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ed grain

Search Result 45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벼의 종자특성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seed characters in parents and F1 hybrid of rice)

  • 정원복;오주성;황필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3-497
    • /
    • 2007
  • 벼 잡종 $F_1$세대의 종자특성에 대한 유전분석과 잡종강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_1$세대의 유전력은 1수립수가 97.99%로 가장 높았으며 천립중, 완전립율의 순으로 나타났고 완전립율이 입장이나 입폭에 비하여 높은 유전력을 보였다. 2. 교배친의 형질간 상관관계는 완전립율과 1수립수, 입장과 천립중간에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입장과 1수립수, 입폭과 완전립율간에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F_1$세대의 형질간 상관관계는 입장과 입폭간에 높은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으나 표현형상관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입장과 천립중, 입폭과 천립중간에도 높은 정의 유전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표현형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3. heterosis는 천립중이 7.71%였고, 다음이 1수립수, 완전립율의 순이었다. heterobeltiosis 또한 천립중이 5.29%였고, 다음이 1수립수, 완전립율의 순이었다. 4. 교배조합간의 heterosis는 입장이 1(밀양165호${\times}$장령도)조합에서 13.33%, 입폭이 12(신동진벼${\times}$장령도)조합에서 13.79%, 완전립율이 3(밀양165호${\times}$남천벼)조합에서 16.11%, 천립중이 5(밀양165호${\times}$동진찰벼)조합과 11(동진찰벼${\times}$고시히까리)조합에서 각각 12.64%, 12.13%, 1수립수가 11(동진찰벼${\times}$고시히까리)조합에서 22.83%로 높았다. 그리고 heterobeltiosis는 입장이 1(밀양165호${\times}$장령도)조합에서 8.80%, 입폭이 12(신동진벼${\times}$장령도)조합에서 10.00%, 완전립율이 3(밀양165호${\times}$남천벼)조합에서 13.06%, 천립중이 5(밀양165호${\times}$동진찰벼)조합과 11(동진찰벼${\times}$고시히까리)조합에서 각각 10.01%, 10.83%, 1수립수가 11(동진찰벼${\times}$고시히까리)조합에서 21.40%로 높았다.

벼 등숙기의 생장조절제처리가 종실 및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on Seed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사종구;김기식;한세기;허범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2-269
    • /
    • 1988
  • 벼의 등숙기간중에 발생하는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품종간 수발아성 비교, 출수후 종자발달에 따른 발아율 비교, 등숙기의 생장조절제 처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및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 재배한 포장에서의 수발아성은 일반형중 조생종들이 높았고 중만생종과 통일형 품종들은 수발아가 되지 않았다. 2. 일반형 품종인 대성벼는 출수후 30일, 통일형인 태백벼는 35일이 경과되면 발아력이 높아져 종자로서의 발아조건은 충분히 갖추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3. 공시한 두 품종 및 3처리시기에서 모두 수발아 억제에는 NAA 및 CMH는 100ppm 그리고 Reglone은 0.4∼0.6%의 농도에서 효과가 가장컸다. 4.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공시된 두 품종 모두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없이 양호 하였으나 Reglone 이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5.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두 품종의 등숙율은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Reglone처리 구는 낮았고 종자 색갈은 NAA만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며 CMH와 Reglone 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갈색을 띄는 미립이 많았다. 도정특성을 보면 NAA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고 CMH 및 Reglone을 출수후 20∼30일에 처리한 구는 완전현미비율이 낮았다.

  • PDF

Effects of Hot Rolling on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 Hong, Byung-Deug;Kim, Jae-Kwan;Cho, Kyung-Mox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1권3호
    • /
    • pp.111-114
    • /
    • 2006
  • We electroplated copper-cobalt thin films on a silicon substrate, which had 150 nm thick copper seed layer. The adhesion between the two metallic layers could be increased by utilizing a proper organic additive, pulse plating technique, and high temperature annealing. The thin films exhibited columnar growth of the deposits and enhanced adhesion. This is attributed to the grain growth mechanism introduced by the additive and annealing.

잡곡의 품질개량 육종 성과와 전망 (Quality Breeding Outcome and Outlook in Coarse Grain Crops)

  • 최병한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22-34
    • /
    • 1998
  • Coarse grain crops including maize, sorghum, buckwheat, fox-tail millet, pearl millet, proso millet and barnyard millet have been used as health food,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in Korea for a long time. Korean ancestors thought and treated them as the very important good crops for human health and the crops have served as a dish made with all the grains, particularly in January 15 of the lunar month in korea because the grains make the five viscera of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and the six entrails of gall bladder,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the paunch, the bladder, and the bowels strong and build healthy body. Thus, the objectives of the paper were to review and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quality breeding and functional researches worldwide on nutrition, utilization and medical action of the coarse grain crops. Maize grain, fresh ear and green fodder yields have increased since 1960s in Korea. Agronomic traits improvements also occurred for cold tolerance, disease and insect resistance, resistance to barrenness, resistance to loding, pollen production, grain and seed yields, and eating quality. For buckwheat, improved summer buckwheat varieties produced more rutin for vegetable and grain than autumn varieties in Korea

  • PDF

Effects of an artificial hole on the crystal growth of large grain REBCO superconductor

  • Lee, Hwi-Joo;Hong, Yi-Seul;Park, Soon-dong;Jun, Byung-Hyuk;Kim, Chan-Joong;Lee, Hee-Gyo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10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that various grain boundary junctions a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seed orientation combined with an artificial hole in a melt process REBCO bulk superconductor. Large grain YBCO superconductors have been fabricated with various grain boundary junctions that the angle between the grain boundary and the <001> axis of Y123 crystal is $0^{\circ}$, $30^{\circ}$ and $45^{\circ}$,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the artificial hole is beneficial for the formation of clean grain boundary junction and single peak trapped magnetic field profiles have been obtained. Artificial hole makes two growth fronts meet at a point on a periphery of the artificial hole. The presence of artificial hole is not likely to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Y211 particles. The newly formed <110> facet lines are explained by the formation of new Y123/liquid interface with (010) crystallographic plane.

Varietal Difference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of Middle and Lower Leaves in Soybean

  • Cho, Jin-Woong;Kim, Choong-Soo;So, Jung D.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30
    • /
    • 200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the yield productivity among nine soybean cultivars by measuring the photosynthetic ability of the middle and lower leaves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s. The leaf greenness(SPAD value) were ranged as 32-42 at the flowering stage. Also, They were ranged as 25-40 and 38-51 at the fifth leaf and the seventh leaf,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ybean cultivars, and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higher difference among cultivars than the flowering stage. The variation of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also was significant among cultivars. The light saturation point at the flowering stage was about 1500 $\mu$mol $m^{-2}$ $s^{-1}$ PAR,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was about 1000 $\mu$mol $m^{-2}$ $s^{-1}$ PAR. The photosynthesis showed the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af area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af area ratio. Also, photosynthesis at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in yield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hotosynthesis and yields at flowering stage..

씨앗층의 후-열처리가 산화아연 나노구조의 구조적 광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annealing ZnO seed layers on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nanostructures)

  • 김소아람;남기웅;박형길;윤현식;김병구;임재영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8
    • /
    • 2012
  • ZnO nanostructures were grown by the hydrothermal method on ZnO seed layers post-heated in the range $350-500^{\circ}C$. The effects of the post-heated ZnO seed layers 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ZnO nanostructur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diffraction (XRD) spectroscopy,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y. The average grain sizes in the ZnO seed layers increased with increasing post-heating temperature, and nano-fibrous structur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ZnO seed layers post-heated at $450^{\circ}C$. The ZnO seed layers post-heated in the range $350-500^{\circ}C$ affected the residual stress, lattice distortion in the ZnO nanostructures and the intensity, positions, and full widths at half maximum of the 2-theta and PL peaks in the XRD and PL spectra for the ZnO nanostructures.

  • PDF

중부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한 비닐하우스 재배 적정파종기 (Optimum Sowing date for Seed Production of Late-maturing Vegetable Perilla at Green House of Middle Region)

  • 주정일;최현구;강영식;성열규;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10-315
    • /
    • 2012
  • 들깻잎 생산 전용품종은 대부분 만생종으로서 우량종자를 채종하고자 할 경우 도복 등이 발생하지 않아 생육관리가 용이하면서 종실 충실도가 높은 파종적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잎들깨 생산 전용 품종 '잎들깨 1호'를 시험재료로 하여 5월 6일부터 7월 15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생육, 도복 발생 여부, 적산온도 및 수량성을 분석하였다. 1.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경장이 짧아지고, 주경절수, 분지수,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도복이 발생하였다. 2. 개화일수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는데 5월 6일을 기준으로 파종이 1일 지연되면 개화일수는 0.86일씩 단축되었고, 개화기부터 성숙기까지의 결실일수는 29~31일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등숙립율과 종실수량은 5월 6일 파종부터 6월 15일 파종까지 유의성이 없었고, 6월 25일 파종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4. 등숙에 필요한 적산온도, 도복 발생 여부, 등숙립율과 발아율 등으로 판단하면 만생종 잎들깨 품종의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파종적기는 6월 5일(정식 7월 5일)~6월 15일(정식 7월 15일)이었고, 이때 10월 28일~11월 3일경에 성숙되어 종자생산이 가능하였다. 5. 연차에 따라 $0^{\circ}C$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가 일찍 오는 경우 한해에 의하여 노지재배는 고사될 우려가 있고, 중부지역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잎들깨 채종재배가 가능하였다.

피마자 수집종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L.) Collections)

  • 김인재;남상영;김민자;노창우;이정관;윤태;송항림;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
    • /
    • 2009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타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되어진 피마자 40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생육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마자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15${\sim}$16일에 82.5%가 출현하였으며, 출현에서 개화까지의 소요일수는 63${\sim}$68일이었다. 경장의 분포는 전체 평균이 211.8 cm로 173${\sim}$251 cm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줄기 굵기는 평균 24.2 mm로 20.4${\sim}$24.9 mm가 52.5%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절수는 평균 18.9개 였으며 그 범위는 13${\sim}$22개로 넓게 분포하였다. 삭수는 주당 7${\sim}$33개로 폭 넓게 분포하였으며, 종실 1${\ell}$ 무게는 평균 502.9 g으로 최소 432.3 g, 최대 572.5 g로 140.2 g의 큰 차이가 있었다. 100립중은 최소 20.3 g에서 최대 38.3 g으로 소립종과 대립종 간 18.0 g의 많은 차이를 보였다. 주당 종 실수는 최소 72개에서 최대 1,011개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465.2개이었다. 주당 종실수량은 평균 128.1 g이었으며, 최저 20 g, 최고 266.2 g으로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복합종자세지수를 이용한 보리 포장출아률과 수량예측 (The Use of Multiple Seed Vigor Indices to Predict Field Emergence and Grain Yield of Naked and Malting Barley)

  • Kim, Seok-Hyeon;Bin, Yeong-Ho;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4-141
    • /
    • 1989
  • 보리종실의 샐리적 특성을 포장출아력과 비교함으로써 포장유묘출아율과 수량의 예측에 적합한 검정방법을 구명하고자 맥주보리 2품종과 쌀보리 2품종을 인위노화처리시켜 고온발아검정(warm germination test), 저온발아검정(cold germination test), Tetrazolium 유모세검정(TZ vigor test), 전기전도도검정(electroconductivity test)의 결과를 포장출아율 및 수량과 비교 검토 하였다. 고온발아검정과 저온발아검정이 포장출아율 예측에 효과적인 검정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맥주보리에서는 Y(포장출아율)=-2.962+0.229X$_1$ (% warm germination) -0.001X$_2$ (vigor, WGT) +0.354X$_3$ (vigor, CT) -0.558X$_4$ (% cold germination)으로 나타났다. 다중화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맥주보리의 경우 고온발아검정에서의 발아율만으로 포장출아율을 64%예측할 수 있었다. 고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유묘세, 저온발아율은 각각 4, 7, 9%씩 결정계수를 높혔다. 네가지 검정치의 누가적 예측효율은 맥주보리에서 84%, 쌀보리 54%였다. 수량에서는 포장출아율에서 보다 맥주보리, 쌀보리 공히 예측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