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ize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24초

Sol-Gel Process를 이용한 SiO2/TiO2 복합 미립자의 합성 (Preparation of SiO2/TiO2 Composite Fine Powder by Sol-Gel Process)

  • 구상만;이동현;류창석;이용은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301-307
    • /
    • 1997
  • 응집이 없는 단분산의 $SiO_2/TiO_2$ 복합 미립자를 얻기 위하여 $TiO_2$seed가 분산되어 있는 에탄올 수용액과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를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혼합하여 $TiO_2$ 주위에서 TEOS가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복합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촉매로 암모니아를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실온이었다. 반응변수는 TEOS의 농도, 암모니아의 농도, $TiO_2$ seed의 크기 및 양이었다. 응집이 없는 복합 미립자를 얻기 위한 최적조건은 [TEOS]=0.3M, [$NH_4OH$]=0.7M, $TiO_2$ seed의 크기가 200~300 nm이었고, 이때 $0.8{\sim}0.9{\mu}m$의 입자크기를 갖는 복합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선녹콩 개체간 및 개체내 단백질 함량 변이 (Intra- and Inter-Variation of Protein Content in Soybean Cultivar Seonnogkong)

  • 임무혁;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78-83
    • /
    • 2008
  • 콩에 함유된 성분 중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인축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콩 단백질의 함량을 1립 비파괴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동일품종의 개체 내에서 콩이 달린 착협 위치에 따라, 또 콩에서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개체 내에서 분석시료를 취할 때 개체를 대표할 수 있는 최소 양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녹콩 개체 내 단백질 함량은 정규분포를 보였으며, 개체 간에 단백질 함량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콩의 착협 위치에 따른 단백질 함량은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콩 식물체의 윗부분으로 갈수록 단백질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콩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료량을 추정한 결과 최소 10립 이상 혹은 개체 내 총 종자량의 20% 이상을 취하면 개체를 대표하는 단백질 함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이 애기장대의 생장과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vy Metals on Growth and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 박영숙;박종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9-325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vy metals (copper, cadmium, lead and chrome) on the growth of plant and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admium and chrome among the 4 heavy metal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stem even in the concentration fifty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of pollutant exhaus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of cadmium, however, stimulated the growth of stem in general, increasing leaf size and surface area, although it had no effect on the length of stem. But the growth of stem was decreased about 18% i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of pollutant exhaust of lead and copper. There was no growth of root in the concentration of lead and copper ten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Cadmium and chrome had no effect on the seed germination, but lead and copper decreased the rate of seed germination. Seeds were not germinated in the concentration of copper ten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and in the concentration of lead fifty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From this research three peculiar results were obtained. Chrome in the soil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plant growth and seed germination of Arabidopsis thaliana. Cadmium stimulated the stem growth in an optimum concentration. But lead and copper reduced the plant growth and seed germination even in a small concentration, especially copper had the worse effect.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G-SEED certified and non-certified Office Buildings in Korea)

  • 김종현;김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43
    • /
    • 2019
  •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향후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정부는 에너지 절감 계획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을 통해 보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G-SEED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증 업무시설 135동과 비인증 업무시설 142동을 대상으로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증 업무시설은 비인증 업무시설에 비해 연간 5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난방 도일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승인연도가 높을수록 인증 업무시설의 에너지 소비량은 감소하며, 비인증 업무시설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규모와 인증등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상관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G-SEED 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분야별 점수를 공개적인 자료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한다.

벼 최아후 건조종자의 발아능력 (Germination Ability of Pregerminated and Dried Rice Seed)

  • 권태오;정진일;노태환;남궁승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7-322
    • /
    • 1997
  • 1차 최아되었던 법씨의 활력증진 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최아 정도별 현미의 유기 및 무기성분의 함양변이와 조ㆍ중오ㆍ만생종별 각각 2품종을 공시하여 기상생태형간의 차이 및 gibberellin 처리가 종자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아 정도별 단백질함량은 무최아 종자에서 높았고 최아가 진전되어 최아장이 클수록 낮았으나, 지방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 칼리함량은 무처리 종자에서 낮았고, 최아가 진전된 종자는 높았는데 최아장이 10mm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도 처리간 차이는 작았지만 경향은 가리함량의 경우와 같았다. 그러나 Mg /K 비율은 최아장이 클수록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3. 재발아능력은 숙기가 이른 품종들이 높았는데, 최아가 5mm 이상 되었던 종자들은 재발아능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4. 침종 후 바로 말려서 파종한 종자의 재발아율은 1차 최아되었던 최아장 0.1∼0.5mm인 종자의 재발아율보다 낮고, 최아장 1∼3mm인 종자의 경우와 비슷함을 보였다. 5. 재발아율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는 10ppm에서 높았고,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최아장이 작았던 종자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유묘의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국내외 종자산업의 현황과 GSP사업의 역할 (Current status of global seed industry and role of golden seed project in Korea)

  • 신완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71-76
    • /
    • 2015
  • 선진국들은 종자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설정하여 정부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종자기업은 세계의 종자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종자개발분야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0년대 후반 들어 국내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을 통해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종자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GSP사업의 역할에 대한 전망을 통해 GSP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해 보고자 한다. 세계 종자산업은 글로벌 거대 기업의 대형화로 인하여 독점체제를 형성하고 있어 상위 10개 종자기업이 전체 시장의 73%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업체의 대형화는 종자선택에 대한 제약으로 인하여 가격상승을 불러일으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보여진다. 국내 종자시장은 농업생산량 감소로 인하여 정체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국내 농업생산량의 축소에 따른 종자수요 감소로 인하여 국내 종자시장 규모의 정체와 업체의 영세성과 채소, 벼등 일부 특정품목에 대한 육종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나 양배추, 파프리카 및 사료작물 등 글로벌 품종의 육종기술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국내 종자기업들의 신규 전문인력 채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학 등의 종자관련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우수한 육종 전문가 양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자산업은 농산업의 핵심으로 국가의 기간산업을 지탱하는 원천 산업으로서 국가정책적으로 우선순위가 매우 높은 만큼 미래성장 산업으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GSP 사업을 추진을 2012년부터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으며, 수출전략형 종자개발(10개 품목)과 수입대체 종자개발(10품목)을 통해 수출과 국내 종자자급율 확보를 목표로 종자관련 기업체와 대학 및 연구소의 우수한 전문인력이 투입되어 종자개발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종자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GSP 사업의 우수한 성과가 반드시 도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품종개발 단계외에 종자 수출에 대한 별도의 지원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Influence of Moisture Content and Seed Dimensions on Mechanical Oil Expression from African Oil Bean (Pentaclethra macrophylla Benth) Seed

  • Aremu, Ademola K.;Ogunlade, Clement 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3호
    • /
    • pp.193-200
    • /
    • 2016
  • Purpose: New low-cost oilseeds are needed to meet an ever-increasing demand for oil for food, pharmaceutic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African oil bean seed is a tropical crop that is underutilized and has high oil yields,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conducted on its mechanical oil expression up to now.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seed dimensions on mechanical oil expression from the seeds. Methods: Fresh oil bean seeds were procured, de-hulled, and cleaned. Initial seed moisture content, ob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ASAE standard, was 12% dry basis (db). The seeds were further conditioned by dehydration and rehydration prior to oil expression to obtain four other moisture levels of 8, 10, 14, and 16% db. The major diameter of the seeds was measured using digital vernier calipers, and the seeds were classified into size dimensions (< 40, 41-45, 46-50, 51-55, and > 55 mm). The oil yield and expression efficiency wer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standard evaluation methods. Results: The highest oil yield and expression efficiency (47.74% and 78.96%, respectively) were obtained for a moisture content of 8% db and seed dimensions of < 40 mm, while the lowest oil yield and expression efficiency (41.35% and 68.28%, respectively) were obtained for a moisture content of 14% db and seed dimensions between 51-55 mm. A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oil yield for known moisture content and seed dimensions,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95% and the confidence level of the predictive model of 84.17%. The probability of prediction F ratio showed that moisture content influence was more significant than seed dimensions. Conclusions: The higher the moisture content and larger the seed dimensions, the lower the oil yield from African oil bean seeds.

홍화의 종자 크기별 발아 및 생장특성 분석 (Effect of Seed Siz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임정대;박해일;안태진;임주진;김성협;유보라;김은혜;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15-420
    • /
    • 2012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weight on different asp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Quantity of sinapine leaked from seed was greater as the viability of seeds was dropped by the time elapsed of seed aging model and long storage conditio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The cultivar of safflower was Jin-Sun and the seeds that are separated to three different weights of small, middle, and larg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Large seeds reveal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 coleoptiles fresh weight, coleoptiles dry weight, radicle fresh weight and 1000 seed weights than other seed weight. Seed weight had little effect on yield while seed numbe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Interestingly, yield per plant and its major components, number of capsules and capsule weights, revealed a negligible relationship with oil content.

다공성 매체의 차원 분열 모델 적용에 의한 토양과 상토의 공극분포와 보수력 비교 (Comparison in Porous Structure and Water Eetention with the Different Porous Media by Fractal Fragmentation Model)

  • 오동식;김이열;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9-195
    • /
    • 2007
  • Riew와 Sposito의 차원 분열 모델을 적용하여 토양과 상토를 대상으로 다공성 매체의 공극 분포와 보수력 비교를 시도하였다. 토양 시료는 라이시메터에서 2" 코아로 채취하였다. 상토 시료는 코코피트, 제올라이트 및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아크릴 코아(100 mL)에 충진하여 조제하였다. 식 D=log(N)/log(1/r)를 포함한 차원 분열 모델에 의한 계산 Excell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에 의해 분획된 다공성 매질을 이루는 보다 작은 크기(부피)의 매질 분획 상수인 N 값과 자기유사 비율 r 값을 얻었다. 이에 의해 대상 토양과 상토의 공극 분포와 빈도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라이시메타 토양은 상토 보다 더 넓은 공극 분포를 갖으며, 이에 비해 평균 공극크기는 상토 보다 라이시메타 토양에서 적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공극크기(${\gamma}$) 분포에 따른 토양, 상토의 보수력은 토양은 상당한 단계의 토양수분이 빠져 나갔을 때 포장용수량(FC, 30kPa) 상태에 이르고, 상토는 비교적 적은 단계에서 포장용수량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db/db 마우스에서 비파의 혈당 저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E. japonica) in db/db Mice)

  • 김은;김민숙;류동영;민오진;백흠영;김용재;김현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65
    • /
    • 2009
  • E. japonica is a well-known medicinal plant in Japan. The leaves of E. japonica were reported to have a hypoglycemic action. However, seeds of E. japonica are discarded and not used. To elucidate for anti-diabetic effects of E. japonica, Type 2 diabetic mice were allocated to control group,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 group. Animals were fed a 2018S 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 Animals were received daily oral injections of E. japonica leaf or seed extract at a dose of 200 mg/kg body weight for 6 weeks. Body weight, food intake and water intake, and total adipose tissue weight of anima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feeding of E. japonica leaf extract. All E. japonica extract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fasting blood glucose,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size of adipocytes and serum adiponectins. However, they did no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ser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the diabetic anim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japonica seed and leaf extracts have a antidiabetic effect by controlling of blood glucose and decrease of size of adipocytes in db/db mice and seed extract is more effective in hypoglycemic action than leaf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