing dominant brand in the extension product category, the quality variation among brands in the extension product category and the types of self-construals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ir favorablenes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extension products. Regardless of an existing dominant brand however, the group who had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higher favorablenes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extension products when the quality variation among brands in the extension product category was lower than when it was high, whereas the group who had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avorablenes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extension products.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Self-Construal and Advertising Type on Brand Attitude

  • Choi, Nak-Hwan;Liu, Huan;Li, Zhonghu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8권3호
    • /
    • pp.33-41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focused on the attitude differences towards harmony-focused Ad and uniqueness-focused Ad, also those towards brand advertised in each of the two type Ads between self-constru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Main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ith the people in China, and collected 107 data through harmony Ad questionnaire and 109 data through uniqueness Ad questionnaire.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irst,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rmony-focused Ad and the brand in it there was at interdependent Chinese consumers than at independent Chinese consumers. Second, the independent Chinese consumers and the interdependent Chinese consumers did not form significant attitude difference towards uniqueness-focused Ad. However the independent Chinese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brand in the uniqueness-focused Ad than the interdependent Chinese consumers. Conclusions - By highlighting the attributes of Chinese consumers' self-construal, to appeal to interdependent Chinese consumers, marketers should develop harmony-focused advertisement, and they should appeal to independent Chinese consumers by using uniqueness-focused advertisement. However the harmony might be pursued as the main content in the overall environment by Chinese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arketers to consider the harmony even when appealing them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소비자의 독립성이 합의된 주장 광고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 Independence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Advertisements that Depict Consensus Claims)

  • 전수지;정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555-568
    • /
    • 2018
  •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문화적 성향과 자기해석수준을 활용한 소비자 특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발전시키고 확장한 연구이다. 현재 한국의 경제 사회적으로 개인의 독립적인 성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개인의 문화적 수준에서 소비자의 독립적인 성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선택하는 제품이라고 주장하는 합의된 주장이 묘사된 광고에 대해 독립적인 성향의 소비자들의 태도 및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독립적인 성향이 강할수록 합의된 주장이 제시된 광고의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부정적이며, 제품을 구매할 의도 또한 낮을 것이라는 것과 독립적인 소비자의 성향과 합의된 주장이 묘사된 광고 사이에서 제품과 소비자와의 적합성이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문화적 성향을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주장해왔던 내용의 연구를 실제적으로 증명해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소비자들에게 차별적인 마케팅 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고, 소비자를 좀 더 세분화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인의 문화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세대에 의해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 연속매개과정 모형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elf-construal of Korean and Alexithymia: A Serial Mediation Process Mod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Suppression Moderated by Generation)

  • 김해진;권소영;정선호;이동훈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2호
    • /
    • pp.171-197
    • /
    • 2023
  • 전통적인 한국 사회는 동양의 집단주의 문화권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1970년대 탈냉전과 더불어 세계화와 정보화의 흐름 속에 서양의 개인주의 문화와 가치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에 빠르게 스며들었다. 짧은 시기에 급변했기 때문에, 동시대를 살아가는 세대 간에 문화적 자기관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정표현 및 억제와 관련된 심리적 문제가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한국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문화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 수준, 그리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 수준을 조사하여, 상호협조적 자기관, 상호독립적 자기관 및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그리고 그것을 매개하는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산업화 세대(1970년 이전 출생)와 정보화 세대(1970년 이후 출생)로 구분하고, 각 변인의 세대 차이와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의 매개 과정에 대한 세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Hayes(2022)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문화적 자기관의 상대적 독립성(상호협조적 자기관에 비하여 상호독립적 자기관이 높은 정도를 계산한 값)이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를 연속매개하여 감정표현불능증에 영향을 주는 연속매개모형이 유의하였다. 이는 개인의 상대적 독립성이 약할수록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 수준이 순차적으로 높아져서 감정표현불능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속매개모형에서 세대의 조절효과를 탐색한 결과, 정서억제에서 감정표현불능증으로 가는 경로를 세대 변인이 조절하였다. 산업화 세대의 경우 정서억제 수준이 높아도 감정표현불능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반면, 정보화 세대는 정서억제 수준이 높을수록 감정표현불능증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세대의 문화적 가치관에 따라 정서조절방략이 다르게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정서억제처럼 역기능적인 정서조절방략이라 할지라도 자신이 속한 세대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그것의 부정적인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함의한다.

브랜드의 시장성과 정보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효과: 개인특성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Brand Performance Information on Brand Evaluation: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 전성률;주태욱;김도형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49-172
    • /
    • 2009
  • 기존 연구에서는 프리미엄 가격과 시장 점유율이라는 브랜드 시장성과 정보가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인 품질지각이나 선호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브랜드 시장성과 정보 유형에 따른 차별적 효과는 제품 이미지의 유형과 제품군 내 품질편차 정도와 같은 제품 특성 변수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시장성과 정보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있어 기존 연구가 제시한 제품특성 변수의 조절적 효과 이외에 개인특성 변수의 조절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개인특성 변수인 자기관, 가격 인식, 브랜드 몰입의 유형에 따라 브랜드 시장성과 정보 유형에 따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브랜드 시장성과 정보 중 프리미엄 가격 정보에 대해서는 독립적인 자기관 및 긍정적 가격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브랜드에 대해 정서적 몰입을 하는 소비자들이 더욱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시장 점유율 정보에 대해서는 상호의존적인 자기관 및 부정적 가격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브랜드에 대한 계산적 몰입을 하는 소비자들이 더욱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문화성향에 따른 거절 반응과 예측의 차이 (Cultural Self-Orientation and Rejection of Requests)

  • 임소은;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79-2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문화성향에 따라 첫째, 누군가에게 부탁을 거절당했을 때 다르게 반응하는지, 둘째, 자신이 누군가의 부탁을 거절했을 때 상대방이 보일 반응을 다르게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도록 실험적으로 유도되었을 때 문화성향에 따라 거절에 대한 반응과 예측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도록 하는 조건과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건에서 거절당하는 입장에 섰을 때 자신이 보일 부정적인 반응과 자신이 거절하는 입장일 때 상대방이 보일 부정적인 반응을 예상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적 문화성향의 수준과 조망수용 여부에 따라 거절 당하였을 때와 거절하였을 때 부정적 반응과 예측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호의존적 문화성향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화성향이 거절 행동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을 논하였으며, 후속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부당한 상황에서 경험되는 정서의 문화 차이: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cultural emotions in unfair situation in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 한민;류승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251-272
    • /
    • 2018
  • 사람들은 자신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부당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및 행동에 다양한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4개국(한국, 중국, 일본, 미국)에서 부당한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상태, 및 행동 양상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새로운 자기관 모델인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이용하여 국가마다 나타나는 자기관과 행동양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17명(한국인 87명, 중국인 71명, 일본인 80명, 미국인 79명)이었다. 4개국 모두에서 부당한 상황은 "자신이 하지 않은 일로 불이익이나 책망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국가별로 그 비율은 다르게 나타났다. 부당한 상황에 대한 감정 상태 중 분노는 한국인이, 불쾌와 관계정서는 중국인들이, 그리고 당혹감은 일본인들이 가장 높은 비울을 보였다. 행동 영역에서는 아시아 3개국은 대부분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미국인은 대부분 직접적인 표현을 하였다.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한국인은 주체성 자기관이 높았고, 중국인은 주체성과 자율성 자기관이 동시에 높았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대상성 자기관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높았고, 미국은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억울과 관련한 문화적 정서에 대한 함의와 새로운 자기관 모델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