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ertificatio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The Role of FENDT - Prospect and Retrospect -

  • Lee, Hae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49
    • /
    • 1998
  • Being latecomers to the industrialization, Pacific rim countries except the U.S.A. are doing very little in developing the universal certification system. One should note that Asian Pacific region enjoys the highest economic growth rate, and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it will be the center of economic activities of the world in the next century. It appears that ISO and CEN share similar specifications in numerous areas. ASNT is being changed to cope with the trend with the introduction of ACCP. Although we may have to adopt the new system someday, we should pay attention and make concerted effort to include our own practice in the global standards. We are the countries in the Far East Region with similar culture and tradi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countries. We hope that Japa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matter, who has been chaired the ISO TC135 since 1993. In the beginning of this decade, there has been a trivial but troublesome matter that who is representing the NDT Society or member countries in Asia-Pacific Conference on NDT. The problem appears to be solv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FENDT For the next decade, actually next centry, FENDT will have to accomplish another important role for countries in the Far East Region to form a strong coalition for its survival in the western dominant world. Immediate issue is to establish Far East Working Group for Harmonization and Mutual Recognition of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NDT Personnel. To realize this Japan must play a leading role with the cooperation of expanded FENDT member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Russia. As the continued prosperity expected in this region, FENDT should continue its role for the next centry. We, the FENDT countries, must move forward for internationalization(國際化). However' we must realize that it all start from SELF IDENTI-FICATION. We can identify ourselve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FENDT. I would like remind you the concluding remark that I have made in the congratulatory speech at JSNDI 40th Anniversary Conference and FENDT'92. JSNDI is too precious to be Japan's sole possession Staling from the Far East, JSNDI shall become one of the loaders of the world. I sincerely hope that JSNDI take initiatives and leaderships in the future activities. of FENDT countries. I would like to close my talk with "We must hang together, or We shall be hang seperately." Garn Sa Ham Ni Da.

  • PDF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II - 예비항해사 자기평가에 관한 결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Student Training on Board-2 - Based on the Result of Trainees' Self-Checks)

  • 박영수;박상원;김종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1-158
    • /
    • 2018
  • 해양대학 학생들은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기준협약(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 협약)에 의해 1년 항해실습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습 교육 기간에 대한 효과와 더불어 어떤 교육 내용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는지, 또한 교육 과정 중 미진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실습 기간별로 분석하였다. 대상은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에 승선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해사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실습 기간별 향상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실습선 실습 교육의 효율적인 교과 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는 1년간의 실습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실습생들이 핵심 역량 항목에서 향상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화물관리, 해양환경보호 등과 같은 일부 항목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어 실습 교육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개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과정 타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of Dental Communication Curriculum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 최용금;배수명;신보미;손정희;박덕영;최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6-314
    • /
    • 201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의 타당도는 전문가 3인에게 기재된 타당도 평가지를 제공하여 검토를 의뢰하였다. 주차별 교육내용 및 교육시기에 대한 타당도는 최소 4점, 최대 5점으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평가와 인증평가 기준에도 합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해당학년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으로 구성하되, 1개 학기에 그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단계적, 연계성을 갖고 이론과 실습 학습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향후 치위생(학)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향후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강민수;소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36-247
    • /
    • 2020
  • 본 연구는 S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상과 교육 목표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려는 취지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S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 요인을 정의하고 둘째, 핵심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셋째, 향후 교육정책 및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핵심역량지표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구성은 7개 역량의 영역, 16개의 소영역(하위능력), 46문항으로 구성하여 응답자의 동의수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문항형식으로 개발하였다. 예비조사(pilot-test)는 220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내 교수 및 교육학 분야 전문 교수를 대상으로 자문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에서는 개발한 문항들이 각 역량의 의미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적절히 진술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전문가 의견과 문항분석결과, 신뢰도, 타당도 등 통계적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하여 본조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본조사(Main-test)는 2,486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개발된 S 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는 S 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재학생들에게 적합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핵심역량인증제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한 1단계 자료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민간경비 자격검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Qualification Criteria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 최정택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143-167
    • /
    • 2009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선진국은 민간경비산업의 전문화를 위해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합리적이지 못한 선발기준과 교육시스템 운영으로 과점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직업면허제도'를 통하여 자격증 소지자나 경비업체, 교육기관 및 위탁자의 지대추구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경비산업 종사자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자격증 발급 및 지정교육기관을 통한 기본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적은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 선발 및 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찾아본 결과, 이원화된 검정제도와 교육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그리고 경비업체 운영자 및 최고관리자(임원)의 전문성과 운영능력에 대한 검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원화 되어있는 경비지도사 자격증 제도와 경비원 교육 이수 제도를 '공인자격검증제도'로 단일화하며, 그 자격검정 대상은 관련 종사자 전체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한 과점현상으로 발생되는 후생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율경쟁이 가능하도록 지정교육기관의 수를 늘리고 경비원들의 교육 및 취업(업체) 선택에 자율권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최소화 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부터 이해관계자, 시민단체 까지 모두 참여하는 거버넌스 네트워크 형태의 '민간보안산업위원회'와 같은 새로운 관리 감독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 PDF

플랜트 산업의 e-Biz화를 위한 구매 Process System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procurement process system for e-Biz of the plant business)

  • 김회섭;이주표;한상훈;조세형;박창현;한재범;김성호;김규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11-19
    • /
    • 2003
  • B2B(Business to Customer)로 시작되어온 전자상거래가 B2B로 대체되면서 e-Business영역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체 구매조달 시스템을 자사 ERP와 연계하여 1:n개념의 e-Procurement가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플랜트 산업의 e-Biz의 활성화를 위하여서는 동시에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활동할 수 있는 e-marketplace의 구축이 확장된 기업개념으로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한 핵심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 산업의 e-Biz화의 핵심 요소인 구매 Process System 및 관련 Module을 개발함으로써 플랜트 산업의 e-Transformation전략의 기틀을 마련하고 기업의 전자상거래의 시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매 Process System은 견적요청서를 중심으로 입찰정보와 계약정보를 관리하는 e-Purchasing Module, 납기준수를 위한 정보활동 내역을 관리하는 e-Expediting Module, 사용자인증 권한 제어 정보를 관리하는 e-Certification Module, 게시판과 Q&A 등을 관리하는 e-Basic Module로 구성된다.

  • PDF

한국의 인증수출자 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Approved Exporter Status in Korea)

  • 이창숙;김종칠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351-373
    • /
    • 2011
  • FTA가 동시다발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특혜 관세의 적용을 위하여 원산지증명서가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산지증명서의 효율적 발급을 위해 원산지 인증수출자 제도가 정착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동 제도가 시행되어 이미 정착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EU FTA 발효 이후에 이슈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시기적으로도 매우 늦은 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 인증수출자 제도를 고찰하고, 동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한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여, FTA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원산지 인증수출자 지정 및 운영과 관련하여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산지 인증수출자 제도에 대한 실질적 홍보를 강화하여 인증수출자 지정 업체수를 늘려야 할 것이다. 둘째, 산업별 맞춤 원산지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여 원산지 인증수출자의 기본적인 인증요건을 손쉽게 갖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원산지관리전담자 양성 기회를 확대하여 해당 인력을 원산지관리전문가로 양성하여야 한다. 넷째, FTA-PASS 서비스 장애 제거를 위한 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사후관리 철저 및 위반에 대한 법규를 강화하여 원산지 인증수출자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 PDF

벤처기업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기업 확인제도 혜택과 벤처기업 내부 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mpetency and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Venture Firm Confirmation System Benefits and Venture Firm Internal Competencies)

  • 박다인;김대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241-253
    • /
    • 2023
  • 현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각 국가는 일자리 창출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벤처기업 및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과 활성화 정책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쟁 심화로 비즈니스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들의 요구가 다양화되는 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업은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우선 기업은 스스로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벤처기업은 내부 자원 및 역량 등이 부족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지원이 기업의 생존으로 연결될 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Timmons, 1994).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재정지원 및 인증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지원은 상황에 따라 기업의 자생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연구개발 지원 및 창업교육과 같은 비 재정적 지원이 벤처기업 성장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Aghion et al., 2012; 전미미·고강혁, 2021). 비 재정적 지원은 사업화, 시설, 공간, 보육, 인력, 인증제도 등으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증제도인 벤처기업 확인제도의 혜택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데이터 및 벤처기업의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6.0 패키지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은 벤처확인제도 혜택이나 벤처기업 역량 수준을 높이는 데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실질적인 경영성과로 이어지기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벤처기업 역량 수준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단순히 벤처기업의 경영환경 수준이 긍정적이거나 벤처기업에 친화적일지라도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지원을 잘 소화할 수 있는 내부 역량이 있는 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랜덤 CA 그룹을 이용한 인증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Authentication Algorithm using Randomized CA Groups in Mobile Ad Hoc Networks)

  • 이용;이구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8호
    • /
    • pp.22-33
    • /
    • 2009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는 유선 환경 기반구조의 도움없이 이동 노드에 의해 자치적으로 자가조직되는 구조이다. 이동 노드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라우팅 정보같이 네트워크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이 이동 노드들 간에 자치적으로 전달되는 특성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보안이 중요한 주제이다. 특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 노드들이 서로를 신뢰 하는데 기반이 되는 인증 메커니즘은 필수적이다. 우리는 [1]에서 분산된 이동 노드들 간의 효율적인 인증을 위하여 랜덤 그룹을 이용한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에서 제안한 메커니즘의 성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는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동노드나 CA의 수에 상관없이 랜덤 CA 그룹의 크기가 10-12일 때, 최저의 비용으로 인증 메커니즘이 동작함을 보여주며, 추후 분산 인증 체계에서 공개키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의 분석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고등학교 급식 조리종사원의 영양지식과 영양교육 경험과의 관계 연구 (Influenc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 이종현;류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77-786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awareness and nutrition knowledg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We analyzed 288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ost of the employees (89.8%) were with contract-managed food services, 45.1% were $41{\sim}50$ years old, and 45.4% had chef certification. Two-thirds of the employees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ly balanced diet' and 'sources of calcium', whereas less than 50% received education on 'problems with carbohydrates', 'functions of iron', 'deficiency and sources of iron'. The degree of nutrition aware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level of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The mean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11.7 out of 20 possible points, The majority of employees correctly identified 'sources of calcium (91.8%)', 'functions of carbohydrates (91.4%)', 'sources of cholesterol (91.0%)', and 'problems with lipids (90.4%)'; less than 50% correctly answered 'sources of proteins (18.9%)', 'functions of iron (27.9%)',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32.0%)', 'functions of lipids (40.2%)', and 'sources of vitamins (44.3%)'. A chi-squar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mployees' actual knowledg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nutrition education - with the exception of three topics;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changes in vitamins during cooking', 'functions of water' - or by their nutrition awareness. Nutrition knowledge scores did not differ by sex, decreased with age, increased with academic background, and increased in careers of >10 years or that were contract manage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nutrition education scores and nutrition awareness scores (p<0.001);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nutrition education scores (p<0.001);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nutrition awareness scores (p<0.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