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ary layer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9초

진주지역 중생대 암반절토사면 지반특성 (Geo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Cretaceous Rock Cut Slopes in Jinju area)

  • 김승현;이정엽;이종현;구호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2-661
    • /
    • 2006
  • The cut slopes in Jinju area constitute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 which is one of the most poor ground conditions. The geological rocks of the cut slopes are correlated with Jinju Formation. Most of the rocks consist of Black Shale layer, but the lower parts consist of Alkorsic White Sandstone. So, It is characteristic of the differential weathering due to the difference of rock species. Moreover, vertical joints which concentrate on the released rock and weak rock fragments are accompanied with minor faults. We make out face mapping about each slopes through the detailed field-study and deduce RMR and SMR from the field data. The strength properties of rocks were obtained from references, indoor tests, and Back Analysis method. And, choosing properties were used in the stability analysis as stereographic projection and limit equilibrium analysis and we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for the cut slopes.

  • PDF

영덕군 병곡면의 단층 노두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ult Site at Byeonggok-myeon, Yeongdeok-gun, South Korea)

  • 신원정;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83
    • /
    • 2021
  •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Yangsan Fault, an active fault zone, has developed. Many earthquakes occur around these faults, and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s occurring along the branch faults is being discussed. On the other hand, the Yeongdeok Fault is reported in Yeongdeok-gun, which is the nor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In this study, goemorphic characteristics of a set faults found on the outcrop of the gentle slope of the coast of Byeonggok-myeon were analyzed and granulometr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other materials, including fault gouges were analyzed. The outcrop of Byeonggok-myeon is the part of the fault cor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ses fault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sozoic bedrock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layer of red sand-supported clasts are covered in several sedimentary units. The faults were normal fault sets, and a number of vertical cracks were developed, and glossy surfaces were observed in the fault area. It appears that these faults have occurred after alluvial deposition had been formed. In the case of samples from fault gouges,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le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surrounding area.

시공 중 비탈면의 붕괴 특성에 대한 충청지역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llapse Characteristics of Slope during Construction in the Chung-Cheong Area)

  • 이준대;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23-32
    • /
    • 2015
  • 비탈면 붕괴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안정화되어 공용 중인 사면에서 발생되는 붕괴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공 중에 발생되는 비탈면의 붕괴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을 대상으로 시공 중 또는 시공 직후의 비탈면에서 붕괴가 발생된 79개소를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기하학적인 특성과 파괴특성, 설계 및 보강방법 등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충북권은 평면형 붕괴와 표층 붕락이 두드러지며, 충남권은 평면형 붕괴가 대다수이나 충북권에 비해 퇴적암의 표층부 붕락이나 유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된 파괴인자는 충북권이 절리의 교호(53%)와 풍화(25%)로 나타났고 다방향 절리로 인한 블록화와 천매암 지역의 엽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충남권도 발달된 절리(55%)가 주요요인이나 단층, 탄질셰일 등 퇴적암의 지질학적 성인(36%)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질학적, 기후적, 환경적 특성이 비탈면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의 지질구조선과 함덕-표선 지구대 (Geological Structural Lines and Hamdeok-Pyoseon Graben in Jeju Island)

  • 부성안;정교철;김혜빈;김경수;우명하;이병호
    • 지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75-486
    • /
    • 2005
  • 지구조 운동에 의한 지질구조선의 생성과정을 추정한 결과 화강암체 융기 후 2회, 미고결퇴 적층 퇴적 후 2회 등 모두 4회의 침강작용으로 대규모 지질구조선이 생성되었으며 침강작용은 동북동-서 남서 방향의 인장응력 과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일어났다. 함덕과 신흥지역의 응회암 및 미고결퇴 적층이 인접한 동서지역보다 $70\~140m$ 정도 더 깊이 분포하고 화강암도 $50\~500m$ 정도 더 깊이 분포하는 것은 함덕지역에서부터 신흥리를 포함한 표선지역까지 3회의 차별 침강작용에 의해 함덕-표선 지구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千里浦 樹木園의 泥炭의 花紛分析 (A Pollen Analytical Study of the Peat Sediments from the Chollipo Arboretum in Southwestern, Korea)

  • Park, In-K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11-320
    • /
    • 1990
  • This paper deals with pollen analysis of a 190cm core collected from the Chollipo Arboretum sedimentary basin($N36^{\circ}47$ 43", $E1269^{\circ}$ 7") in southwestern Korea in order to know the change of the climate and vegetation. In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pollen zones are divided into two layers. Pollen zone, I, the lower layer, is flourished with broadleaved trees such as Quercus, Alnus, Corylus, Betula, Carpinus and Castanopsis, and about 30~40% of pollen of those trees consist of that of Q. acuta/glauca and Castanopsis which are evergreen trees. And pollen of Trapa, Typhaceae and Nymphaceae living in wet habitat, is dominant among the nonarboreal pollen.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it ould be warmer and more humid than present in this area of the past. In pollen zone, the upper layer, pollen of Pinus is dominant and those of Artemisia, Gramineae, Compositae and spore are increased in quantity, while pollen of Quercus, Belula and Nymphaceae decreased. It it supposed that the climate of this zone was drier than that zone.that zone.

  • PDF

Thin-bedded, Fine-grained Lacustrine Turbidite Facies on the Northern Coast of Jindo and the Adjacent Area: Density underflow-induced, Ash-rich Turbidity Current Deposits

  • Chang Tae Soo;Chun Seung Soo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년도 제5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37
    • /
    • 1998
  • The sedimentary succession on the northern coast of Jindo and the adjacent area comprises the thinly bedded, fine-grained deposits of an epiclastic sandstone, siltstone, black shale/mudstone, and cherty mudstone (ca. 200m in vertical thickness), which are interpreted as the finely stratified turbidites mainly by density underflow-induced currents. Most deposits can be divided into eight facies: thin-bedded, ash-rich massive sandstone layer (mS), graded and laminated mudstone layer (glM), graded mudstone layer with ripple lamination (rM), laminated and graded siltstone layer (lgZ), finely laminated black shale layer (IBS), structureless mudstone layer (mM), thin-bedded cherty mudstone layer (lCM), and contorted and laminated mudstone layer (dlM), The thin-bedded, ash-rich sandstone facies is interpreted to be deposited from high-density turbid underflows during a relatively large flooding. Most thinly bedded mudstone facies would be deposited from low-density turbid underflows (turbidity currents) with some different hydrodynamic condition and sediment concentration during the high discharge of river water. Whereas the structureless mudstone facies may result from raining down of suspended sediment intermittently supplied by overflows and interflows. From the entire succession, graded and laminated mudstone layers interbedded with thin-bedded, ash-rich massive sandstone are dominant in the lower part of the succession, and graded mudstone layers with ripple lamination ripple lamination occur mainly in the middle part of it. On the other hand, iaminated/raded siltstone and contorted/laminated mudstone layers prevail in the upper part. The transition of facies association is suggestive of the continuous change of main depositional setting from basin plain to lower slope, which could be due to the movement of depocenter by the increase of sediment supply (volcanic activity).

  • PDF

점토질 퇴적암의 강화처리 적용실험 연구: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 (Application Experiments of Consolidation Treatment for Pelitic Sedimentary Rocks: Bird Track Fossils in Haman Formation)

  • 이규혜;이찬희;양혜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1호
    • /
    • pp.87-98
    • /
    • 2020
  •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는 퇴적순서와 구조 및 암상에 따라 7개의 지층으로 구분되며, 새발자국은 최상부층에서 나타난다. 이 화석층에는 연흔과 건열 등이 분포하며, 주로 적회색 미사암과 흑색 이암이 교호하는 암상을 보인다. 화석층과 동일 암석을 수습하여 물리적 및 광물학적 특성 분석 결과, 흡수율 0.62%, 공극률 1.64%, 비중 2.63이며, 조암 광물로는 사장석, 석영, 방해석, 녹니석 및 운모가 동정되었다. 화석지의 암석학적 및 풍화특성을 바탕으로 보존처리에 적합한 강화제 적정성 실험 결과, 시료의 무게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OH 100이었다. 강화실험에 따른 색차도 OH 100을 적용한 시료에서 가장 안정적임을 보였다. 팽윤저지제와 병행하여 강화제를 처리한 시료는 색차에 큰 변화가 있었다. 초음파 속도 변화 역시 OH 100에서 가장 높아져 암석의 물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팽윤저지제와 함께 OH 100을 적용한 경우에 공극율이 감소하여 물성강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는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세립질 퇴적암으로 점토광물의 층간간격 및 흡수율 감소를 통한 물성강화를 위해 실제 화석지에는 팽윤저지제(antihygro)와 OH 100 강화제를 병행해 처리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실내 함침실험 결과이므로 화석지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적용실험 등의 검증이 필요하다.

고창 장호리 해안사구의 수직 발달 과정 연구 (Vertically Development Processes of Jangho-ri Coastal Dune, West Coast of Korea)

  • 한민;김진철;양동윤;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9-92
    • /
    • 2016
  • Samples from two boreholes of coastal dune field at Jangho-ri coast, Gochang was studied. These were analyzed by grain size analysis geochemical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OSL dating metho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during the Holocene. The boreholes SB8 and SB9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sedimentary layers by their mean grain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upper sand layer is equivalent to the present coastal dune layer, which developed since 1,200 years ago; the silt layer in the middle to the dune slack or lagoon sedimentation layer, which developed between 1,200 and 6,000 years ago; and the sand layer at the bottom to the paleo coastal dune that developed between 6,000 and 7,000 years ago. It was proposed that the forming material of current coastal dune was supplied from the sandy flat in coastal area, while the middle silt layer was supplied from the weathered soil of a bed rock by the comparison with material of surrounding area. In the case of coastal dune, concentrated layer of san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buried about 300 and 1,200 years ago, which is identified as the little ice age. This study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Jangho-ri coastal dunes after Holocene Climate Optimum period, and it is likely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coastal dunes development.

고해상도 탄성파자료를 이용한 풍암분지 북동부의 퇴적구조 및 퇴적환경 연구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Based on a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 across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the Pungam Basin)

  • 김기영;허식
    • 지구물리
    • /
    • 제2권2호
    • /
    • pp.91-99
    • /
    • 1999
  • 백악기 육성 퇴적분지의 하나인 풍암 퇴적분지 북동부 경계부근에서 획득한 고해상도 탄성파 중합단면을 탄성파 층서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고, 지표 지질 및 구조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분지 경계의 지층 특성을 구명하였다. 분지의 경계단층, 부정합면 등의 지질구조를 인지하였고, 퇴적층을 연대가 젊은 층부터 차례로 층군 I, II, III의 3개 층군으로 구분하였다. 단층 양태 및 반사파 특성으로부터 풍암분지 북동부는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분지가 형성되었고, 단층대를 따라 횡인장 운동에 의해 정단층들이 분지 경계부근에 발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퇴적층은 350-400 m 정도의 두께로 음향기반암인 선캠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을 피복하고 있으며, 음향기반암의 배사구조와 관련되어 층군 III의 퇴적층은 서쪽으로 경사진 층상구조를 보인다. 또한 층군 II의 하부층이 퇴적된 이후에 동쪽의 단층대가 급격히 상승하여, 상승된 부분이 침식되면서 퇴적물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두꺼운 퇴적층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퇴적층내의 반사특성이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는 것은 퇴적물이 분지내에 충진된 후 주향이동의 지구조 운동을 받아 변형되었음을 암시한다.

  • PDF

경기만 서부 덕적도 사퇴의 탄성파층서 및 퇴적환경 연구 (Seismic Stratigraph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Dukjuk-Do Sand Ridge in Western Gyeonggi Bay, Korea)

  • 이윤오;최상일;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9-21
    • /
    • 2014
  • 서해 경기만의 덕적도 서부에 발달하고 있는 사퇴해역에서 획득된 고해상 탄성파탐사자료, 해저면측사탐사자료, 표층퇴적물 및 주상코어시료에 대한 정밀분석과 연구가 실시되었다. 탄성파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의 층서는 3개의 퇴적단위(sequence I, II, III)로 구분되어진다. 최상부 퇴적단위 I은 $^{14}C$ 연대측정 자료에 의하면 5,000~6,000 yr BP경 본 해역이 해침을 받은 후 강한 왕복성 조류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단위 II는 주상코어 자료에 의하면 니질이 주로 분포하는 고 조간대 니질퇴적층으로 추정된다. 퇴적단위 III은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분포된 음향기반암 상부에 플라이스토세 말기로 추정되는 육성퇴적층인 자갈 내지는 조립질 퇴적물이 부정합으로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해저면측사탐사 자료에 의하면 사퇴 정상의 해저면은 모래파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대체로 조류의 방향과 일치하는 $N20^{\circ}W$ 방향이다. 사퇴 정상부에서 멀어지면 모래물결자국이 발달하고, 경사면에서는 균질한 사질로 분포한다. 표층퇴적물과 주상퇴적물(시료 VC-1, 2, 3)은 특정 내부 구조를 갖지 않는 비교적 균질한 중립토 내지 세립토(Mz, 1-$2{\phi}$)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