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prout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발아일수에 따른 해바라기 싹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unflower Sprout According to Germination Day)

  • 노경래;고성희;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4
    • /
    • 2012
  • It is well known that sunflower (SF) sprout has more beneficial effects than SF seed due to increased levels of phytochemic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total phenolics, and isoflavones during germin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F seed during both germination and cultivation. In a proximate analysis, the water content of SF groat was 9.17% and then increased to 15.32% on the 11th day after seeding. On a dry weight basis, crude fat content de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creased. As cultivation proceeded, the contents of minerals were in decreasing order of K, Mg, Ca, Na, Zn, Fe, Mn, and Cu, in which SF sprout cultivated for 9 or 11 days contained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Though vitamin C was not detected on SF groat, the content of vitamin C continuously increased up to the 5th day of cultiv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Vitamin E content in SF groat was higher than that in SF sprout. It was also found that the vitamin E content in SF sprout was the highest on the 5th day of cultivation. Daidzin was not detected in SF groat, but its concentration reached a maximum on the 5th day of cultivation in SF sprouts. Furthermore, higher amounts of daidzein were observed on the 3rd, 5th, and 9th days of cultivation.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observed on either the 3rd or 5th day of cultivation.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henolics was observed on the 5th of cultivation. When DPPH radical and pe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F sprout were measured in order to measure antioxidant efficacy, it was found that 5 day-cultivated SF sprout ha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In conclusion, SF sprout cultivated for 9 or 11 days was found to be a good source of minerals. Furthermore, the fifth-day after seeding was the optimal time for the production of SF sprout with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activity and high amounts of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total phenolics, and isoflavones.

수수의 종자와 새싹채소의 기능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unds on the Seeds of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and Their Sprouts)

  • 전현식;전승호;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9-511
    • /
    • 2017
  • 이 연구는 유기농 수수의 곡물과 새싹채소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 활성, 일반성분을 알아봄으로써, 수수의 유기농 농산물로써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수수의 유광 새싹채소는 종자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도 새싹채소에서 1.6~9.87배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 중 총 polyphenol 함량은 유광 새싹채소에서 평균 $4,135mg\;GAE\;g^{-1}$으로 높았으나, flavonoid 함량은 종자에서 평균 $3.86mg\;GAE\;g^{-1}$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에서 평균 $15.78mg\;TE\;g^{-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광 새싹채소와 무광 새싹채소에서는 평균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종자에서 평균 $15.79mg\;TE\;g^{-1}$으로 새싹채소에 비해 11배 이상의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동안메'는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에 비해 종자와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내었다.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품종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광처리와는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농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 공급원의 이용시 종자('동안메')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수 새싹채소의 영양학적인 유기농 식품으로써의 이용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최아장, 과산화석회 처리 및 파종심도가 입모수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 Length, $Ca0_2$ Coating and Seeding Depth on Seedling Stand and Early Growth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 김상수;박홍규;최원영;이선용;조수연;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5-301
    • /
    • 1996
  •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향상을 위한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1995년에 발아시험기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최아장, 과산화석회 (CaO$_2$) 종자분의 및 파종(매몰)심도에 따른 출아, 입모 및 초기 생육을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 및 입모율은 최아장이 길수록 향상되었고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저하되었는데 입모율이 l0% 이하로 현저히 저하된 최아장별 파종심도는 무최아 0.5cm, 2mm 최아 1.0cm, 4mm 및 6mm 최아는 2.0cm이었다. 2. 최아장이 길수록, 파종심도가 말을수록 초장이 크고 건물중이 무거웠으며 입수도 많았다. 3. 최아장 6mm에서는 파종이 불균일하고 파종립수가 매우 적어 입모수 및 입모의 균일도가 매우 낮았으나 최아장 4mm에서는 파종이 균일하고 입모율 및 입모의 균일도가 높았다. 4. CaO$_2$종자분의로 출아율 및 입모율이 향상되었으며 CaO$_2$분의에 의한 입모향상 효과는 최아종자보다 무최아종자에서 컸다. 5. CaO$_2$ 처리로 입모율 50% 이상을 보인 파종심도는 무최아종자, 최아종자 모두 1.0cm까지이었으며 파종심도 3cm에서는 모든 처리 에서 전혀 입모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최아장은 3~4mm라고 생각되며 CaO$_2$를 분의 하더라도 입모의 안정을 위하여는 종자가 출아전에 1cm 이상 매몰되지 않도록 파종 전후 물관리를 적절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홍화의 부위별 화학성분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 김준한;김종국;강우원;하영선;최상원;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33-738
    • /
    • 2003
  • 홍화의 식품재로로서 이용성을 높이고자 홍화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DPPH radical소거 활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은 어린싹 부위에 28.39%, 지방은 씨부위에 20.47%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Glucose는 어린싹에 1253.6 mg%, fructose는 어린싹에 970.7 mg%, sucrose는 꽃봉오리 부위에 912.0 m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Succinic acid는 꽃잎부위에 2795.3 mg%, malic acid는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054.8 mg%와 934.2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로는 K이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826.8 mg%와 1999.8 mg%, Ca 또한 잎과 어린싹 부위에 각각 2613.6 mg%와 1160.9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Llinoleic acid는 어린싹과 씨부위에 각각 80.01%와 78.27%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총페놀함량은 꽃잎, 어린싹, 잎 부위에 각각 5.8%, 4.4% 및 2.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잎, 어린싹, 잎 부위에 각각 4.7%, 6.5%및 2.0%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화합물인 serotonin-I 은 홍화씨 부위에 147.7 mg%, serotonin-II또한 홍화씨 부위에 155.4mg%를 함유하고 있었고, flavonoid화합물인 acacetin도 홍화씨 부위에 116.5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luteolin은 어린싹 부위에 388.3 mg%, luteolin 7-g1ucoside는 잎 부위에 692.3 mg%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꽃잎과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114.2%와 113.6%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기존의 합성항산화제인 BHA 100ppm 농도의 88.05%의 활성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벼 최아후 건조종자의 발아능력 (Germination Ability of Pregerminated and Dried Rice Seed)

  • 권태오;정진일;노태환;남궁승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7-322
    • /
    • 1997
  • 1차 최아되었던 법씨의 활력증진 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최아 정도별 현미의 유기 및 무기성분의 함양변이와 조ㆍ중오ㆍ만생종별 각각 2품종을 공시하여 기상생태형간의 차이 및 gibberellin 처리가 종자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아 정도별 단백질함량은 무최아 종자에서 높았고 최아가 진전되어 최아장이 클수록 낮았으나, 지방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 칼리함량은 무처리 종자에서 낮았고, 최아가 진전된 종자는 높았는데 최아장이 10mm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도 처리간 차이는 작았지만 경향은 가리함량의 경우와 같았다. 그러나 Mg /K 비율은 최아장이 클수록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3. 재발아능력은 숙기가 이른 품종들이 높았는데, 최아가 5mm 이상 되었던 종자들은 재발아능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4. 침종 후 바로 말려서 파종한 종자의 재발아율은 1차 최아되었던 최아장 0.1∼0.5mm인 종자의 재발아율보다 낮고, 최아장 1∼3mm인 종자의 경우와 비슷함을 보였다. 5. 재발아율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는 10ppm에서 높았고,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최아장이 작았던 종자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유묘의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Correlations between the Growth Period and Fresh Weight of Seed Sprouts and Pixel Counts of Leaf Area

  • Son, Daesik;Park, Soo Hyun;Chung, Soo;Jeong, Eun Seong;Park, Seongmin;Yang, Myongkyoon;Hwang, Hyun-Seung;Cho, Seong I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4호
    • /
    • pp.318-32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growth period and fresh weight of sprouts grown in a cultivator designed to grow sprouts under optimal conditions. Methods: The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amount of irrigation were controlled, and images of seed sprouts were acquired to predict the days of growth and weight from pixel counts of leaf area. Broccoli, clover, and radish sprouts were selected, and each sprout was cultivated in a 90-mm-diameter Petri dish under the same cultivating conditions. An image of each sprout was taken every 24 hours from the 4th day, and the whole cultivating period was 6 days, including 3 days in the dark. Images were processed by histogram inspection, binary images, image erosion, image dilation, and the overlay image process. The RGB range and ratio of leaves were adjusted to calculate the pixel counts for leaf area.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ixel count of leaf area and the growth period of sprouts were 0.91, 0.98, and 0.97 for broccoli, clover, and radish, respectively. Furth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ixel count of leaf area and fresh weight were 0.90 for broccoli, 0.87 for clover, and 0.95 for radish.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simple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processing algorithm can feasibly estimate the growth period and fresh weight of seed sprouts.

청정 땅콩나물 생산을 위한 종자처리기술 확립 (Establishment of Seed Treatment for Healthy Production of Peanut Sprout)

  • 박은지;이규빈;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2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eed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and clean peanut sprout. Dry heat treatment of peanut seeds reduced the incidence of the rot. The seed treatment condition at $52^{\circ}C$ for 10 h. was the most efficient without inhibiting seed viability significantly. Seeds were dark cultured at $27^{\circ}C$ for up to 9 days. The treatment of Indole-B and gibberellic acid influenced germination, T50, fresh, dry weight, hypocotyl length, hypocotyl length diameter, root length, number of lateral root and epicotyl of peanut spro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erminability of peanut seeds between gibberellic acid treatment methods but higher fresh weight was observed in the GA3 solution spray after 2 hour water soaking. The general growth and lateral root development of peanut sprouts were suppressed by Indole-B which is used for inhibiting root formation and promoting hypocotyls. The treatment of gibberellic acid promoted hypocotyl elongation, but it did not influence on the growth of hypocotyls and root system.

콩나물의 무기이온 및 비타민 함량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es in Soybean Sprouts)

  • 윤정은;김희선;이경애;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6-232
    • /
    • 2011
  •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판 콩나물 및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된 콩나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과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였다. 1.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은 K, Ca, Mg, Na, Fe, Zn, M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콩나물을 자엽과 배축으로 분리하여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자엽에서의 무기이온 함량은 전체 콩나물과 같은 양상으로 축적되어 있었으나 배축에서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뜨거운 물에 콩나물을 데칠 경우 많은 양의 무기이온이 물로 용출되며 특히 K의 함량 감소가 컸다. 3. 콩나물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으며, 콩나물을 열처리할 경우 비타민 C는 급속하게 감소되었다. 4. 콩나물에서의 비타민 B군(niacine, thiamin, pyridoxin)은 품종별로 함량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 자엽부위에 축적되어 있었다.

Effects of Chitosan on Production and Rot Control of Soybean Sprouts

  • Lee, Young-Sang;Kang, Chang-Sung;Lee, Yong-S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8-372
    • /
    • 1999
  • The practicality of utilizing chitosan as a natural antimicrobial compound to reduce soybean sprout rot was tested. Domestic and imported soybean seeds were soaked for 6 hours in solution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hitosan and acetic acid (glacial), and cultured at $25^{\circ}C$ for 6 days. In case of domestic seeds, soaking with 1,000ppm chitosan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age, hypocotyl thickness, total length, and fresh weight of sprouts by 4%, 5%, 2%, and 1%, respectively. The total sprout yield was increased by chitosa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at 1,000ppm chitosan resulted in 8% increment of total yield (7.47kg sprouts/kg seed). Chitosan significantly reduced sprout rot percentage to 7.0% compared to control (13.8%), and consequently enhanced marketable sprout yield by 39%. Compared to domestic seeds, the imported soybean seeds exhibited very low germination percentage regardless of chitosan treatments. Chitosan, nevertheless, consistently induced yield increment and rot decrement in imported soybean sprouts. Although 100ppm acet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sprout rot percentage down to 11.8%, its yield-increasing effects were not as prominent as chitosan. In conclusion, soaking soybean seeds with chitosan seems to be a practical metho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oybean sprout production.

  • PDF

환경요인이 콩나물 무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Incidence of Bacterial Soft Rot in Soybean Sprout)

  • 박종철;김경호;송완엽;김형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17-323
    • /
    • 1997
  • Erwinia r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콩나물 무름병 발생을 인위적인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콩나물의 재배 온도가 콩나물 무름병 발생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3$0^{\circ}C$이상의 고온에서 무름병 발생율이 높아졌으며 35$^{\circ}C$에서는 약 22%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종피와 자엽 부위에 인위적인 상처를 낸 경우 70%이상의 발병율을 보였으며 콩나물의 신장을 억제하였다. 습도는 90%이상 유지시 33%의 발병율을 보였으며 콩나물의 생장을 억제시켰다. 콩나물 재배 배출액을 관수액으로 재이용하였을 때 무름병의 발병율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