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s germination

검색결과 1,213건 처리시간 0.029초

화학약품처리(化學藥品處理), 종피제거(種皮除去) 및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개상사화(想思花)의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hemicals, Decoating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in Lycoris aurea)

  • 박윤점;정연옥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2-177
    • /
    • 1996
  • 개상사화의 종자발아촉진(種子發芽促進)을 위하여 종피제거(種皮除去), 배유(胚乳)의 일부절제(切除)와 xylene처리(處理),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와 화학약품처리(化學藥品處理) 및 저온처리(低溫處理)를 실시(實施)하여 파종 4개월후 발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피제거(種皮除去)는 무제거(無除去)에 비해 발아율(發芽率)을 높일 수 있었고 특히 종피제거(種皮除去)+xylene처리(處理) 는 63%의 발아율을 얻었다. 2. $GA_3$는 kinetin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특히 $GA_3$ 200ppm에서 6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3. $KNO_3$는 KOH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특히 $KNO_3$는 0. 1% 처리(處理)에서 76%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자(種子)를 $5^{\circ}C$ 1개월(個月) 저온처리후(低溫處理後) 파종(播種)한 발아율(發芽率)은 77%, 2개월(個月) 처리(處理)는 93%, 3개월(個月) 83%, 4개월(個月) 80%로 $5^{\circ}C$ 저온(低溫) 2개월(個月) 처리후(處理後)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 PDF

종피의 연화처리, 세척 및 건조가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Coat Softening, Washing and Drying on Seed Germination of Gourd)

  • 강진호;강신윤;전병삼;이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94-699
    • /
    • 2002
  • 본 연구는 파종전 종자처리에 의해 박 종자의 발아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종피연화, 세척, 저온 및 건조 중 적색광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피연화는 염기성인 KOH 또는 NaOH로 처리하는 것보다 산성인 acetone과 acetonitrile 10% 용액에 1시간 처리하였을 때 발아율이 증가되고 발아가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Acetone으로 종피연화 시킨 종자는 이후에 행하여지는 저온처리의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 KOH로 종피연화 시킨 종자는 저온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 발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3) 종피연화 후 흐르는 수돗물로 1시간 세척시킨 종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것보다 높았다. 4) 종피연화, 세척 및 저온처리를 경과가 이루어진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암처리보다는 적색광을 처리하였을 경우 발아율이 높았다.

Priming 조건이 양파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Conditions on Enhancing Germination of Onion (Allium cepa L.) Seeds)

  • 조상균;서홍렬;오영진;심강보;최경구;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1-198
    • /
    • 2006
  • 양파 종자의 초기발아 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시 그 적정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priming 처리 약제의 종류와 농도, priming 처리 기간과 온도, priming 처리후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파종자의 초기 발아 촉진 및 발아율 향상을 위한 priming 처리결과 최종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에 효과적 이었으며, priming 처리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50 mM 농도의 KCl이였으며,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는 $10^{\circ}C$에서 6 일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발아율은 96%로 일반종자의 82% 에 비해 14%가 높았다. 2. Priming 처리한 종자는 발아온도 $20^{\circ}C$ 이상보다는 $10^{\circ}C$$15^{\circ}C$의 저온에서 발아율 향상 및 발아 소요일수 단축 효과가 커서 적온보다는 저온에서 priming 처리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iming 처리한 후 종자 건조 조건은 $20^{\circ}C$에서 5 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좋았다.

새싹 종자 소독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Germination Rat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Cultivation of Disinfected Seeds)

  • 박은정;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2-2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싹종자 소독처리 여부에 따른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수준을 파악하고, 종자소독이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입산 새싹종자 알팔파(alfalfa), 브로콜리(broccoli), 클로버(clover), 적양배추(red cabbage), 적무(red radish) 5종에 대하여 소독제 처리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독제 종류에 관계없이 새싹종자(알팔파, 클로버, 적무)는 48시간 후 90% 이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종자 소독 시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 수준을 보였으나, 발아과정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모두 $10^7-10^8CFU/g$으로 종자소독 여부에 관계없이 종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오염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종자 소독하지 않은 클로버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위생적인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FDA 권고에 따라 재배전 종자의 소독이 필요하며, 발아과정의 HACCP 관리계획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잔디종자의 발아촉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ethod for promoting the germination of sod seed)

  • 조재영;김봉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5-129
    • /
    • 1968
  • 수확후 시일이 오래 경과되지 않은 금잔디종자의 발아촉진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를 흡수시켜서 0~$2^{\circ}C$에 2~30일 냉장하는 것은 발아조장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2) 종자를 농유산에 넣고 유리막대로 잘 교반하며 1분 30쯤 경과한 다음 수세 파종하는것도 발아조장의 효과가 컸다. 그러나 처리가 지나쳐서 종자가 흑별할 저오닥 되면 도리어 해롭다. (3) 잔디종자의 발아는 광선이 투입될 경우에 조장되며 복토는 발아를 감퇴시킨다. (4) 혼사종피마상 및 선부절제도 약간의 발아조장효과가 있는 것 같다. (5) 지벨레린, $NH_4$ $NO_3$, NAA 등의 처리는 발아조장효과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종자 전처리 및 환경조절이 삽주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Environment Controls on Germination of Atractylodes japonica Seeds)

  • 전권석;송기선;윤준혁;김창환;김종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94-40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seeds, and it was to develop the more efficient pre-treatment and production system of the seeds.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ways-temperature control (10, 15, 20, $25^{\circ}C$) and shading treatment (full sunlight, 35, 50, 75, 95% of full sunlight). Seed pre-treatment before the each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emperature (with low temperature and wetting treatment (LTW) for 0, 15, 30, 45 and 60 days) and shading treatment (with drying at room temperature (DRT), drying at low temperature (DLT) and water soaking (WS) for 48 hours). Seeds of A. japonica were germinated well under temperature control (overall 85.3~100%),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the seeds pre-treated with LTW for 45 days germinated with a 100% success rate. Under the surveying shading treatment,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95.8% with DRT and overall 63.2~95.8%. Germination rate under seeds with WS was 63.2~7.8%.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 japonica seeds don't need to pre-treat cause of high germination, but if it is performed with LT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would be more productive.

Effect of Gibberellin Acid on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Dicentra spectabilis (L.) Lem. Seeds

  • Cho, Ju Sung;Lee, Cheol H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0-60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seed propagation method of Dicenta spectabilis (L.) Lem. which is an ornamental plant native to Korea.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seeds of D. spectabilis were morphophysiologically dormant (MPD), and high and low temperature of stratification were continuously required for the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of the seeds. Especially, it was most effective to store for 1 month at $20^{\circ}C$ and then to transfer to $4^{\circ}C$. The treatment of $GA_3$ was carried out to promote embryo development and germination. The seeds were submerged in 100, 200 or $500mg{\cdot}L^{-1}$ $GA_3$ for 72 hours and then stored at various conditions as follow. The temperature conditions disposed of this experiment were 1 month at 10, 15, 20, and $25^{\circ}C$ or 2, 4, 8, and 12 months at $4^{\circ}C$,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length of embryo and germination rate of the seeds were the best when stored at $4^{\circ}C$ for 8 months after $500mg{\cdot}L^{-1}$ $GA_3$ treatment. Besides, when the seeds stored at $4^{\circ}C$,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bryo length and germination rate were shown with $GA_3$ concentration and storage period. It was also proved that high-concentration of $GA_3$ could replace the high temperature and could promote germination. Consequentially, the D. spectabilis seeds were classified into intermediate simple levels among MPD types.

  • PDF

들깨 종자의 발아에 따른 단백질 및 지방의 조성 변화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 정대수;김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18-325
    • /
    • 1998
  • To investigate changes in pro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seed storage protei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ermination perilla(Perilla frutescens) seeds. Also, the corresponding value components in cotyledons, hypocotyles and roo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germination s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During germination, per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of Yepsil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decreas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protein contents rapidly decreased to the 3 days after germination(DAG), and then total lipid contents rapidly decreased between 3 DAG and 10 DAG. In changes of pro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of cotyledons, protein contents of Yeupsildalggae was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but Kwangyang cultivar was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The total lipids contents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de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According to SDS-PAGE analysis, there was no detectible polypeptide bands on the gel before seed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of the storage proteins in the mature seed by hydrolyttic enzymes during the stage. During germinatation , the polypeptide band with 27$\sim$28KD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accumulated gradually. In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However, oleic acid increased to the 5 DAG, and then was repidly decreased.

  • PDF

담배종자의 발아조건에서 수분흡수, 호흡 및 저장물질의 변화 (Changes of Moisture Uptake. Respiration and Chemical Contents in Germinating Tobacco(Nicotiana tabacum L.) Seeds)

  • 민태기;윤경은;김웅주;강정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3-298
    • /
    • 1986
  • 담배종자의 발아생리를 깊게 이해하여 건묘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종자를 파종하여 발아될 때까지 종자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명암조건 및 온도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아과정중 수분흡수는 치상후 3∼6시간까지 물리적인 수분흡수단계, 다음 6시간부터 24시간까지 보합세유지 세째단계로 48시간∼168시간까지 급격한 수분흡수 증가를 보이는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암조건 및 저온에서는 세째단계의 급격할 수분흡수 양상을 볼 수 없었다. 2. 발아과정중 호흡의 변화도 수분흡수와 비슷하여 처음 48시간까지 호흡의 증가가 없었으나 48시간 이조 발아시작과 함께 급격허 상승하여 120시간을 전후하여 최고에 달하였다가 점차 떨어졌다. 반면, 암조건에서는 호흡이 매우 낮고 변화가 없었다. 3. 발아신 호흡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산의 감소가 상응하게 일어났으며 당 및 지방산의 변화가 광조건에서는 많이 변화하였으나 암조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파 펠렛종자 생산을 위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 선발 (Selection of Binder and Solid Materials for Pelleting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Seeds)

  • 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21-730
    • /
    • 2002
  • 본 연구는 파 종자의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며, 파 종자 펠렛용으로 적합한 접착제 및 피복재료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 종자처리는 발아율을 증진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50%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T_{50}$)와 MDG는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다.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은 500$\mu$M의 $GA_3$로 1일간 처리였다.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발아적온보다는 저온인 $15^{\circ}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의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아속도는 대조구 종자에 비해 약 0.3~0.5일 지연 되었다. 종자 펠렛용 접착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발아율이 약간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및 Methyl cellulose(MC)에서 뚜렷하였다. 종자 펠렛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와 Polyvinyl pyrrolidone(PVP)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하더라도 발아를 크게 억제하지 않아, 파 펠렛종자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접착제였다. 펠렛 피복재료 중 kaoline, bentonite + kaoline 혼합물질 및 bentonite + CC + DME #300 혼합물질로 펠렛된 종자에서 높은 발아율과 발아세를 보여 파종자의 펠렛에 적합한 피복재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