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treatments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2초

Rubber seed oil and flaxseed oil supplementation on serum fatty acid profile, oxidation stability of serum and milk, and immune function of dairy cows

  • Pi, Yu;Ma, Lu;Wang, Hongrong;Wang, Jiaqi;Xu, Jianchu;Bu, Dengp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63-1372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supplementation with rubber seed oil and flaxseed oil on serum fatty acids profile, oxidation stability of serum and milk, and immune function of dairy cows. Methods: Forty-eight mid-lactation Holstein dairy c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for 8 wk, including basal diet (CON) or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4% rubber seed oil (RO), 4% flaxseed oil (FO) or 2% rubber seed oil plus 2% flaxseed oil (RFO) on a dry matter basis. Results: Compared with CON, all the oil groups increased the levels of trans-11 C18:1 (vaccenic acid), cis-9, trans-11 C18:2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C18:3 (${\alpha}$-linolenic acid, ALA) in serum. Both the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in serum and milk in oil groups were decreased, whic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cis-9, trans-11 CLA and ALA. The concentrations of proinflammatory factor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feron ${\gamma}$) in serum of oil groups were lower than that from the CON cow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 supplementation with RO or FO could alter serum fatty acid profile and enhance the immune function of dairy cows. However, the negative effect on milk oxidation s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feeding thes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enriched oils in dairy production.

Variation in the Resistance of Japanese Soybean Cultivars to Phytophthora Root and Stem Rot during the Early Plant Growth Stages and the Effects of a Fungicide Seed Treatment

  • Akamatsu, Hajime;Kato, Masayasu;Ochi, Sunao;Mimuro, Genki;Matsuoka, Jun-ichi;Takahashi, Mam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19-233
    • /
    • 2019
  • Soybean cultivars susceptible to Phytophthora root and stem rot are vulnerable to seed rot and damping-off of seedlings and young plants following an infection by Phytophthora sojae. In this study, the disease responses of Japanese soybean cultivars including currently grown main cultivars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s were investigated following infections by multiple P. sojae isolates from Japanese fields. The extent of the resistance to 17 P. sojae isolates after inoculations at 14, 21, and 28 days after seeding varied significantly among 18 Japanese and two US soybean cultivars. Moreover, the disease responses of each cultivar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 sojae isolate and the plant age at inoculation. Additionally, the treatment of 'Nattosyo-ryu' seeds with three fungicidal agrochemicals provided significant protection from P. sojae when plants were inoculated at 14-28 days after see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ne of the Japanese soybean cultivars are completely resistant to all tested P. sojae isolates during the first month after sowing. However, the severity of the disease was limited when plants were inoculated during the later growth stage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tested agrochemicals were maintained for at least 28 days after the seed treatment. Japanese soybean cultivars susceptible to Phytophthora root and stem rot that are grown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favorable for P. sojae infections require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practices, such as seed treatments with appropriate agrochemicals, to ensure they are protected from P. sojae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soybean growing season.

임도 비탈면 녹화식물의 종자피복 및 복토처리가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Coating and Mold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habilitating Plants in Forest Road Slopes)

  • 이병태;박종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6-447
    • /
    • 2006
  • 임도를 비롯한 각종 훼손지 비탈면에서 종자뿜어붙이기 공법에 의한 녹화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참싸리, 낭아초, 새,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러니얼 라이그래스를 재료로 하여 종자피복 및 복토 여부에 따른 종자발아 및 유묘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시험식물에서 종자의 피복처 리는 무피복에 비해 복토파종과 겉뿌림에서 모두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 켰다. 종자피복에 의해 전체 평균 발아율은 복토파종과 겉뿌림에서 각각 11.2%와 21.4% 향상되었다. 또한 발아세는 식물종과 처리에 따라 $0.8{\sim}3.7$일 단축시켰고, LD50은 $0.8{\sim}2.6$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모든 시험식물에서 종자피복에 의해 발아개시 일은 1일 이 내에서 지연되었다. 2. 종자피복은 식물의 지상부와 뿌리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즉 종자피복에 의해 전체 평균 지상부생장은 복토파종과 겉뿌림에서 각각 21.7%와 34.8%향상되었고, 전체 평균 뿌리 생장은 복토파종과 겉뿌림에서 각각 22.0%와 26.2% 향상되었다. 3. 피복종자를 복토파종한 것은 겉뿌림 에 비해 발아 개시 일을 평균 1.3일 지 연시 켰으나, 발아율을 평균 5%향상시켰고, 발아세와 LD50을 각각 1.0일과 1.4일 단축시켰다. 그러나 종자피복에 의한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의 향상효과는 복토파종에서보다 겉뿌림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종자 피복재료 중에서는Vermiculite+Talcum가 시험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있어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Bentonit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oxide을 이용한 종자피복도 무피복에 비해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5. 5종의 시험식물 가운데서 종자피복을 통한 발아향상효과는 낭아초에서, 유묘생장 촉진효과는 참싸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크기가 작은 초본류의 종자보다는 크기가 큰 목본류의 종자에서 종자픽복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6. 따라서 종자뿜어붙이기 공법으로 파종한 후에 복토를 할 수 없는 훼손지 비탈면에서는 녹화용 식물의 종자를 Vermiculite+Talcum 등으로 피복하여 파종함으로써 안정적 인 조기녹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채의 $F_1$ 종자 생산시 종자친과 화분친의 재식비 및 등숙시기별 종자의 지방산 분석 (Effect of Planting Ratio of Male Sterility (MS) and Restorer Line (RL) on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during Seed Filling Period in $F_1$ Seed of Brassica napus L.)

  • 구양규;양선영;정용수;김현성;서미정;안성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26-231
    • /
    • 2010
  • 이 실험의 목적은 유채 $F_1$ 종자 생산시 종자친과 화분친의 재식비 및 수확시기별 종자의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안정적인 종자 생산을 위해, 두 가지의 실험을 노지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1은 $F_1$ 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친과 화분친의 재식 비별(4:2, 10:2, 10:1)로 정식하였고 유채 개화 후 40, 45, 50, 55, 60에 지방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2는 $F_2$ 종자의 개화 후 등숙시기별로 종자를 수확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 종자친과 화분친 재식비에 따른 등숙시기별 유채 종자의 지방산 조성 및 함량은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지방산의 오염 정도 척도인 erucic acid는 재식비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자친과 화분친의 비에서 얻어진 $F_1$$F_2$ 종자 비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과 linoleic acid은 등숙 시기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oleic acid는 두 실험 모두에서 개화 후 55일까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개화후 60일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방산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SAD, FAD1 및 FAD2의 발현양상도 등숙 시기별 지방산 조성 및 함량과 일치하였다. 이런 결과는 종자친과 화분친의 비에 따른 재식비과 $F_2$종자의 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이 큰 문제가 되지 않음을 보여주므로 $F_1$ 종자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종자친의 파종비는 늘리고 화분친비를 줄이면 유채 종자 생산량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가 된다.

담배종자의 파종 전처리가 발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Treatments of Tobacco See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7-512
    • /
    • 1993
  • 담배종자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 담배종자는 보통 2월 하순경부터 조기에 파종하는 경향이므로 저온조건에서의 발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온조건에서 발아가 촉진되고 또한 균일한 묘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담배종자를 묘상에 직파했을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파종 전에 담배종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처이하여 발아속도의 촉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육묘의 성력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파종 전 처리로 인하여 최종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발아속도, 온실에서의 출현속도는 SMP, PEG, DPI처리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SMP처리에서 월등하였다. 2. SMP처리에서 묘의 생장도 가장 켰고 아울러 묘가 가장 균일하였다. 3. SMP처리시 처리재료로 사용된 Agro-Lig의 수분함량은 일정량이상일 경우에 전처리효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처리시의 온도는 높은 온도(2$0^{\circ}C$)에서 처리한 것이 낮은 온도(15$^{\circ}C$)에서 처리한 것보다 정의 방향으로 발아속도 및 출현속도에 영향이 켰다.

  • PDF

Effects of Date and Growth Regulators on the Culture of' Immature Zygotic Embryos of North American Ginseng

  • Hovius, Marilyn H. Y.;Saxena, Praveen K.;Proctor, John T. 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14-22
    • /
    • 2007
  • As the zygotic embryo of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matured during stratification over 203 days it grew from 0.75 to 5.2 mm. Embryo excision and culturing on medi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wo growth regulators, gibberellic acid ($GA_3$, 1 to 10 ${\mu}M$) and benzyladenine (BA, 1 to 5 ${\mu}M$), during stratification, showed that shoot and root number and the shoot, root and cotyledon length increased with increased stratification time. Gibberellic acid was the more effective growth regulator for increasing shoot and root number and shoot, root and cotyledon lengths. Immature embryos (stratified for up to 63 days) needed growth regulators for further development. Cultures on $GA_3$ at the last culture date (stratified for 203 days) when embryos were mature, produced multiple shoots but there was no effect of $GA_3$ concentration. Benzyladenine inhibited shoot and root growth regardless of embryo stratification. Growth regulators had little effect on cotyledon length of mature embryos. Embryos cultured on $GA_3$ combined with BA were green on all culture dates whereas greening in the control and BA treatments increased with culture date. The BA treatments induced 100% swelling of the embryos on the final culture date while in the control and $GA_3$ treatments there was no swelling. There was little or no curling in the control and BA treatments and a linear decrease in curling with culture date in the $GA_3$ and $GA_3$ + BA treatments.

Effect of Biofertilizers on Vegetative Growth of Okra

  • Ashrafuzzaman, M.;Nuruzzaman, M.;Islam, M.Zahurul;Islam, M.Rafiq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80
    • /
    • 2003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Field Laboratory of the Department of Crop Botany, Bangladesh Agricultural University, Mymensingh from March to July, 200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ofertilizers on morpho-physiological characters of okra. The experiment was laid ou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There were nine treatments such as $\textrm{T}_0$ (control), $\textrm{T}_1$ (Azotobacter biofertilizer), $\textrm{T}_2$ (Azospirillum biofertilizer), $\textrm{T}_3$ (Azotobacter+Azospirillum biofertilizers), $\textrm{T}_4$ (Azotobacter+Cowdung 5 ton $\textrm{ha}^{-1}$), $\textrm{T}_5$ (Azospirillum+Cowdung 5 ton $\textrm{ha}^{-1}$), $\textrm{T}_6$(Azotobacter+Azospirillum+Cowdung 5 ton $\textrm{ha}^{-1}$), $\textrm{T}_7$ (Cowdung 5 ton $\textrm{ha}^{-1}$) and $\textrm{T}_8$ (60% Nitrogen).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significant variations exist among the treatments regarding morphological characters e.g.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plant, stem base diameter, tap root leng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like, root dry weight, leaf area index and crop growth rate. Number of leaves/plant, stem base diameter, root length, root dry weight, leaf area index and crop growth rate were found higher in $\textrm{T}_4$, $\textrm{T}_5$, $\textrm{T}_6$ and $\textrm{T}_8$ than the others. In all the parameters, $\textrm{T}_8$ gave the similar result with biofertilizers in combination with cowdung treatments and $\textrm{T}_7$ showed identical with $\textrm{T}_0$ (control). Biofertilizer treatments had insignificant effect on 1000-seed weight(g). Experimental results mentioned above revealed that morpho-physioligical characters of okra could be modified by the application of biofertilizer+cowdung. However, biofertilizers+Cowdung treatments were comparable to $\textrm{T}_8$(60% Nitrogen) in this study. This suggests that $\textrm{T}_4$ or $\textrm{T}_6$ or $\textrm{T}_5$ were more benificial in environmentally friendly okra cultivation and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of inorganic nitrogen by saving cost of production and sustaining productivity.

침지처리가 콩나물의 생육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oaking Treatments on Growth and Rot of Soybean Sprouts)

  • 최희돈;김성수;김경탁;이진열;박원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4-589
    • /
    • 2000
  • 항균물질을 사용하여 나물콩을 침지처리함으로써 콩나물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침지조건을 검토하였다. 적정 침지시간은 20분이었으며 citric acid, chitosan 등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발아율 감소가 일어나지 않은 반면 상당한 부패율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GFSE, chitosan, 인산용액의 침지 효과가 켰다. Ethanol 침지처리를 제외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중량 및 수율중가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chitosan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수율 67%, 개체중량 6.9% 및 전체길이 9.5%의 중가가 나타나 그 효과가 월둥하였다. 침지처리에 의해 나물콩에 부착된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재배중 콩나물의 부패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 잡초 및 병해충 방제 방법의 개발;적외선 조사가 잡초종자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Weed and Pest Control by means of Physical Treatments;Effect of infrared irradiation on viability of weed seeds)

  • 강화석;유창연;강위수;이귀현;오재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6-90
    • /
    • 1996
  • 본 연구는 LPG를 사용한 방열장치를 이용하여 잡초종자를 열처리한후 처리온도간에 차이가 있다는 판단하에 잡초종자의 발아력에 관계하는 잡초의 종류, 잡초종자의 상태, 조사시간을 실험의 변수로 선택하여 그 주효과 및 각 변수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열처리 잡초방제 방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잡초종자는 화본과인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S.)와 쌍자엽잡초인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건조종자 및 습윤종자(증류수에 24시간 침지)를 사용하였고, 5개의 온도 수준과 8개수준의 조사시간으로 각 종자를 똑같이 처리하였으며 각 처리별로 3회 반복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변수에 대한 잡초종자의 발아력은 처리 온도가 $150^{\circ}C$일 때를 제외하고 평균 발아율이 모두(1% 유의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종자의 처리상태에 대해서는 평균 발아율이 $60^{\circ}C$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80^{\circ}C$, $100^{\circ}C$, $200^{\circ}C$에서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150^{\circ}C$에서는 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시간에 따른 잡초의 평균발아율은 모든 처리온도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1% 유의수준), 모든 온도수준에서 잡초의 종류와 조사시간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유의수준). 3) 잡초의 처리상태와 조사시간 사이에도 역시 각 온도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1% 유의수준), 잡초의 종류와 잡초의 처리상태 간에는 $60^{\circ}C$를 제외한 모든 온도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유의수준). 4) 잡초의 평균발아율은 각 온도 수준에서 조사시간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홍화씨 Youghurt 급여가 난소절제 Rat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fflower Seed Yoghurt on the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

  • 김기영;김상범;임종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69-76
    • /
    • 2004
  • 홍화씨 yoghurt가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ham-operation되어 6주간 정상식이한 군을 대조구로 하였고, 난소 절제하여 6주간 저칼슘식이한 군을 정상식이군(G I), yoghurt를 첨가하여 사육한 군(G II) 및 1%${\sim}$4%홍화씨yoghurt를 첨가하여 사육한 군(GIII${\sim}$GVI)으로 구분하여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효율을 알아보았고, 왼쪽 대퇴골의 무게, 밀도, 길이, 강도, 회분 및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오른쪽 대퇴골의 조직을 SEM으로 관찰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구조와 실험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효율 및 체중 증가량은 홍화씨 yoghurt 식이구가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며, 특히 GV와 GVI구가 높게 나타났다. 왼쪽 대퇴골의 밀도, 강도, 회분 및 미네랄 함량은 대조구와 G I간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홍화씨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무게와 길이는 전 실험구에 있어서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4% 홍화씨 yoghurt 식이구(GVI)가 가장 골다공증 치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홍화씨 yoghurt 식이가 난소 절제 및 저칼슘식이를 한 rat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정상식이 및 yoghurt 식이구보다 홍화씨 yoghurt 식이구가 높은 치유효과를 보였으며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