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Learning

검색결과 4,046건 처리시간 0.029초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간호학생의 성취 경험 (Achievement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hrough Simulation Practicum)

  • 박금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21-72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면서 경험하는 성취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4학년 간호학생 13명으로 시뮬레이션 실습 후 성취경험에 대한 개별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연구 방법인 내용분석에 따라 자료를 코딩, 범주화, 주제화 단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간호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성취 경험에 대한 결과는 '개선을 통해 자신감을 확인하는 과정', '변화를 확인하는 과정', '간호의 효능감을 경험', '임상이라는 목표에 가까워짐' 이었다. 또한 간호학생이 성찰을 통한 지식의 내면화 과정을 확인하고 시뮬레이션실습을 통한 통합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의 면밀한 설계를 통한 효율적인 운영과 평가도구를 적용하는 시도가 진행되기를 제언한다.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 최원호;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48-859
    • /
    • 2008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3%를 표집하여 2006년에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생들의 과학과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방과 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책을 많이 읽을수록, 자기조절 학습정도, 학교 생활 적응 정도, 과학 수업 충실도, 과학 수업 이해 정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묻는 설문 결과에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주도하는 교육 풍토가 입시 위주임을 알 수 있었으나, 학생 관련 배경 변인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에서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단지 공부만을 강조하는 외적 동기 위주의 자극보다는 흥미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습 방법, 인간관계 등 내적인 동기를 자극하는 접근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확장현실 기반 융복합 콘텐츠를 활용한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healthcare field utilizing extended-reality-based converged contents)

  • Ji-Eun Im;Ju-Hee Lee;Soon-Ryun Lim;Won-Jae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7-208
    • /
    • 2024
  • 연구목적: 확장현실 기술은 의료 교육의 대화형 프로세스를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의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 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선정기준에 따른 문헌 검색, 선정, 제외 과정을 통해 확장현실 기술을 활용한 국내 보건의료 연구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관련 문헌 39편을 선정 및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의학, 치의학, 간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확장현실이 적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학업만족도, 몰입도, 흥미 유발 등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미디어 사용의 어려움 및 사이버 멀미 같은 문제가 관찰되었다. 결론: 향후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분야의 다양한 교과 과정에 대한 콘텐츠 개발과 적용을 통한 교육적 접근과 기술의 지속적 발전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f a Artificial Intelligence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Attention Concentra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하용만;장종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5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데이터라벨링 관련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인체공학적 패턴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 제안: 3D 모델링 기반으로 제작한 Half Scale Body Form를 이용하여 (Introducing a New Pedagogical Approach for Ergonomic Pattern Education: Leveraging a Half-Scale Body Form Based on 3D Modeling)

  • 천린;홍유화;박주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8-8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nnovative teaching pedagogy using a half-scale body form in apparel design education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augmen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ergonomic patterns. Constructed in alignment with Phoenix's (2018) study, which used 3D body scanning and digital editing software, the half-scale body form was created through a five-step process, encompassing body measurement, 3D body modeling, fabrication of a physical half-scale body form, pattern making, and evaluation. Implemented in an undergraduate patternmaking course offered at a 4-year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Seoul, this instructional approach's effectiveness was gauged through students' course projects and exit interviews. The results underscor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proposed teaching pedagogy on students' grasp of ergonomic pattern development, fostering a keen understanding of diverse body shapes and siz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garments. Furthermore, it played a role in cultivating positive body image and self-endorsement among students. The research contributes meaningfully by presenting a fresh perspective in apparel design education, seamlessly integrating advanced anthropometric and technological tools into a conventional patternmaking classroom. It offers a novel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majoring in apparel, creating a fun and interactive teaching environment.

대한민국 청소년의 주간 졸음증에 관련된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Daytime Sleepiness in Korean Adolescents)

  • 장은정;김정선;김기태;곽혜선;한지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9
    • /
    • 2024
  • Background: Daytime sleepiness, a common phenomenon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academics, has negative effects on aspects such as growth and overall learning. However, research on various drugs and diseases affecting daytime sleepiness is lacking in the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daytime sleepiness in adolescents with daytime sleepines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2,43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4 to 19.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PDSS), translated into Korean, was used to assess daytime sleepiness. Daytime sleepiness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total score for each item of the PDS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cutoff value of 19, which was the upper quartile. Results: We analyzed a total of 1,770 students including 799 boys and 971 girls. Students with a PDSS score of 19 or higher made up 33.3% of boys and 66.7% of girls. In multivariate analyses, females, smoking, poor self-reported health level, sleep after 12 am, not feeling refreshed in the morning, headache, muscle pain, and scoliosis increased the risk of daytime sleepiness significantly. The AUROC of PDSS, including significant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es, was 0.751 (95% CI 0.725~0.776). Conclusions: Daytime sleepiness in adolescents affects growth, academic performance, and emotional stabi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medications, diseases, and other factors that affect daytime sleepiness on a social level.

빅데이터의 연관규칙과 브랜드 충성도를 활용한 패션품목 구매패턴과 구매채널 전환패턴 분석 (Analyzing fashion item purchase patterns and channel transition patterns using association rules and brand loyalty in big data)

  • 권기용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199-214
    • /
    • 2024
  • Until now, research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has primarily focused on psychological aspects or depended on consumer surveys. However, there may be a gap between consumers' self-reported perceptions and their observable actions. In respon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tilizing a big data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fashion items, both online and in retail stores, from a data-driven perspective.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 consumers switched between online websites and retail establishments for making purchases. Data on 516,474 purchases were obtained from fashion companies. We used association rule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to identify purchase patterns that were influenced by customer loyalty. Furthermore, sequential pattern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usage patterns of online and offline channels by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loyalty consumers mainly purchased infrequently bought items in the brand line, as well as high-priced items, and that these purchase patterns were similar both online and in stores. In contrast, the low-loyalty group showed different purchasing behaviors for online versus in-store purchases. In physical environments, the low-loyalty consumers tended to purchase less popular or more expensive items from the brand line, whereas in online environments, their purchases centered around items with relatively high sales volumes. Finally, we found that both high and low loyalty groups exclusively used a single preferred channel, either online or in-store. The findings help companies better understand consumer purchase patterns and build future marketing strategies around items with high brand centrality.

글로벌 TVET에서의 PBL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Application of PBL at Global TVET)

  • 김미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71-577
    • /
    • 2024
  • 본 연구는 직업교육훈련 과정에서의 PBL 적용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A대학교의 글로벌 TVET 과정에 PBL을 적용하여 문제 제시, 자료 수집 및 학습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안 탐색 및 작성, 문제해결안 발표 및 성찰 등의 절차로 수업을 구성 후 8주 동안 운영하였다. 이후 참여 학생들의 인식 및 학습 몰입 및 만족도 등을 서면 면담과 설문으로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PBL 경험 전반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 몰입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또한 PBL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과정 및 팀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이 함양됨을 느꼈다는 반응들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TVET에서의 PBL 적용을 위한 적용 가능성, 내용 분석 및 학습자 분석의 선행, TVET 과정에의 PBL 적용 확산을 위한 관련 지원의 구체화 및 PBL 적용 TVET 운영을 위한 교수역량 강화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Prevalence of malocclusions and parafunctional habi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 Federica Guglielmi;Anna Alessandri-Bonetti;Geraldine Gemelli;Linda Sangalli;Patrizia Gallenz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29-238
    • /
    • 2024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dental malocclusion, orthodontic parameters, and parafunctional hab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Methods: Forty pediatric patients (67.5% boys and 32.5% girls, mean age: 11.02 ± 2.53 years, range: 6-15 years) with DD were compared with 40 age- and sex-matched healthy participants for prevalence of dental malocclusion, orthodontic parameters, and parafunctional habits. Dent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an orthodontist. Results: Pediatric patients with DD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Angle Class III malocclusion (22.5% vs. 5.0%, P = 0.024), deep bite (27.5% vs. 7.5%, P = 0.019), midline deviation (55.0% vs. 7.5%, P < 0.0001), midline diastemas (32.5% vs. 7.5%, P = 0.010), wear facets (92.5% vs. 15.0%, P < 0.0001), self-reported nocturnal teeth grinding (82.5% vs. 7.5%, P < 0.0001), nail biting (35.0% vs. 0.0%, P < 0.0001), and atypical swallowing (85.0% vs. 17.5%, P < 0.0001) compared to that in healthy controls. Conclusions: Pediatric patients with DD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Class III malocclusion, greater orthodontic vertical and transverse discrepancies, and incidence of parafunctional activities. Clinicians and dentists should be aware of the vulnerability of children with dyslexia for exhibiting malocclusion and encourage early assessment and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2022 개정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전략, 미완의 과제: 교육과정 개발 경험을 통한 성찰적 관찰을 중심으로 (Development Direction & Strategy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Unfinished Tasks: Focusing on Reflective Observ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79
    • /
    • 2023
  • 이 연구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참여라는 경험을 스스로 질문하고 검토하고 숙고하면서 재평가하는 성찰적 관찰의 방법으로 접근하여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의 구축을 연구자 개인의 배움으로 이끌어내며, 동시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지식과 이론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모든 학습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여전히 자신과 주변, 그리고 세상이 더 나은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선택하면서 살 것이다." 둘째, 전체 교육과정 구조에서 가정과교육의 가치는 "가정과교육은 미래세대가 더 나은 삶, 즉 더 좋은 삶을 영위하게 하는데 필요한 힘(역량)을 함양하도록 하는 생활교과"이다. 셋째, "예측 불가능한 미래사회에서도 모든 인간과 세상을 지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래 교육에서 의도적인 학습의 영역으로 청소년들에게 'Good Life Literacy'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이 핵심이 되어야 하며, 가정과교육은 이를 위한 핵심적 교과이다"로 도출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실무행위에 대한 성찰적 실천을 통해 구축한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이론이 더 많은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